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정산 앞두고 연금상품 가입 시 챙겨볼 점은?
입력
수정

금감원은 우선 연금계좌 추가납입으로 연말정산을 미리 준비할 것을 주문했다. 대표적인 절세상품으로 손꼽히는 연금저축과 개인형 퇴직연금(IRP)의 경우 적립한 금액 중 700만원까지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연봉 5500만원 이하 근로자는 세액공제율은 16.5%이고, 이를 초과하는 연봉자면 13.2%의 세액이 공제된다. 또한 IRP 가입 시 수수료 할인혜택에 대해 살펴볼 것을 주문했다. IRP 수수료는 퇴직연금사업자 혹은 적립금 구간별로 다르고, 개인 추가납입분에 대한 수수료를 면제하는 경우도 있어 이를 비교한 후 가입해야 한다는 당부다.
퇴직연금 적립금의 예금보호한도를 확인하는 조치도 필요하다. 확정기여(DC)형 퇴직연금과 IRP적립금을 예금 등으로 운용하는 경우, 일반 예금 등과는 별도로 부보금융회사별로 1인당 5000만원까지 보호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미 가입한 연금계좌도 수익률과 수수료, 서비스 등을 비교해 더 나은 혜택을 주는 금융사의 연금계좌로 이전할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연금자산의 실질수익률을 높이려는 노력도 필요하다. 은행 정기예금 등은 만기 도래 시 운용지시를 변경하지 않아 동일상품으로 재예치되거나 대기자금화돼 낮은 금리를 적용받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인의 연금자산 현황은 통합연금포털을 활용하면 편리하게 조회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