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법 개정 땐 투기자본이 30대 기업 중 19곳 감사위원 '싹쓸이'
입력
수정
지면A3
상법 개정안에 떠는 기업들여당과 정부는 대주주의 경영권을 크게 제한하는 내용의 상법 개정안을 밀어붙이고 있다. 대기업 총수 일가가 적은 지분으로 회사를 이끄는 지배구조를 바꿔야 정경유착 관행을 없애고 소액주주도 보호할 수 있다는 이유를 내세운다. 하지만 경제계는 부작용을 우려하고 있다. 감사위원 분리선출 및 집중투표제를 뼈대로 한 상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 상당수 국내 간판 기업들의 이사회가 외국 투기자본의 ‘놀이터’로 전락할 것으로 걱정하고 있다.기업 대주주 의결권 3%로 제한한국경제신문과 한국경제연구원이 27일 유가증권시장 시가총액 상위 30대 기업(10월 말 기준)의 이사회 현황 및 지분율(작년 말 기준)을 종합 분석한 결과 감사위원 분리선출제가 도입되면 외국계 투기자본이 연합해 SK하이닉스 현대자동차 포스코 등 19개 기업의 감사위원을 모두 뽑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한경연, 주요 기업 시뮬레이션 해보니
감사위원 분리선출제 도입 땐 대주주 의결권 최대 69%P 줄어
SK하이닉스·현대차·포스코 등 외국 자본이 감사위원 전원 장악
집중투표제 함께 시행되면 삼성SDI 등 이사회 과반 차지
LG·GS 등 지주사들도 위협
다중대표소송·전자투표제도
소송남발 등 기업공격 악용 우려
대주주(지분율 3% 초과) 등이 감사위원이 되는 이사를 선출하는 단계부터 3%로 의결권이 제한돼 실제 지분보다 의결권이 3.07~68.90%포인트가량 줄어들었다. 지분 쪼개기(3% 이하)를 통해 의결권 제한 규정을 피할 수 있는 외국 투기자본은 서로 연합해 원하는 사람을 감사위원으로 앉힐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감사위원은 기업당 3~5명 정도 있다.
예컨대 현대자동차는 현대모비스(지분 20.80%)와 정몽구 회장(5.17%), 정의선 총괄수석부회장(2.28%), 국민연금(8.12%) 등 국내 투자기관 등이 총 36.37%의 지분을 들고 있다. 감사위원 분리선출제가 적용되면 이들의 의결권은 총 11.28%로 떨어진다. 현대모비스와 정 회장, 국민연금 등의 의결권이 각각 3%로 제한돼서다. 지분이 분산된 외국 투자회사 연합의 지분은 12.09%에서 11.36%로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집계됐다. 재계 관계자는 “3% 이하의 지분을 든 외국 헤지펀드 네 곳이 손을 잡으면 현대차 이사회 멤버 9명 중 감사위원 4명의 자리를 모두 꿰찰 수 있다”고 설명했다.유정주 한경연 기업혁신팀장은 “외국인 개인 주주를 뺀 0.01% 이상의 의결권을 쥔 외국인 투자회사들의 지분 합계를 기준으로 분석한 것”이라며 “일부 개인 주주까지 헤지펀드와 손잡으면 감사위원 자리를 내주는 기업 수는 더 많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주사 경영권 방어도 취약해져
감사위원 분리선출뿐만이 아니다. 집중투표제가 함께 도입되면 30대 기업 중 포스코와 KT&G 등 6곳에서 외국 투기자본이 힘을 모아 원하는 사람을 무조건 한 명(감사위원이 아닌 사내외이사) 이상 뽑을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외국 투기자본 지분율이 이사를 선임할 수 있는 최소 비율(1/총 선임이사 수-감사위원 수+1)을 넘어서면 ‘몰아주기’ 투표를 통해 한 명 이상을 원하는 사람으로 앉힐 수 있다는 게 한경연의 설명이다.예를 들어 포스코의 이사 수는 12명(감사위원인 이사는 3명)이다. 9명의 일반 사내외이사를 뽑을 때 외국인 투기자본이 힘을 모아 표를 몰아줄 경우 최소 한 명의 이사를 뽑을 수 있는 지분율은 10%다. 포스코의 외국인 투자회사 지분 합계는 12.72%에 달한다. 자신들의 입맛에 맞는 인물 한 명을 이사회에 어렵지 않게 앉힐 수 있다는 얘기다.
감사위원 분리선출과 집중투표제가 함께 도입되면 외국 투기자본이 감사위원 자리를 싹쓸이하고 일반 사내외이사를 한 명 선출해 이사회 과반을 차지할 길이 열릴 것으로 파악됐다. 시가총액 기준 30대 기업 가운데 네이버와 셀트리온, KB금융지주, SK텔레콤, SK이노베이션, KT&G, 삼성SDI 등 7곳의 기업 이사진 절반 이상이 투기자본에 넘어갈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SK LG GS 등 지주사들도 큰 위협을 받을 것으로 관측됐다. 감사위원 분리선출제가 도입되면 지주사에 집중된 대주주 지분 의결권이 모두 3%로 제한되고, 집중투표제를 이용한 공격에도 취약할 것이란 전망이다. 재계에선 다중대표소송제도와 전자투표제도 기업 경영을 뒤흔들 수 있다고 지적했다. 소송 남발 가능성이 크고 투기자본 등이 악의적인 루머로 기업을 공격할 때 표 쏠림 현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장창민 기자 cm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