[코인터뷰] "기업들 블록체인 적용, 개별회사 아닌 컨소시엄 형태 돼야"
입력
수정
2018 코리아 블록체인 엑스포“기업들의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개별 회사 수준이 아닌 컨소시엄 형태로 적용될 필요가 있어요. 같은 산업 내 기업간, 또는 산업간으로 확장해 플랫폼 참여자를 늘리는 거죠. 참여자가 많을수록 큰 이익을 내는 블록체인 본연의 특성을 기업들이 정확히 이해했으면 합니다.”
김상환 딜로이트컨설팅 블록체인리더 인터뷰
지난달 23~24일 열린 ‘2018 코리아 블록체인 엑스포’에서 ‘대기업의 블록체인 상용화’ 주제로 강연한 김상환 딜로이트컨설팅 블록체인리더(상무·사진)는 한경닷컴과의 인터뷰에서 “기존 비즈니스모델이 경쟁 위주라면 블록체인 분야는 어느정도 협업을 전제로 한다”면서 이같이 강조했다. 개별 회사 단위로 전략을 짜온 기업들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는 주문이다.블록체인은 크게 퍼블릭과 프라이빗 블록체인으로 나뉜다. 가상화폐(암호화폐) 기반 새로운 생태계를 만드는 데 초점을 맞추는 퍼블릭 블록체인과 달리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기존 비즈니스 인프라를 블록체인 기술로 대체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
그가 협업, 특히 기업간 협업의 형태로 컨소시엄을 강조한 것은 프라이빗 체인과 비즈니스 인프라가 만나는 ‘접점’에 주목해서다. 회사 단위를 넘어선 산업 차원, 또는 산업간(크로스 인더스트리)의 효율화가 핵심이라고 봤다. 플랫폼 성격으로 인해 참여자가 늘수록 효율도 올라간다는 설명이 뒤따랐다.
김 상무가 “한 회사 내에서만 구동하는 블록체인은 큰 의미가 없다. 참여자가 많아질수록 블록체인 본연의 기능에 충실할 수 있다”고 강조한 이유다.해외송금을 중계은행 대신 블록체인이 역할을 맡거나 수출입 정보를 공유하는 등의 프로젝트를 컨소시엄으로 블록체인을 적용하는 사례로 들었다. 국내에서도 전국은행연합회의 공동인증시스템은 동일 산업군 내에서 컨소시엄을 형성한 예로 꼽을 수 있다고 했다.
“우리나라 산업의 특성 가운데 높은 디지털화, 경쟁사와의 협업에 대한 거부감, 이 두 가지는 블록체인과 상극이거든요. 비슷한 경쟁사가 공존하는 게 아니라 삼성·현대차처럼 특정 분야에서 키플레이어가 서플라이체인(공급망)을 꽉 잡고 있으면 블록체인을 도입할 필요성을 잘 못 느껴요. 크로스 인더스트리 차원의 도입도 고민할 필요가 있습니다.”그는 블록체인의 특징을 △분산원장: 가치 있는 정보의 공유 △스마트 콘트랙트(계약): 중계자 제거 △이력저장: 사기 방지 등으로 분류한 뒤 “기업이 블록체인을 활용하려면 적어도 이 가운데 한 가지 이상의 핵심가치를 기반으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단지 기존 비즈니스에 블록체인을 얹는 정도가 아니라 ‘와이 블록체인(Why Blockchain?)’에 대한 명쾌한 해답을 내놓을 수 있어야 한다는 얘기다. 김 상무는 “기업 내부 의사결정 과정에서도 왜 블록체인을 적용해야 할지, 기술적 가치는 무엇인지 정확히 풀어 말할 수 있어야 한다. ‘블록체인은 신뢰의 기술’ 식으로 막연하게 설명해선 안 된다”고 조언했다. 딜로이트가 블록체인 분야 컨설팅에 집중하는 지점이기도 하다.
“블록체인은 이미 글로벌 트렌드가 됐어요. 비즈니스 방향과 전략, 기술의 뒷받침이 중요합니다. 초기에 어느 플레이어가 어떤 역할을 하느냐에 따라 시장이 망가지기도 하고 크게 성장하기도 해요. 딜로이트는 성공사례를 만들어 이 분야가 가짜가 아닌 진짜 시장이란 걸 증명하는 데 힘 쏟고 있습니다.”
전세계에 퍼져있는 딜로이트는 글로벌 차원에서 뉴욕(미국) 아일랜드 더블린(유럽·중동) 홍콩(아시아·태평양) 3곳에 블록체인 허브를 보유했다. 미국 영국 이스라엘 등에 11개 랩(lab), 총 30여개국에 블록체인팀과 약 700명 규모의 글로벌 블록체인팀을 운영하고 있다.그는 “기본적으로 기술 토대지만 블록체인은 산업 내, 산업간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 기술에서 누가 앞섰느냐 못지않게 현실에서 구현됐는지가 수준 차이로 이어지기 때문”이라며 “전략적 컨설팅을 통해 전반적 블록체인 산업구도 세팅까지 역할을 하는 게 딜로이트의 목표다. 비즈니스 밸류(가치) 기반 유스케이스(활용사례) 개발에 힘써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봉구 한경닷컴 기자 kbk9@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