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에 있는 거울·책상을 대형 스크린으로 쓴다
입력
수정
지면A16
신인식·김효수 KAIST 연구팀, 스마트폰 기반 '터치사운드 위치파악 기술' 개발
KAIST는 전산학부 신인식 교수와 김효수 연구교수 연구팀이 가구, 거울 등의 주변 사물을 터치 입력도구로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기반의 ‘터치 사운드 위치파악 기술’(사진)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이 기술은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PC를 더 큰 화면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주변에 있는 책상과 거울, 벽 등 다양한 사물의 평면을 가상 액정으로 사용할 수 있다. 장문의 문자, 메일 등을 손쉽게 작성할 수 있다. 체스와 같은 보드게임도 즐길 수 있다.
이처럼 단순 디스플레이 기능만 제공하던 스마트 TV, 거울과 같은 스마트기기에 터치 입력 기능을 삽입하면 더 편리하고 효율적인 기기 활용이 가능해진다.
핵심 기술은 ‘터치 사운드’다. 한마디로 두드리는 소리다. 연구진은 기존 스마트폰 액정이나 태블릿PC 액정, 마우스 등을 이용할 때 두드리는 지점에 따라 각기 다른 소리가 들리는 점을 활용했다. 주파수별 소리 도달 시간의 차이와 소리 전달 거리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 값을 활용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 위치를 정확하게 계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이 기술을 활용할 때에는 3~4개 스마트폰이나 마이크 등을 정해진 지점에 올려놓은 뒤, 전용 연결 프로그램을 작동시키면 된다. 책상, 거울 등에 비친 화면에 손을 두드리면 ‘어디에 두드렸는지’ 소리값을 통해 파악한 뒤 실제 기기와 연동하는 식이다.
이번에 개발한 시스템은 약 17인치 터치스크린에서 평균 0.4㎝ 이내 측정 오차를 보였다. 주변 물체의 위치 및 소음이 변하는 상황에서도 항상 1㎝ 이내 측정오차를 기록하는 정확성을 보였다.
신 교수는 “통상 터치스크린은 크기가 커질수록 가격이 높아진다”며 “이 기술을 활용하면 매우 저렴한 가격에 대형 스크린을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연구팀이 개발한 시스템은 지난 11월4~7일 중국 선전에서 열린 모바일·센싱 분야의 최고 권위 국제학회 ‘ACM SenSys’에서 발표됐다. 학회는 기술의 우수성을 인정해 연구팀에 ‘베스트 페이퍼 러너-업 어워드(best paper runner-up award)’를 수여했다.
윤희은 기자 sou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