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여성·아동 건강상태 '심각'…모성사망률 남한의 8배

가임기 여성 20% 영양실조, 영유아 사망률도 남한의 8배
보사연 "북한 노력만으로 해결 어려워, 인도적 지원 필요"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가 지속되면서 식량 공급에 가장 민감한 임신·출산기 여성과 영유아의 건강이 매우 취약한 상태에 놓인 것으로 나타났다.20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북한 영유아 및 아동 지원 사업 네트워크 구조와 발전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유엔인구기금(UNFPA)의 '2017 세계인구현황보고서' 기준으로 북한의 모성사망률은 신생아 10만명당 82명으로 남한의 11명보다 약 8배 높았다.

북한의 모성사망률은 2008년 10만명당 77.2명에서 더 높아진 것이다.

모성사망률이란 임신 중이나 출산 직후 임신과 관련된 병으로 사망하는 여성의 비율을 뜻한다.2016년 유니세프((UNICEF) 자료에 따르면, 모성 사망의 55.8%는 아이를 출산하는 동안 혹은 이후에, 10.9%는 낙태가 진행되는 동안 혹은 이후에 각각 발생했다.

2012년 유엔보고서에서는 가장 흔한 모성 사망의 원인을 산후출혈(49%)로 파악했고, 분만에 의한 패혈증·감염(15%), 임신성고혈압(13%)이 뒤를 이었다.

임산부가 제때 진료를 받지 못한 것도 모성 사망의 주된 요인으로 거론된다.분만의 3분의 2가 이뤄지는 군과 리 단위 진료소 가운데 42%에는 산모용 심폐소생기구가 없고, 36%는 신생아용 심폐소생기구를 갖추지 않았다.

진료소의 40∼60%에는 진통제와 항생제 같은 필수의약품도 충분하지 않았다.

세계보건기구(WHO) 등이 2013년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북한 가임기 여성의 3분의 1은 빈혈이 있었다.혈중 헤모글로빈 농도로 측정한 빈혈 유병률은 40대(38.7%)에서 가장 높았고, 20대(31.8%), 30대(30.2%) 순이었다.

남한 여성과 비교했을 때 북한의 빈혈 유병률은 연령별로 2.1∼3.6배 높은 수준이다.

영양 상태도 매우 나빠 단백질 에너지 영양실조 비율은 모든 가임기 연령대에서 20%를 상회했다.

보고서는 "1990년대 중후반 '고난의 행군' 시기 전후에 태어난 북한 여성은 영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에 제대로 영양을 섭취하지 못해 발육 상태가 매우 좋지 않았고, 이로 인해 모성 사망률도 높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북한의 5세 미만 영유아의 사망률도 높다.

WHO의 2017년 세계보건통계에 따르면 북한의 영유아 사망률은 1천명당 24명으로 남한 3명의 8배에 달했다.

북한의 영유아의 사망률은 1998년 1천명당 92.3명, 2000년 76.8명, 2004년 44.5명, 2009년 41.4명, 2012년 36.8명 등으로 점차 낮아지고는 있다.

출생아가 생후 6개월이 되면 모유 수유만으로는 영양분이 부족해 보충식을 시작해야 하지만, 2013년 기준으로 북한내 생후 6∼23개월의 최소 필요식(네 가지 식품군) 섭취 비율은 26.5%에 불과했다.

지역별 편차도 컸다.

평양의 섭취 비율은 59.4%이지만 양강도(15.6%), 함경남도(19.1%), 강원도(18.4%), 자강도(17.3%), 황해북도(18.5%)는 그보다 훨씬 낮았다.

국제식량정책연구소(IFPRI)의 2017 세계기아지수를 보면, 북한의 영양결핍 인구 비율은 40.8%로 매우 높고, 이 중에서 5세 미만 발육 부진 아동은 27.9%였다.

보고서는 "북한의 모자보건 개선이 북한 당국의 노력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라는 점을 고려하면, 북한의 모성과 영유아, 그리고 아동의 건강 및 보건의료사업은 정치적인 상황과는 별개로 인도적인 원칙에 기초해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 분야는 국제기구와 한국정부, 국내 민간단체가 유기적으로 연계해야만 실질적인 성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남북은 지난 7일 11년 만에 남북보건회담을 열고 보건의료협력에 시동을 걸었다.

남북의 공동대처가 시급한 전염병 확산방지 사업을 우선 시작하되 중장기적인 보건의료사업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기로 함에 따라 산모와 영유아에게 영양과 보건을 지원하는 모자보건사업과 의료 소모품이나 처치물품, 의약품, 특수치료영양제품 등을 생산할 의료인프라구축사업 등도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보건복지부는 북한이 유엔의 제재를 받고 있지만, 인도주의적 보건의료 지원은 가능할 것으로 보고 협력하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