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기준금리 1년만에 0.25%P 인상…"성장·물가 점검해 완화 정도 판단"
입력
수정
한국은행이 1년 만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했다. 한은이 시장에 꾸준히 인상 신호를 전달한 끝에 열린 올해 마지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인 만큼 예견된 금리 인상이었다는 평가다. 경기가 하강 국면에 접어든 가운데서도 한은은 금융안정을 위해 금리를 인상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은은 30일 오전 서울 중구 태평로 한은 본관에서 이주열 총재 주재로 금통위 회의를 개최하고 기준금리를 연 1.50%에서 연 1.75%로 0.25%포인트 인상했다.한은은 지난해 11월 금통위에서 6년 5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인상한 후 계속 동결한 상태였다. 2012년 7월 연 3.25%였던 기준금리를 3.00%로 내린 후 총 7차례에 걸쳐 금리 인하를 단행한 한은은 지난해 11월 방향을 바꿨고, 1년 만에 다시 금리를 올렸다. 금융불균형 누적 해소를 명분으로 올해 내내 만지작거리던 기준금리 인상 카드를 마지막 금통위에서야 꺼냈다.
한은은 경제 규모 성장에 따른 대출자산 증가 추세를 고려하더라도 가계소득 대비 빠르게 가계빚이 늦어나고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가계신용은 2013년 1000조원을 넘은 후 5년 만에 1500조원을 돌파했다.
미국 중앙은행(Fed)의 연이은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한미 금리 역전폭 확대 가능성도 금리 인상 요인으로 꼽힌다. 한미 금리 역전이 아직 대규모 자금 유출을 초래하지는 않았으나 금융위기가 촉발될 경우 충격이 우려되고 있기 때문이다.
Fed는 12월 금리 인상을 예고한 상태다. 11월 금통위의 금리 인상으로 미국 기준금리(연 2.0~2.25%)와의 금리 역전차는 0.75%포인트에서 0.50%포인트로 줄었으나 연말에는 재차 0.75%포인트로 확대될 전망이다.
금융권에서는 한은의 11월 금리 인상을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였다. 특히 국내 채권시장에서는 한미 금리 역전폭 확대 가능성 등을 반영해 전월보다 '인상' 관측에 무게가 실려 있었다. 금융투자협회가 76개 기관의 채권 관련 종사자 100명을 대상으로 최근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79명(79%)에 달하는 응답자가 한은이 이번달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전월(33%) 조사 당시보다 '인상' 응답 비율이 46%포인트 뛴 수치다.한은은 그동안 금융불균형 누적 해소를 명분으로 연내 금리 인상 신호를 시장에 보내왔다. 이 총재는 10월 금통위, 국정감사 등을 거치며 사실상 금리 인상을 사전 예고한 상태였다. 다만 꾸준히 '실기론'을 제기한 시장에서는 올해 마지막 금통위에서야 금리를 올린 한은에 대해 결국 경기 하강기에 시중 유동성을 조이게 됐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시장의 관심은 내년으로 넘어가고 있다. 다만 전문가들은 국내 경기여건 등을 고려하면 기준금리 인상이 연속적으로 이뤄지기는 어려울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금통위는 통화정책 방향에 대해 "국내 경제가 잠재성장률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성장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당분간 수요 측면에서의 물가상승압력은 크지 않을 전망이어서 통화정책의 완화 기조를 유지해 나갈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향후 성장과 물가의 흐름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완화 정도의 추가 조정 여부를 판단할 것"이라고 밝혔다.이어 "주요국과의 교역여건, 주요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변화, 신흥시장국 금융·경제상황, 가계부채 증가세, 지정학적 리스크 등도 주의깊게 살펴볼 것"이라고 덧붙였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
한은은 30일 오전 서울 중구 태평로 한은 본관에서 이주열 총재 주재로 금통위 회의를 개최하고 기준금리를 연 1.50%에서 연 1.75%로 0.25%포인트 인상했다.한은은 지난해 11월 금통위에서 6년 5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인상한 후 계속 동결한 상태였다. 2012년 7월 연 3.25%였던 기준금리를 3.00%로 내린 후 총 7차례에 걸쳐 금리 인하를 단행한 한은은 지난해 11월 방향을 바꿨고, 1년 만에 다시 금리를 올렸다. 금융불균형 누적 해소를 명분으로 올해 내내 만지작거리던 기준금리 인상 카드를 마지막 금통위에서야 꺼냈다.
한은은 경제 규모 성장에 따른 대출자산 증가 추세를 고려하더라도 가계소득 대비 빠르게 가계빚이 늦어나고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가계신용은 2013년 1000조원을 넘은 후 5년 만에 1500조원을 돌파했다.
미국 중앙은행(Fed)의 연이은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한미 금리 역전폭 확대 가능성도 금리 인상 요인으로 꼽힌다. 한미 금리 역전이 아직 대규모 자금 유출을 초래하지는 않았으나 금융위기가 촉발될 경우 충격이 우려되고 있기 때문이다.
Fed는 12월 금리 인상을 예고한 상태다. 11월 금통위의 금리 인상으로 미국 기준금리(연 2.0~2.25%)와의 금리 역전차는 0.75%포인트에서 0.50%포인트로 줄었으나 연말에는 재차 0.75%포인트로 확대될 전망이다.
금융권에서는 한은의 11월 금리 인상을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였다. 특히 국내 채권시장에서는 한미 금리 역전폭 확대 가능성 등을 반영해 전월보다 '인상' 관측에 무게가 실려 있었다. 금융투자협회가 76개 기관의 채권 관련 종사자 100명을 대상으로 최근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79명(79%)에 달하는 응답자가 한은이 이번달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전월(33%) 조사 당시보다 '인상' 응답 비율이 46%포인트 뛴 수치다.한은은 그동안 금융불균형 누적 해소를 명분으로 연내 금리 인상 신호를 시장에 보내왔다. 이 총재는 10월 금통위, 국정감사 등을 거치며 사실상 금리 인상을 사전 예고한 상태였다. 다만 꾸준히 '실기론'을 제기한 시장에서는 올해 마지막 금통위에서야 금리를 올린 한은에 대해 결국 경기 하강기에 시중 유동성을 조이게 됐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시장의 관심은 내년으로 넘어가고 있다. 다만 전문가들은 국내 경기여건 등을 고려하면 기준금리 인상이 연속적으로 이뤄지기는 어려울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금통위는 통화정책 방향에 대해 "국내 경제가 잠재성장률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성장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당분간 수요 측면에서의 물가상승압력은 크지 않을 전망이어서 통화정책의 완화 기조를 유지해 나갈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향후 성장과 물가의 흐름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완화 정도의 추가 조정 여부를 판단할 것"이라고 밝혔다.이어 "주요국과의 교역여건, 주요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변화, 신흥시장국 금융·경제상황, 가계부채 증가세, 지정학적 리스크 등도 주의깊게 살펴볼 것"이라고 덧붙였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