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임단협 쟁점은 기본급 인상·근로 단축 따른 임금 보전"
입력
수정
한경연, 주요 대기업 101곳 대상 설문조사
주요 대기업들의 올해 임금·단체협약 협상에서 최대 쟁점은 기본급 인상과 근로시간 단축 등에 따른 임금 보전 문제인 것으로 나타났다.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올해 임협이나 임단협을 실시한 주요 대기업 101곳을 대상으로 '2018년 임금 및 단체협상 현황 및 쟁점현안' 조사를 벌인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6일 밝혔다.
대기업들은 올해 임단협 교섭 과정을 작년과 비교할 때 비슷하거나(50.5%) 더 어렵다(46.5%)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보다 원만하다는 답은 3.0%에 그쳤다.지난해 설문조사 결과와 비교하면 어렵다는 답은 22.5%포인트 늘어난 반면, 유사하다는 응답은 12.9%포인트, 작년보다 원만하다는 반응은 9.6%포인트 줄었다.
임협을 진행 중이거나 완료한 84개 기업에서 노조가 요구한 임금 인상률은 평균 8.3%로 조사됐다.
임협을 완료한 50개 기업에서 최종 타결된 협약임금 인상률은 평균 3.6%였다.이에 따라 타결된 임금 인상률과 노조의 요구 인상률 간에는 4.7%포인트의 격차가 벌어졌다.
기업들은 올해 경영 실적에 대해 '작년보다 악화'(46.5%)할 것으로 많이 내다봤다.
'작년보다 개선'될 것이란 답은 22.8%였다.30.7%는 '작년과 비슷할 것'이라고 답했다.
대기업들은 올해 임단협에서 임금·복지 분야 쟁점(이하 2개씩 선택)으로 '기본급 인상, 성과급 확대'(71.3%)와 '근로시간 단축 및 최저임금 산입범위 등 노동법 개정에 따른 임금 보전'(43.6%)을 가장 많이 지목했다.인사·경영권 분야 쟁점으로는 '신규 채용, 하도급 인원 제한'(15.8%),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11.9%) 등이 꼽혔다.
하지만 가장 많은 54.5%는 '임금·복지 분야 외에는 쟁점이 없다'고 답했다.올해 1∼8월 전면 또는 부분파업을 겪은 기업은 조사 대상 101개 사 중 6곳에 그쳤다.
하지만 이들 6곳은 작년에도 파업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들은 노조 파업 관행의 문제점으로 '과도한 임금·복지 요구 관철을 위한 파업'(65.3%), '노조 상급단체 지침에 따른 파업'(41.6%) 등을 많이 꼽았다.
무리한 파업 자제를 위한 제도개선 과제로는 '불법파업 관련 노조 법적 책임 강화'(71.3%), '쟁의기간 내 대체근로 허용'(36.6%) 등을 주로 지목했다.추광호 한국경제연구원 일자리전략실장은 "올해 주요 대기업 임단협에서는 임금 인상과 더불어 노동법 개정에 따른 임금보전 요구가 많았다"고 말했다./연합뉴스
주요 대기업들의 올해 임금·단체협약 협상에서 최대 쟁점은 기본급 인상과 근로시간 단축 등에 따른 임금 보전 문제인 것으로 나타났다.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올해 임협이나 임단협을 실시한 주요 대기업 101곳을 대상으로 '2018년 임금 및 단체협상 현황 및 쟁점현안' 조사를 벌인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6일 밝혔다.
대기업들은 올해 임단협 교섭 과정을 작년과 비교할 때 비슷하거나(50.5%) 더 어렵다(46.5%)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보다 원만하다는 답은 3.0%에 그쳤다.지난해 설문조사 결과와 비교하면 어렵다는 답은 22.5%포인트 늘어난 반면, 유사하다는 응답은 12.9%포인트, 작년보다 원만하다는 반응은 9.6%포인트 줄었다.
임협을 진행 중이거나 완료한 84개 기업에서 노조가 요구한 임금 인상률은 평균 8.3%로 조사됐다.
임협을 완료한 50개 기업에서 최종 타결된 협약임금 인상률은 평균 3.6%였다.이에 따라 타결된 임금 인상률과 노조의 요구 인상률 간에는 4.7%포인트의 격차가 벌어졌다.
기업들은 올해 경영 실적에 대해 '작년보다 악화'(46.5%)할 것으로 많이 내다봤다.
'작년보다 개선'될 것이란 답은 22.8%였다.30.7%는 '작년과 비슷할 것'이라고 답했다.
대기업들은 올해 임단협에서 임금·복지 분야 쟁점(이하 2개씩 선택)으로 '기본급 인상, 성과급 확대'(71.3%)와 '근로시간 단축 및 최저임금 산입범위 등 노동법 개정에 따른 임금 보전'(43.6%)을 가장 많이 지목했다.인사·경영권 분야 쟁점으로는 '신규 채용, 하도급 인원 제한'(15.8%),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11.9%) 등이 꼽혔다.
하지만 가장 많은 54.5%는 '임금·복지 분야 외에는 쟁점이 없다'고 답했다.올해 1∼8월 전면 또는 부분파업을 겪은 기업은 조사 대상 101개 사 중 6곳에 그쳤다.
하지만 이들 6곳은 작년에도 파업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들은 노조 파업 관행의 문제점으로 '과도한 임금·복지 요구 관철을 위한 파업'(65.3%), '노조 상급단체 지침에 따른 파업'(41.6%) 등을 많이 꼽았다.
무리한 파업 자제를 위한 제도개선 과제로는 '불법파업 관련 노조 법적 책임 강화'(71.3%), '쟁의기간 내 대체근로 허용'(36.6%) 등을 주로 지목했다.추광호 한국경제연구원 일자리전략실장은 "올해 주요 대기업 임단협에서는 임금 인상과 더불어 노동법 개정에 따른 임금보전 요구가 많았다"고 말했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