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정상 "김정은 답방은 평화정착 모멘텀"…연내 실현될까
입력
수정
남북관계 '과속' 논란 잦아들듯…13일 답방 시나리오 주목
문대통령-김정은 대좌, 북미 소강 국면서 다시 '길잡이' 역할 관측도
철도사업 등 남북협력 훈풍으로 기대감 커져…김정은 최종 판단 남아
아르헨티나를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 오후(현지시간) 열린 정상회담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울 답방에 대해 "평화정착에 모멘텀을 제공할 것"이라고 평가했다.이에 따라 두 정상의 이런 공동인식이 김 위원장의 연내 서울 답방 기대감을 다시 한 번 키우는 계기로 작용할지 주목된다.
남북 정상의 만남이 소강 국면을 보이는 북미 간 협상에 돌파구를 마련하고 2차 북미정상회담의 성공을 견인하는 '길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 한국 정부의 기대인데, 이날 트럼프 대통령 역시 회담에서 같은 생각을 내비쳤기 때문이다.
그러나 답방의 성사 여부는 김 위원장의 판단에 달린 것이어서, 시기를 연내로 단언하긴 이르다는 관측도 나온다.한국 정부는 지난 9월 평양 남북정상회담 후 김 위원장의 연내 답방을 꾸준히 추진했으나, 최근 북미고위급회담이 연기되는 등 북미 간 협상이 지척거리자 답방 시기가 늦춰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여기에 일부에서는 북미 협상에 비해 남북관계 진전속도가 빠르다는 '과속 논란'이 일었다는 점에서 한국 정부가 속도를 조절해야 한다는 주장도 뒤따랐다.
하지만 이날 한미정상회담을 계기로 과속 논란은 수그러들 전망이다.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도 문 대통령이 군사적 긴장 완화를 통해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우호적 환경 조성에 주도적 역할을 해 온 것을 높이 평가했다"고 말했다.
나아가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 필요성에 공감했고, 이는 문 대통령이 김 위원장과 대화에 적극적으로 임해달라고 당부한 것으로 풀이된다.
동시에 김 위원장을 향해 한미 공동의 인식을 보여주며 남북대화에 나서라는 메시지를 던진 것으로도 해석된다.물론 이날 정상회담 브리핑에서는 김 위원장의 구체적 답방 시기는 언급되지 않았지만,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도 연내 남북정상회담이 열릴 수 있다는 인식을 충분히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이 연내 답방의 필요성을 먼저 언급하고, 트럼프 대통령이 공감하는 방식으로 대화가 흘러갔으리라는 것이 이 고위관계자의 설명이다.
그는 '북미정상회담 전에 남북정상회담이 성사될 가능성이 더 커진 것인가'라는 질문에 "오늘 회담 결과를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답했다.
현재 거론되는 이달 13~14일 답방설에 다시 시선이 쏠리는 이유다.
정부가 이 시기에 김 위원장이 서울을 찾을 것으로 보고 숙박시설이나 문화시설 등을 준비하고 있다는 얘기가 나오고, 청와대도 "여러 시나리오를 마련하고 준비하고 있다"며 이를 부인하지는 않고 있다.철도연결을 위한 북한 지역 공동조사를 시작하는 등 남북관계에 훈풍이 분다는 점도 주목된다.
이 고위관계자는 "북미정상회담이 열리겠지만 남북정상회담도 이와 별개로 열릴 수 있다"며 "남북정상회담은 외국 정부의 승인을 받을 사항도 아니며, 북미정상회담과 연계된 것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은 지난 9월 평양에서 이미 남북 정상이 합의한 사안인 만큼, 남북관계 발전 및 협력강화의 연장선에서 자연스럽게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일부에서는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 가능성과는 별개로, 연내 철도연결 착공식이 열린다면 여기에 남북 정상이 함께 참석하는 등 다양한 방식의 만남이 가능하다는 얘기도 나온다.다만 답방 여부는 김 위원장이 정하는 것인 만큼 연내 답방을 낙관할 수 없다는 신중론도 동시에 제기된다.
이 고위관계자는 "우리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대비할 수밖에 없지만 최종 판단은 북한에 맡길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그러면서 "설령 우리가 내년 초로 답방 시기를 잡는다고 해도, 김 위원장이 연말에 오겠다고 하면 못 받을 이유는 없지 않나"라며 "하지만 북한이 어떤 생각인지 확신할 수 없고, 답방 여부를 확정적으로 말할 수 없는 유동적 상황"이라고 했다.
/연합뉴스
문대통령-김정은 대좌, 북미 소강 국면서 다시 '길잡이' 역할 관측도
철도사업 등 남북협력 훈풍으로 기대감 커져…김정은 최종 판단 남아
아르헨티나를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 오후(현지시간) 열린 정상회담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울 답방에 대해 "평화정착에 모멘텀을 제공할 것"이라고 평가했다.이에 따라 두 정상의 이런 공동인식이 김 위원장의 연내 서울 답방 기대감을 다시 한 번 키우는 계기로 작용할지 주목된다.
남북 정상의 만남이 소강 국면을 보이는 북미 간 협상에 돌파구를 마련하고 2차 북미정상회담의 성공을 견인하는 '길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 한국 정부의 기대인데, 이날 트럼프 대통령 역시 회담에서 같은 생각을 내비쳤기 때문이다.
그러나 답방의 성사 여부는 김 위원장의 판단에 달린 것이어서, 시기를 연내로 단언하긴 이르다는 관측도 나온다.한국 정부는 지난 9월 평양 남북정상회담 후 김 위원장의 연내 답방을 꾸준히 추진했으나, 최근 북미고위급회담이 연기되는 등 북미 간 협상이 지척거리자 답방 시기가 늦춰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여기에 일부에서는 북미 협상에 비해 남북관계 진전속도가 빠르다는 '과속 논란'이 일었다는 점에서 한국 정부가 속도를 조절해야 한다는 주장도 뒤따랐다.
하지만 이날 한미정상회담을 계기로 과속 논란은 수그러들 전망이다.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도 문 대통령이 군사적 긴장 완화를 통해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우호적 환경 조성에 주도적 역할을 해 온 것을 높이 평가했다"고 말했다.
나아가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 필요성에 공감했고, 이는 문 대통령이 김 위원장과 대화에 적극적으로 임해달라고 당부한 것으로 풀이된다.
동시에 김 위원장을 향해 한미 공동의 인식을 보여주며 남북대화에 나서라는 메시지를 던진 것으로도 해석된다.물론 이날 정상회담 브리핑에서는 김 위원장의 구체적 답방 시기는 언급되지 않았지만,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도 연내 남북정상회담이 열릴 수 있다는 인식을 충분히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이 연내 답방의 필요성을 먼저 언급하고, 트럼프 대통령이 공감하는 방식으로 대화가 흘러갔으리라는 것이 이 고위관계자의 설명이다.
그는 '북미정상회담 전에 남북정상회담이 성사될 가능성이 더 커진 것인가'라는 질문에 "오늘 회담 결과를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답했다.
현재 거론되는 이달 13~14일 답방설에 다시 시선이 쏠리는 이유다.
정부가 이 시기에 김 위원장이 서울을 찾을 것으로 보고 숙박시설이나 문화시설 등을 준비하고 있다는 얘기가 나오고, 청와대도 "여러 시나리오를 마련하고 준비하고 있다"며 이를 부인하지는 않고 있다.철도연결을 위한 북한 지역 공동조사를 시작하는 등 남북관계에 훈풍이 분다는 점도 주목된다.
이 고위관계자는 "북미정상회담이 열리겠지만 남북정상회담도 이와 별개로 열릴 수 있다"며 "남북정상회담은 외국 정부의 승인을 받을 사항도 아니며, 북미정상회담과 연계된 것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은 지난 9월 평양에서 이미 남북 정상이 합의한 사안인 만큼, 남북관계 발전 및 협력강화의 연장선에서 자연스럽게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일부에서는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 가능성과는 별개로, 연내 철도연결 착공식이 열린다면 여기에 남북 정상이 함께 참석하는 등 다양한 방식의 만남이 가능하다는 얘기도 나온다.다만 답방 여부는 김 위원장이 정하는 것인 만큼 연내 답방을 낙관할 수 없다는 신중론도 동시에 제기된다.
이 고위관계자는 "우리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대비할 수밖에 없지만 최종 판단은 북한에 맡길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그러면서 "설령 우리가 내년 초로 답방 시기를 잡는다고 해도, 김 위원장이 연말에 오겠다고 하면 못 받을 이유는 없지 않나"라며 "하지만 북한이 어떤 생각인지 확신할 수 없고, 답방 여부를 확정적으로 말할 수 없는 유동적 상황"이라고 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