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당 국민소득 3만불 시대 눈앞…성장률은 6년만에 '최저'
입력
수정
올해 한국 경제의 1인당 국민소득이 3만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성장률은 6년 만에 최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9일 한국은행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1인당 국민소득(GNI)은 2만 달러를 돌파한 지 12년 만에 3만달러를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1인당 국민소득은 지난해 이미 2만9745달러로 3만달러 턱 밑까지 올라섰다. 올해 들어 3분기까지 따져보면 2만3433달러로 추산된다. 이 기간 국민총소득에 평균 환율 1,090.88원과 통계청 집계 인구를 반영해 구한 값이다. 이런 속도가 이어지면 올해 1인당 국민소득은 3만1243달러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 2006년(2만795달러) 2만달러 시대에 진입했지만 이후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느라 선진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3만달러 돌파까지 10년 넘게 걸렸다.
세계은행 기준으로 보면 지난해 한국의 1인당 국민소득은 31위다. 이 가운데 인구가 2000만명이 넘는 국가만 따져보면 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 독일, 캐나다, 호주, 이탈리아에 이어 9위였다.스페인은 3만달러를 넘었다가 재정위기를 겪으며 한국 다음 순위로 내려갔다. 한국 바로 위에 있는 이탈리아도 그 이후로 국민소득이 계속 하락세다.
과거와 비교하면 격세지감이다. 1980년대만 해도 이탈리아, 스페인의 1인당 국민소득의 한국의 몇 배 수준이었다.
3만달러 시대에 접어들지만 올해 한국 경제는 기대보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경제 성장률이 2%대로 다시 떨어지며 저성장 추세가 고착화한다는 우려가 커진다.한은 전망에 따르면 올해 경제 성장률은 2.7%다. 2012년(2.3%)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이다.
성장세마저도 고르지 않고 부문 간 격차가 크다는 점이 문제다. 거시경제정책이 기준이 되는 전체 평균치에 비해 체감 경기가 좋지 않은 배경이다.
반도체 수출이 경제 성장을 이끌었지만 내수는 얼어붙었다. 특히 건설분야 하강이 가파르다.올해 3분기 건설투자는 전분기 대비 -6.7%로 외환위기 이후 감소폭이 가장 컸다.
최저임금을 올리고 주52시간제가 도입됐지만, 취업자 증가폭이 급감하고 영세 자영업자들의 고충이 커졌다. 저금리가 지속했지만 기업 투자는 부진하고 부동산값만 뛰었다.
지역 경기도 주력 산업 상황에 따라 온도 차가 크다. 자동차와 조선업 등 구조조정이 진행 중인 산업 의존도가 높은 지역은 위기상황이다.내년 이후에 기대를 걸어볼 구석이 마땅치 않다는 점이 경제주체들의 심리를 더 냉각시킨다. 미중 무역분쟁 등 나라 밖 사정도 불확실성이 매우 크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9일 한국은행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1인당 국민소득(GNI)은 2만 달러를 돌파한 지 12년 만에 3만달러를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1인당 국민소득은 지난해 이미 2만9745달러로 3만달러 턱 밑까지 올라섰다. 올해 들어 3분기까지 따져보면 2만3433달러로 추산된다. 이 기간 국민총소득에 평균 환율 1,090.88원과 통계청 집계 인구를 반영해 구한 값이다. 이런 속도가 이어지면 올해 1인당 국민소득은 3만1243달러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 2006년(2만795달러) 2만달러 시대에 진입했지만 이후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느라 선진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3만달러 돌파까지 10년 넘게 걸렸다.
세계은행 기준으로 보면 지난해 한국의 1인당 국민소득은 31위다. 이 가운데 인구가 2000만명이 넘는 국가만 따져보면 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 독일, 캐나다, 호주, 이탈리아에 이어 9위였다.스페인은 3만달러를 넘었다가 재정위기를 겪으며 한국 다음 순위로 내려갔다. 한국 바로 위에 있는 이탈리아도 그 이후로 국민소득이 계속 하락세다.
과거와 비교하면 격세지감이다. 1980년대만 해도 이탈리아, 스페인의 1인당 국민소득의 한국의 몇 배 수준이었다.
3만달러 시대에 접어들지만 올해 한국 경제는 기대보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경제 성장률이 2%대로 다시 떨어지며 저성장 추세가 고착화한다는 우려가 커진다.한은 전망에 따르면 올해 경제 성장률은 2.7%다. 2012년(2.3%)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이다.
성장세마저도 고르지 않고 부문 간 격차가 크다는 점이 문제다. 거시경제정책이 기준이 되는 전체 평균치에 비해 체감 경기가 좋지 않은 배경이다.
반도체 수출이 경제 성장을 이끌었지만 내수는 얼어붙었다. 특히 건설분야 하강이 가파르다.올해 3분기 건설투자는 전분기 대비 -6.7%로 외환위기 이후 감소폭이 가장 컸다.
최저임금을 올리고 주52시간제가 도입됐지만, 취업자 증가폭이 급감하고 영세 자영업자들의 고충이 커졌다. 저금리가 지속했지만 기업 투자는 부진하고 부동산값만 뛰었다.
지역 경기도 주력 산업 상황에 따라 온도 차가 크다. 자동차와 조선업 등 구조조정이 진행 중인 산업 의존도가 높은 지역은 위기상황이다.내년 이후에 기대를 걸어볼 구석이 마땅치 않다는 점이 경제주체들의 심리를 더 냉각시킨다. 미중 무역분쟁 등 나라 밖 사정도 불확실성이 매우 크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