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차 너무 달렸나…판 차보다 리콜대수 2배 넘어
입력
수정
올해 52만여 대 리콜올 들어 수입 자동차의 ‘질주’가 이어지고 있다. 구매자의 연령층이 점점 젊어지면서 시장이 커졌다. 올해 연간 판매량이 24만 대를 넘어 사상 최대 기록을 다시 쓸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소화기 미장착, 에어백 등 원인 다양
시행 지연 사례까지
수입차 연 판매량의 2.3배
“질적 성장 필요하다” 목소리
특히 올해는 잇따른 리콜(결함 시정)로 차량 소유자들 불만이 극에 달했다. 그 규모가 연초 이후 판매된 차량을 모두 합친 것보다 두 배 이상 많다. 질적인 성장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많은 이유다.16일 교통안전공단이 운영하는 자동차리콜센터에 따르면 올 1~10월 리콜이 결정된 수입차는 993개 차종 52만330대(일부 원동기 포함)에 달한다. 지난해 수입차 업체들이 리콜 한 전체 차량 대수(42만3022대)를 넘어섰다.
지난 1월 이후 지난달 말까지 국내에서 팔린 수입차 21만7868대와 비교하면 2.3배가량 많은 수치다. 판매된 차보다 수리를 위해 서비스 센터를 찾는 수가 많다는 얘기다. 운전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에어백부터 단순 부품 교체, 배출가스 장치 등 원인도 다양하다.
제작 결함 문제로 인한 수입차 리콜은 크게 늘어나는 추세다. 리콜 건수를 연도별로 보면 2014년 414개 차종 14만7178대, 2015년 511개 차종 26만3023대, 2016년 569개 차종 24만5203대, 2017년 822개 차종 42만3022대로 조사됐다.올해 리콜 규모가 커진 주된 원인 중 하나는 BMW ‘주행 중 화재’ 사태다. 엔진에 장착된 배기가스 재순환장치(EGR) 결함으로 520d 모델을 포함한 42개 차종 10만6317대의 차량을 리콜하게 됐다. 국내에서 이뤄진 수입차 리콜 중 사상 최대 규모다. 지난 23일엔 118d와 미니쿠퍼D 등 52개 차종 6만5763대가 새롭게 리콜 대상에 들어갔다.
한 업계 관계자는 “수입차들이 소화기 장착 등 작은 부분에 대해서도 부적합 판정을 받는 경우가 늘고 있다”며 “관련 법규나 품질 관리에 신경을 쓰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리콜 이행 지속 여부에 대한 감시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시행이 늦어질수록 사고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탑승자뿐만 아니라 다른 운전자의 안전까지 위협을 줄 수도 있다.실제 메르세데스벤츠는 국토교통부에 에어백 리콜 의사를 전달한 지 1년여가 지나도록 시작조차 못하고 있다. 다카타 에어백을 장착한 2008~2012년식 준중형 세단 C클래스 등 3만2000여 대는 여전히 도로 위를 달리고 있다.
회사 측은 “부품 수급이 문제”라며 “내년 상반기 본격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관련 안전검사는 진행했다”고 덧붙였다.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의 경우 환경부와의 약속을 어겼다. ‘디젤게이트(배출가스 조작)’ 파문을 일으킨 이 회사는 EA189 엔진 리콜 당시 18개월간 이행률 85.0%를 달성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지난 14일 기준 63.6%에 그쳤다. 당초 정한 마감시한보다 수개월째 지연되고 있다.수입차 시장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면서 곳곳에서 잡음도 끊이지 않고 있다. 과도한 할인 경쟁 뿐 아니라 사후서비스(AS) 부실은 고질병이 됐다.
공식 딜러사가 문제를 일으키는 일도 많아 소비자 만족도는 오히려 떨어진다는 평가다. 수입차는 딜러들이 판매와 사후서비스를 관리하는 구조다. 국산차의 경우 완성차 업체가 직접 나서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대학 교수는 “수입차는 ‘고급스럽고 성능이 좋다’는 인식이 강하다”며 “그러나 작은 내수시장 탓에 직접 나서지는 않아 걸맞은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는지 의문”이라고 비판했다.수입차 시장은 1987년 개방 후 30여 년간 가파른 성장세를 기록해왔다. 판매량은 1998년 2075대에서 2008년 6만1748대로 뛰었다. 2015년엔 24만3900대로 정점을 찍었다. 연간 판매량이 30만 대를 넘기는 건 시간문제라는 게 업계 전망이다.
박상재 한경닷컴 기자 sangja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