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5∼29세 고용률 36년래 최고치…단기일자리 때문 아냐"

고용부, 11월 고용동향 분석…"30·40대 취업 감소는 인구 감소 영향"

청년층에 양질의 일자리가 증가하고 있고 전반적인 고용률도 개선됐다는 분석이 나왔다.고용노동부는 11월 고용 동향을 분석한 내용을 17일 발표하면서 지난해 같은 달보다 청년층(15∼29세)은 인구가 13만7천 명 감소했음에도 취업자는 9만6천 명 증가하고 고용률은 1.7%포인트 올랐다고 밝혔다.

노동시장에 진입하는 주 연령층인 25∼29세 청년층의 고용률은 2.9%포인트 늘어난 71.2%로 1982년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고용부는 "비교적 양질의 일자리인 정보통신, 공공행정 부문에서 상용직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단기일자리 정책 효과로 보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정보통신업과 공공행정은 상용직 비중이 각 90.7%, 78.6%로 전체 산업 평균 67.4%보다 높은 편이다.

공공부문 취업자가 증가한 것과 관련해서는 "공공일자리 사업이 시행된 지난 10월 24일 직후인 11월 조사결과에서 공공행정 취업자 변화가 나타났다고 보기 어렵다"며 "지금으로선 단기 공공일자리 대책의 효과를 확인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청년층 취업은 늘었지만, 30∼40대 취업자는 감소했다.작년 같은 달보다 30대 취업자는 9만8천 명, 40대 취업자는 12만9천 명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다.

고용부는 그 원인을 인구변화에서 찾았다.

고용부 관계자는 "저출산과 고령화로 30∼40대 인구는 감소하고 50세 이상 인구가 증가하면서 취업자도 같은 경향이 나타난다"며 "단순한 취업자 증감보다는 인구 변화를 고려한 고용률 변화로 판단해야 한다"고 제시했다.제조업 취업자 수가 9만1천 명 감소한 데 대해서는 "양질의 일자리 감소를 뜻하지는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이와 관련, 고용부 측은 정보통신업 8만7천 명, 금융보험업 3만3천 명, 전문과학기술서비스 1만7천 명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산업 취업자는 증가 추세를 이어갔다고 설명했다.

또 "전체 취업자는 상용직 중심으로 증가하고 고용보험 가입자 수도 확대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조선업 등은 서비스업에도 영향을 미치는 등 전후방 효과가 크다"며 "40대 고용률 감소 등과 함께 심각하게 보고 있다"고 우려했다.

40대는 인구가 12만5천 명 줄어 취업자의 감소 폭이 더 컸다.

취업자의 1∼11월 평균 주당 취업시간은 2014년 43.9시간에서 지속해서 감소해 올해 41.5시간을 기록했지만, 소득 감소로 이어지지는 않았다고 고용부는 밝혔다.

근로시간 감소와 무관하게 근로자의 1인당 월평균 임금은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임금 근로자의 1∼9월 평균 임금 상승률은 2014년부터 해마다 각 2.0%, 3.0%, 3.9%, 3.6%, 5.7%로 나타났다.

근로시간 단축 등의 영향으로 올해 들어 주당 54시간 이상 취업자는 72만5천 명 감소했다.

대신 36∼44시간 취업자는 81만8천 명 늘어났다.

올해 1∼11월 평균 비경제활동인구 중 활동 상태가 '쉬었음'으로 분류된 인구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1만8천 명 증가했다.

대부분 연령대에서 '쉬었음'에 해당하는 인구는 증가세가 둔화하거나 감소하지만, 30대에서는 2만1천 명 늘어나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고용부는 언급했다.

구직단념자는 전년 동기 대비 8만5천 명 늘어난 53만5천 명으로 11월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고용부는 11월 공무원시험 접수·응시인원이 10만7천 명 줄어들면서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되는 구직단념·취업준비자가 늘어났고 실업자는 감소(4만9천 명)해 이런 결과가 나온 것으로 해석했다.

청년층은 공공기관이나 대기업 시험 준비로 실업과 비경제활동 상태를 오가는데 이번엔 실업자가 감소하고 비경제활동인구가 늘었다는 것이다.

고용부는 "11월에는 취업자 증가 폭이 지난해 6만4천 명에서 올해 16만5천 명으로 확대되고 5개월 연속 하락하던 고용률도 증가세로 바뀌는 등 고용여건이 개선됐다"고 총평했다.이어 "소매업종의 행사와 관광객 증가 등의 영향으로 '도소매·숙박음식업' 고용 부진이 완화된 것이 주된 영향"이라며 "다만 경제의 주축인 30∼40대 중년층과 주력산업인 제조업 고용 부진이 지속하는 만큼 향후 동향을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