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태승 우리금융지주 회장 내정자 "공격적 M&A로 1등 금융그룹 초석 마련"
입력
수정
지면A10
우리금융그룹 4년 만에 부활우리금융지주가 내년 1월 다시 출범한다. 2014년 11월 민영화를 위해 지주사를 해체한 지 4년여 만이다. 당장은 우리은행이 핵심이다. 우리종금증권과 우리카드가 있지만 존재감은 약한 편이다. 이 때문에 2기 우리금융그룹의 첫 회장으로 내정된 손태승 우리은행장은 공격적 인수합병(M&A)에 나서기로 했다. 자산운용사나 부동산신탁회사가 첫 타깃이다. 손 회장 내정자는 하지만 증권사, 보험사 등도 우리금융그룹에 편입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이를 통해 KB와 신한이 다투고 있는 1등 금융그룹 전쟁에 뛰어든다는 계획이다.
2기 우리금융 첫 회장 손태승
초반엔 지주 체제 안착에 총력
부동산신탁·자산운용사부터
보험사 등 대형 금융사 M&A
뚝 떨어진 건전성비율 높이고
완전 민영화 이루는 것이 과제
우리금융은 2001년 국내 첫 금융지주사로 출범했다. 상업은행과 한일은행이 합병해 탄생한 한빛은행이 중심이었다. 여기에 평화·경남·광주은행, 하나로종금 등을 덧붙였다. 하지만 공적자금 회수를 위해 민영화를 추진하면서 지주 체제는 무너졌다. 우리투자증권(현 NH투자증권), 우리아비바생명(현 DGB생명보험), 우리F&I(현 대신에프앤아이), 우리파이낸셜(현 KB캐피탈) 등 비은행 계열사와 경남, 광주은행 등 지방은행을 매각하고 2014년 지주를 해체했다.
“종합금융그룹 포트폴리오 구축”손 회장 내정자는 우리은행장을 겸직하면서 출범 초기 지주 전환에 따른 혼란 방지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우리은행의 실수로 지주 전환 과정에서 뚝 떨어지게 되는 건전성비율(BIS 자기자본비율)도 높여야 한다. 우리은행의 BIS 자기자본비율은 15%대지만 우리금융지주는 10~11%대로 하락한다. 금융당국의 예외 적용을 못 받기 때문이다. 이를 다시 15%대로 올리는 데 1년 정도 걸릴 전망이다.
손 회장 내정자는 조직 안정과 건전성비율이 회복되면 공격적 M&A에 나설 예정이다. 물론 건전성비율이 큰 문제가 되지 않는 작은 금융사는 언제든 M&A할 수 있다. 손 회장 내정자는 “부동산신탁회사나 자산운용사부터 인수하겠다”고 밝혔다.
손 회장 내정자는 “중장기적으로는 덩치가 큰 증권사나 보험사를 인수할 것이며 이를 위해 여러 매물을 보고 있다”고 밝혔다. 그가 이 작업에 성공하지 못하면 1등 금융그룹으로의 도약은 힘들다. 현재는 우리금융에서 우리은행의 비중이 99%에 이른다. KB나 신한은 비은행 비중이 30% 수준이다.지주 체제로 전환한 것도 이 때문이다. 은행은 자기자본의 20%만 출자할 수 있으나 지주사 체제에서는 자기자본의 130%까지 출자할 수 있다. 출자 여력은 현재 1조원 수준에서 9조원대로 확대된다. 손 회장 내정자는 국내뿐 아니라 외국 금융사도 함께 보고 있다. 국내에 치중돼 있는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 그는 이와 함께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18.4%의 지분을 추가 매각해 민영화를 완료하는 숙제도 안고 있다.
■손태승 지주 회장 내정자 약력
△1959년 광주 출생
△전주고 졸업
△성균관대 법학과 졸업
△서울대 대학원 법학과 석사
△한일은행 입행
△우리금융지주 상무
△우리은행 관악동작영업본부 영업본부장
△우리은행 자금시장사업단 상무
△우리은행 글로벌사업본부 집행부행장
△우리은행 글로벌그룹장
△우리은행 글로벌부문장
△현 우리은행장
안상미 기자 sara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