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코노미] "급매물도 안 팔린다"…서울 아파트거래 20분의 1토막
입력
수정
전년 대비 10분의 1…올 8월 대비 5% 수준
고가 아파트 거래비중 8월 48%→11월 29%

◆8월 1만4981건→11월 755건10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는 755건(거래일 기준)을 기록해 10월(2830건)보다 73% 감소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8138건)과 비교하면 90%가량 줄었다. 강남·서초·송파 등 ‘강남3구’는 10월 361건이던 거래량이 지난달 95건으로 73% 떨어졌다. 올해 서울 집값 상승세를 이끌던 ‘마·용·성(마포·용산·성동)’ 역시 같은 기간 217건에서 58건으로 감소해 4분의 1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이달 들어서는 지난 6일까지 서울 전체에서 24건의 매매거래만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신분당선 연장 발표 이후 집값이 크게 올랐던 은평구 진관동에선 매수세가 자취를 감췄다. 진관동 D공인 관계자는 “몇 달 전만 해도 매매계약을 파기하면서까지 콧대를 세우던 집주인들이 이제는 매수인을 구해달라는 전화를 한다”며 “정부 대책의 효과가 예상보다 크게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성동구 금호동 J공인 관계자는 “집을 보러 오는 이들은 대부분 전세를 찾는다”면서 “그동안 집값이 너무 오른 탓에 전세로 한두 번 산 뒤 가격이 떨어지면 사겠다는 이들이 늘고 있다”고 전했다.전체 거래에서 고가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은 크게 감소했다. 지난달 실거래된 755건 가운데 9억원 이상 아파트의 비중은 12%(94건)에 불과했다. 지난 8월엔 고가 아파트 거래의 비중이 22%(3317건)였다. 가격 기준을 6억원으로 낮추면 차이는 더욱 극명하다. 8월 실거래 가운데 6억원 이상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은 48%(7233건)로 절반에 가까웠지만 지난달엔 29%(222건)에 머물렀다.
신고일 기준으로 집계한 거래량도 줄어들긴 마찬가지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신고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는 지난달 3587건이 이뤄져 10월(1만175건) 대비 64% 감소했다. 신고일 기준 통계와 거래일 기준 통계에 차이가 있는 건 매매 실거래신고 기간이 거래일로부터 60일 이내인 까닭이다. 9~10월 거래분이 11월에 몰려 신고된다면 거래량이 많은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중위가격 7억→8억부동산 전문가들은 내년 아파트 거래가 더욱 경색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매수심리가 확 꺾여서다. 9·13 대책 이후 신규 취득한 주택의 경우 공시가격이 6억원(서울·수도권 기준)을 넘는다면 임대사업자로 등록하더라도 장기보유특별공제를 받을 수 없다. 종전엔 최고 70%까지 가능했다. 종합부동산세 합산 배제도 불가능해진 데다 세율까지 크게 올랐다. 투자 목적의 주택 구입이라면 부담해야 할 세금이 눈덩이처럼 불어난 셈이다. 여기에 대출까지 막혔다.
전형진 기자 withmol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