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저금리시대' 저무나…세계 각국 '돈줄 조이기' 동참
입력
수정
미국 주도 저금리시대 마무리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한 가운데 미국, 유럽연합(EU), 주요 신흥국들이 금리를 올리거나 양적 완화(QE)를 중단하고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금리를 낮추면서 무차별적으로 공급했던 유동성을 거둬들이면서 10년간의 저금리시대가 저물어가는 것이다.
신흥국, 외부충격 우려에 동참
경기둔화 우려, 인상속도 조절 의견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인플레이션 우려를 반영해 올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씩 3차례에 걸쳐 2.00∼2.25%까지 올렸다. 인상 속도에 대한 신중론도 있었지만 연준은 오는 12월과 내년에도 추가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보인다.유로화를 사용하는 19개국의 유로존을 관할하는 유럽중앙은행(ECB)은 아직 기준금리를 0%로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ECB는 매달 자산을 매입하는 양적 완화를 오는 12월까지만 시행한 뒤 종료하기로 했다. 내년 후반부터 기준금리를 인상해 추가 긴축에 들어갈 예정인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일본은 기준금리를 마이너스 0.1%로 유지하고 있지만 국채 매입 규모를 줄이는 이른바 '스텔스 테이퍼링'(Stealth Tapering)에 돌입한 것 아니냐는 시장의 관측이 나온다.
신흥국들은 주로 외부충격에 대비하기 위해 금리를 인상하고 있다. 선진국이 자국 경기 회복세, 통화량 증가에 따른 화폐가치 하락을 살피며 긴축에 나서는 것과는 다른 모습이다. 금리 인상이나 양적 완화 축소로 선진국 통화의 가치가 오르면 신흥국에 투자된 자금은 선진국으로 유입된다.이같은 이유로 신흥국에서 금융시장 변동성이 커지고 통화가치가 떨어져 대외채무의 상환 부담이 커지는 등 타격이 발생한다. 신흥국으로서는 자국 경기나 민간 부문 부채에 어려움이 가중돼도 위기대응을 위해 '울며 겨자먹기'로 금리를 올려야 하는 압력을 받게 된다.
국제통화기금(IMF)의 구제금융을 받는 아르헨티나는 지난 8월 페소화 가치가 급락하자 기준금리를 세계 최고 수준인 60%로 올렸다.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의 철권통치 속에 고금리를 죄악시돼온 터키도 결국 인상압박에 무릎을 꿇었다. 터키는 리라화 가치 하락 등 금융시장 불안을 호되게 겪은 뒤 지난 9월 17.75%에서 24%로 기준금리를 인상했다.남아프리카공화국도 자본이탈과 자국 통화가치 하락을 우려해 이달 기준금리를 6.5%에서 6.75%로 상향 조정했다. 인도네시아는 루피아화의 심각한 약세 때문에 올해 들어 이달까지 6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6%까지 인상했다. 같은 이유로 필리핀도 올해 들어 5번째 금리 인상을 이달 단행해 기준금리를 4.75%로 설정했다.
다만 중국은 위안화 약세에도 불구하고 현재로서는 긴축의 여력이 없다. 저금리시대에 고삐가 풀린 부채를 줄이고자 긴축에 들어가려다 경제성장 둔화, 미국과의 무역 전쟁 등 악재를 만났다.
중국은 기준금리인 1년 만기 대출기준금리를 2015년 10월 이후 3년여간 4.35%에 묶어두고 있다. 경기를 부양하고 무역 전쟁에 대비해 내수를 키운다는 목적으로 완화적인 재정, 통화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글로벌 경제의 큰 우려는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들이 긴축기조를 내년에도 유지할 것으로 관측된다는 점이다. 블룸버그는 미국이 올해 2.5%를 지나 내년에 3%, 2020년에 3.25%까지 기준금리를 올릴 것이라고 시장 전망치를 소개하고 있다.
미국을 제외한 여타 국가에서는 경제성장이 둔화하는 가운데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까지 겹칠 경우 상당한 타격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신흥국들은 달러 강세에 따른 외자 이탈, 자국 통화가치 하락, 국내외 부채상환 능력 약화, 고금리에 따른 경제성장 추가둔화의 악순환을 겪을 수도 있다.
미국 연준은 전날 발간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신흥국은 미국과 다른 선진국들의 통화정책이 정상화함에 따라 상승하는 글로벌 금리, 선진국 통화 강세에 취약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그러면서 "아르헨과 터키가 최근 시장 혼란을 통해 더 큰 취약성을 보여줬으나 글로벌 금리 인상이 현재 예상보다 빨리 진행되거나 다른 충격이 세계 경제를 타격하면 신흥국이 더 광범위한 스트레스를 받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