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수출 가파른 증가세…2009년부터 세계 1위
입력
수정
지면S5
Cover Story - 수출도 불안하다세계 무역 시장에서 중국의 성장세가 가파르다. 지난해 중국의 수출액은 2조2633억달러로 세계 1위였다. 10년 전인 2007년(1조2204억달러)과 비교하면 90%나 증가했다. 수출 2위와 3위인 미국과 독일의 수출 성장세는 더뎠다. 같은 기간 수출 증가율은 미국 34%, 독일 10%에 그쳤다. 미국 정부가 보호무역주의를 강화하고 중국의 무역 영토 확장을 견제하는 이유다.
한국은 10년 새 9→6위로…미·중 무역전쟁 큰 변수
한국·홍콩, 10년 새 수출 3계단 ‘껑충’세계무역기구(WTO)에 따르면 중국은 2009년부터 매년 세계 수출 1위를 지키고 있다. 독일은 이듬해 미국에 다시 추월 당하면서 3위에 머물러 있다. 중국 정부의 개혁·개방 정책으로 시장이 확대된 데다 텐센트, 알리바바 등 세계적인 기업이 잇따라 탄생하면서 중국 수출 실적이 급증했다는 평가다.
지난해 수출 실적 세계 4위는 일본(6971억달러)이다. 이어 5위 네덜란드(6516억달러), 6위 한국(5736억달러), 7위 홍콩(5502억달러), 8위 프랑스(5061억달러), 9위 이탈리아(5063억달러), 10위 영국(4410억달러) 순이었다.10년 전과 비교하면 순위가 뒤바뀐 국가가 적지 않다. 2007년 프랑스의 수출액은 5596억달러로 세계 5위였다. 10년 새 3계단이나 하락한 것이다. 당시 8위였던 이탈리아와 9위였던 영국도 같은 기간 1계단씩 순위가 낮아졌다. 한국은 순위가 3계단이나 올랐다. 지난해 수출액은 5736억달러로 10년 전(3714억달러)보다 50% 이상 증가했다. 홍콩도 같은 기간 수출량이 늘면서 10위에서 7위로 상승했다.
효자 수출 상품, 철광석→의류→반도체
전문가들은 이 같은 순위 변동이 글로벌 산업 구조 변화와 무관치 않다고 설명한다. 예컨대 최근에는 정보기술(IT),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첨단 기술을 기존 산업과 융합하는 ‘4차 산업혁명’의 바람이 불고 있다. 반도체, 무선통신기기 등 수요가 증가하는 제품을 잘 만들어 내는 국가가 무역 시장에서 유리할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한국의 주력 수출 품목도 변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한국이 1992년부터 현재까지 매년 가장 많이 수출하는 상품은 반도체다.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반도체 수출액은 1071억달러로 전체 수출(5052억달러)의 21.2%에 달한다. 이어 석유제품(7.7%), 자동차(6.6%), 평판 디스플레이 및 센서(4.1%), 합성수지(3.9%) 순이다. 1980년대부터 1991년까지 가장 많이 수출된 상품은 의류였다. 1980년 한국의 의류 수출액은 27억달러로 전체 수출(175억달러)의 약 16%를 차지했다. 당시 철강판(5.4%), 신발(5.4%), 선박(3.6%), 음향기기(3.4%), 고무제품(2.9%)도 효자 수출 품목으로 꼽혔다. 1960년대에는 철광석, 중석, 생사, 무연탄, 오징어, 활선어, 흑연 등이 한국의 주요 수출 품목이었다.
미·중 무역 전쟁에 대한 우려도최근 세계 무역 시장에서는 미국과 중국의 갈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세계 경제 규모 1, 2위 국가가 서로 무역 장벽을 높이면서 주변국들이 덩달아 피해를 볼 수 있다는 지적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도 경제전망 보고서를 내고 미·중 무역전쟁이 확대되면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이 2021년까지 최대 0.8% 감소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OECD는 미국과 중국이 상대국 제품에 부과하고 있는 관세를 현재 수준으로만 유지해도 2021년까지 두 국가의 GDP가 0.2~0.3%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은 중국산 수입품 2500억달러어치에, 중국은 미국산 1100억달러어치에 고율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 전체로 관세를 확대하면 전 세계 GDP가 2021년까지 0.8% 줄어들 것으로 OECD는 추산했다. 미국 GDP는 1% 감소하고, 중국은 그보다 더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세계 무역은 2% 감소하고 OECD 회원국의 기업 투자는 평균 2.75%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관세 부담이 늘어난 영향으로 미국 소비자물가가 오르면 금리 인상 폭도 커질 가능성이 있다. 이렇게 되면 달러 강세를 촉발해 신흥국 시장의 자금 이탈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예상도 나온다.
■NIE 포인트국제 무역이 지난 10년 간 어떻게 변해왔는지 정리해보자. 국제 무역에서 차지하는 우리나라의 비중이 어떻게 변해왔고, 주력 수출상품은 어떻게 변해왔는지 알아보자. 자유무역과 보호무역의 장단점을 토론해보자.
박상용 한국경제신문 산업부 기자 yourpenci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