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형 일자리' 현대차 투자까지 …'지난한 4년의 여정'
입력
수정
현대차 노조·민노총 등 노동계 반발…협상 난항 거듭
노사민정협의회 구성…정치권·시도민 전폭적 지원 힘입어 사실상 타결임금을 줄이고 일자리를 늘리는 이른바 '광주형 일자리' 사업(프로젝트)은 민선 6기 윤장현 시장의 핵심 공약으로 출발했다.선거의 핵심 공약인 '노사민정(勞使民政) 대타협을 통한 일자리 1만개 창출'이 그 모태가 됐다.
윤 시장은 취임 뒤 곧바로 2014년 9월 전담 조직으로 시 사회통합추진단을 신설하고기아차 광주공장 노조위원장 출신인 박병규를 영입했다.
광주형 일자리의 실체는 이듬해 8월 한국노동연구원의 연구용역 보고서가 나오면서 구체화됐다.2016년 7월 관련 조례가 제정하는 등 사업 추진의 근거도 마련했다.
하지만 지속적인 러브콜에도 현대차가 관심을 보인 것은 사실상 민선 6기가 다 끝난 지난 6월에서다.
현대자동차는 6월 1일 광주시에 완성차 공장 설립을 위한 지분투자 의향서를 제출하면서 사실상 처음으로 이 사업에 발을 담궜다.광주시는 현대차의 투자만이 사업 성공의 열쇠인 만큼 이를 실현하는 데 총력을 기울였다.
하지만 쟁점에 대한 의견 차이가 드러나면서 지난 6월 19일 예정된 현대차와의 투자 협약식이 연기됐고 사업 추진은 급제동이 걸렸다.
'좋은 일자리 만들기'를 민선 7기 최대 공약으로 내건 이용섭 시장이 바통을 이어받았지만, 협상 타결까지는 그 여정이 녹록지 않았다.노사민정의 한 축인 노동계는 민주노총이 빠진 한국노총만이 참가해 애초부터 불안한 출발을 해야만 했다.
9월에는 한국노총이 적정임금 수준에 불만을 드러내면서 협상 불참을 선언하는 등 무산 위기를 맞기도 했다.
어려운 자동차 산업과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다는 열망과 기대 속에 사회단체, 시민, 학생 등 각계각층이 사업 추진을 위해 한목소리를 내면서 꺼져가는 불씨가 되살아났다.
10월에는 노동계가 참여한 협의체인 '원탁회의'가 만들어지면서 사업 추진은 다시 힘을 얻고 속도를 냈다.
3차례 논의 끝에 노동계 의견을 반영한 협약서가 지난달 1일 만들어졌다.
시, 노동계, 전문가가 참여한 '투자유치추진단'이 꾸려졌고, 시는 추진단 대표로 협상단을 꾸려 현대차와 협상에 돌입했다.그러나 현대차는 당초 맺은 협상안을 고수하고 민주노총과 현대차는 중복투자, 과잉생산 등을 주장하며 파업 불사까지 결의하는 등 다시 난항에 빠졌다.
협상 위기 속에 100대 국정 과제에 이 프로젝트를 넣을 정도로 사업 성공에 공을 들인 정부와 더불어민주당 등 정치권의 전폭적인 지지는 협상에 힘을 불었다.
교착 상태에 빠진 협상은 지난달 27일 지역 노동계가 협상 전권을 시에 위임하면서 극적으로 새 국면을 맞았다.
협상단은 현대차 요구를 수용하면서 접점을 찾아갔고 여야 공방으로 국회 예산 일정이 표류하는 상황에서 4일 현대차와 사실상 극적인 합의를 끌어냈다.
민선 6기에 출발해 4년여만인 민선 7기에 첫 단추를 끼운 광주형 일자리 사업은 결국 현대차의 사업 투자를 끌어내면서 이제 대장정의 출발점에 섰다.협상단은 5일 노사민정협의회에서 현대차와의 협상을 의결하고 6일에는 현대차와 협상 마무리를 한 뒤 투자 협약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노사민정협의회 구성…정치권·시도민 전폭적 지원 힘입어 사실상 타결임금을 줄이고 일자리를 늘리는 이른바 '광주형 일자리' 사업(프로젝트)은 민선 6기 윤장현 시장의 핵심 공약으로 출발했다.선거의 핵심 공약인 '노사민정(勞使民政) 대타협을 통한 일자리 1만개 창출'이 그 모태가 됐다.
윤 시장은 취임 뒤 곧바로 2014년 9월 전담 조직으로 시 사회통합추진단을 신설하고기아차 광주공장 노조위원장 출신인 박병규를 영입했다.
광주형 일자리의 실체는 이듬해 8월 한국노동연구원의 연구용역 보고서가 나오면서 구체화됐다.2016년 7월 관련 조례가 제정하는 등 사업 추진의 근거도 마련했다.
하지만 지속적인 러브콜에도 현대차가 관심을 보인 것은 사실상 민선 6기가 다 끝난 지난 6월에서다.
현대자동차는 6월 1일 광주시에 완성차 공장 설립을 위한 지분투자 의향서를 제출하면서 사실상 처음으로 이 사업에 발을 담궜다.광주시는 현대차의 투자만이 사업 성공의 열쇠인 만큼 이를 실현하는 데 총력을 기울였다.
하지만 쟁점에 대한 의견 차이가 드러나면서 지난 6월 19일 예정된 현대차와의 투자 협약식이 연기됐고 사업 추진은 급제동이 걸렸다.
'좋은 일자리 만들기'를 민선 7기 최대 공약으로 내건 이용섭 시장이 바통을 이어받았지만, 협상 타결까지는 그 여정이 녹록지 않았다.노사민정의 한 축인 노동계는 민주노총이 빠진 한국노총만이 참가해 애초부터 불안한 출발을 해야만 했다.
9월에는 한국노총이 적정임금 수준에 불만을 드러내면서 협상 불참을 선언하는 등 무산 위기를 맞기도 했다.
어려운 자동차 산업과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다는 열망과 기대 속에 사회단체, 시민, 학생 등 각계각층이 사업 추진을 위해 한목소리를 내면서 꺼져가는 불씨가 되살아났다.
10월에는 노동계가 참여한 협의체인 '원탁회의'가 만들어지면서 사업 추진은 다시 힘을 얻고 속도를 냈다.
3차례 논의 끝에 노동계 의견을 반영한 협약서가 지난달 1일 만들어졌다.
시, 노동계, 전문가가 참여한 '투자유치추진단'이 꾸려졌고, 시는 추진단 대표로 협상단을 꾸려 현대차와 협상에 돌입했다.그러나 현대차는 당초 맺은 협상안을 고수하고 민주노총과 현대차는 중복투자, 과잉생산 등을 주장하며 파업 불사까지 결의하는 등 다시 난항에 빠졌다.
협상 위기 속에 100대 국정 과제에 이 프로젝트를 넣을 정도로 사업 성공에 공을 들인 정부와 더불어민주당 등 정치권의 전폭적인 지지는 협상에 힘을 불었다.
교착 상태에 빠진 협상은 지난달 27일 지역 노동계가 협상 전권을 시에 위임하면서 극적으로 새 국면을 맞았다.
협상단은 현대차 요구를 수용하면서 접점을 찾아갔고 여야 공방으로 국회 예산 일정이 표류하는 상황에서 4일 현대차와 사실상 극적인 합의를 끌어냈다.
민선 6기에 출발해 4년여만인 민선 7기에 첫 단추를 끼운 광주형 일자리 사업은 결국 현대차의 사업 투자를 끌어내면서 이제 대장정의 출발점에 섰다.협상단은 5일 노사민정협의회에서 현대차와의 협상을 의결하고 6일에는 현대차와 협상 마무리를 한 뒤 투자 협약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