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코노미TV] 10년 뒤 웃으려면 어떤 아파트 골라야 할까
입력
수정
집터뷰 #2안녕하세요. 부동산시장의 핫한 이슈를 깊이 있게 탐구해보는 집터뷰, 이번 시간에도 여의도학파 전문가 모시고 부동산시장 전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홍춘욱 키움증권 투자전략팀장 모셨습니다.
홍춘욱 키움증권 투자전략팀장(3·끝)
2편에 이어서
▶최진석 기자
올해 집값이 아주 많이 올랐는데 왜 이렇게 오른 거죠?▷홍춘욱 팀장
두 가지죠. 첫 번째, 금리를 막 인상할 것 같았는데 안 하고 있죠. 지난해 11월에 인상할 때만 해도 올해 연말 금리가 2% 밑에 있을 거라고 생각한 사람이 잘 없었을 것 같아요, 그쵸? 그런데 올해 아직 한 차례도 인상을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주택시장 자체가 저금리 영향권에 속해있습니다. 두 번째는 지난해 국내 상장기업들 중에서 우량 기업들, 코스피200이라고 200대 상장 기업들의 영업이익이 얼마나 났냐면 180조원 가까이였습니다. 그래서 세수 풍년이었죠.▶최진석 기자
많이 벌었네요.
▷홍춘욱 팀장
2016년 영업이익도 사상 최대였습니다. 2년 연속 사상 최대 이익을 기록하니 기업들 입장에서 호황이 찾아온 것과 유사합니다. 국내 내수경제는 불황인 거 인정합니다. 그러나 상장기업의 이익만 보면 역대급 호황이 찾아왔거든요. 작년까지만 해도 월급 안 올려주고 인센티브 많이 안 줬습니다. 다시 불황이 올까봐.국내 소득 상위 10%에 해당되는 상장기업의 정직원들이고 커리어 10년 이상이면 사실 소득기준으로 10% 안에 들어가지 않습니까. 그런 분들의 매수세까지 가세를 한 것이 서울 집값, 특히 서울 중에서도 인기지역 집값을 올렸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제 신축에 대한 관심론이 드디어 나왔는데요. 지난해부터 시작된 신축에 대한 열기가 왜 올해 더더욱 강해졌느냐, 소득이 높은 분들 입장에서 주거의 질에 대한 관심이 굉장히 높잖아요. 베이비붐 세대들이나 임대인들에 비해서 말입니다. 이 돈 가지신 분들, 소득이 증가하기 시작한 구매 여력이 있는 분들은 자신이 어디에 사느냐가 굉장히 중요합니다.▶최진석 기자
내년 전망은 어떤가요?
▷홍춘욱 팀장
저희들의 경제전망에 속에서 보면 내년 강보합을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올해 같은 급등까지는 아니지만 강보합은 이뤄질 것 같다고 말이죠. 그렇게 보고 있는 이유는 현재 3분기까지 상장기업 이익이 나오고 있는데 역시 사상 최대입니다. 특히 금융권하고 반도체를 비롯한 수출 일부 기업들의 이익들이 어마어마하게 나오면서 올해는 영업이익이 200조를 조금 넘을 것 같습니다. 여기에 금리인상이 지연되고 있지 않습니까.▶최진석 기자
내년에 집값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는 금리뿐인가요?
▷홍춘욱 팀장
하나 더 있죠. 수출 경기 아니겠습니까. ▶최진석 기자
그렇다면 실수요자 입장에서는 집을 사야 될까요, 말아야 될까요. 지금 고민이 되는 시기입니다.▷홍춘욱 팀장
일단 하나 인정해야죠. 지난 10년 간 주택 구입의 적기는 지나갔다. 뇌동매매는 조심해야겠죠?
▶최진석 기자
어떤 매매요?
▷홍춘욱 팀장
뇌동매매라고 합니다. 천둥이 뻥뻥 치면 따라서 타는 그런 걸 말이죠. 그런 것에 대해서는 반대 의견입니다.
▶최진석 기자
구매력이 있는 실수요자라면 어떤 아파트를 사야 하나요?
▷홍춘욱 팀장
시대의 흐름이 소형, 직주근접, 그리고 대단지, 마지막이 뭐였죠? 신축입니다. 신축은 최근에는 엄청 비쌉니다. 아까 구매력 갖춘 분들이 올렸다고 했죠. 이 4가지 조건 중에 앞에 있는 우선순위에 해당되는 단지들을 살 수 있다면 구매하는 걸 추천합니다. 소형, 직주근접, 대단지, 그 다음이 신축인데요. 신축은 너무 비싸다면 앞에 열거한 조건에 맞는 순서로 사라는 겁니다. 이 순서 안에 있는 단지에 대해 자신의 구매 여력이 된다면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덜하다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최진석 기자
투자전략은 어떻게 가져가면 될까요?
▷홍춘욱 팀장
내년 상반기까지는 여전히 불마켓(Bull market·대세상승장) 같습니다. 물론 이제 거래는 잘 안 되겠죠. 세금에다가 각종 조치들도 있으니까요. 아까 말씀드린 주택가격을 끌어올린 이유가 저금리와 수출 호조였는데, 여기서 만일 금리도 오르고 수출마저 잘 안되는 시기에 공급이 급증한다면…. 경제에 악순환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건 우리가 조금 인정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너무 조급하지 말자는 겁니다. 아까 말씀드린 것처럼 2013년에서 2017년 사이가 제일 좋은 시기였고, 안타깝지만 그 시기는 이미 지나갔다는 겁니다. 조급해하면 투자에서 집니다. 조금 긴 흐름에서 보자면 철도 교통망을 비롯한 이런 간선 교통망들의 필요성들이 굉장히 높아지고 있죠. 시기는 지연될지언정 개발은 될 것 같다고 한다면 이런 광역 교통망들을 주목할 필요가 있어요.▶최진석 기자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같은 것 말인가요?
▷홍춘욱 팀장
뿐만 아니라 신안산선이나 8호선 연장구간 같은 것도 있죠. 8호선도 건설되면 9호선처럼 급행이 도입된다고 합니다. 그럼 서울까지 30분 안에 갈 수 있는 곳들은 잠재력이 부각되겠죠. 꼭 서울만 고집할 게 아니라 향후 교통망 개선의 가능성이 있는 지역들, 그러니까 예비타당성 조사도 통과 못 한 그런 곳들 말고요. 땅을 파는, 계획의 가이드라인이 나와 있는, 그런 쪽으로 선별투자하면 어떨까 생각합니다.
▶최진석 기자
교통망을 보라는 거죠? 신중하게, 서두르지 말고.
▷홍춘욱 팀장
기회는 또 옵니다. 2018년의 이 무서운 상승세가 계속 간다고 보는 건 좀 너무 과한게 아니냐, 이렇게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최진석 기자
박사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지금까지 키움증권의 투자전략팀장님 모시고 부동산시장 전망에 대해서 들어봤습니다.끝
기획 집코노미TV 총괄 조성근 건설부동산부장 촬영 이구필름 진행 최진석 기자 편집 민경진 기자 자막 전형진 기자 제작 한국경제신문·한경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