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기 신도시] 계양테크노밸리 '新경인산업축' 잇는다

일자리 10만개 창출해 상암∼마곡∼계양∼부평∼남동∼송도 벨트 연결
정부가 19일 제3기 신도시 사업지구로 발표한 인천 계양구 귤현동 일대 '계양테크노밸리'는 주거기능에 치우친 베드타운이 아닌 대규모 일자리 창출을 동반한 자족도시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계양테크노밸리는 2026년까지 계양구 귤현·동양·박촌·병방동 일대 3.35㎢에 조성된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인천도시공사(IMCD)가 사업에 참여한다.

인천시는 계양테크노밸리가 상암∼마곡∼계양∼부평∼남동∼송도국제도시를 잇는 '新경인산업축'을 연결해 인천 경제에 활력을 불어 넣을 것으로 보고 있다.계양테크노밸리는 가용용지의 절반에 가까운 0.9㎢의 자족용지를 확보한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이곳에 정보통신·디지털콘텐츠 등 첨단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기업 유치와 창업을 유도해 총 10만개의 일자리를 공급한다는 야심찬 계획이다.

이 같은 자족용지 규모는 판교신도시의 1.4배에 달한다.기업 유치를 위해 저렴한 토지 공급과 세제 혜택 등은 물론 인천시가 도시첨단산업단지로 중복 지정하는 방안도 함께 추진한다.

박남춘 인천시장의 청년창업 공약인 '더드림(The Dream)촌'도 이곳에 조성될 예정이다.

계양테크노밸리의 주거시설은 신혼희망타운·행복주택·창업지원주택 등 청년 수요를 중심으로 총 1만6천500가구가 공급된다.명실상부한 자족도시를 위해 주택 공급 규모를 해당 사업지구 종사자의 5분의 1로 계획했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또 국공립 어린이집과 유치원 32곳을 조성하는 등 이른바 '워라밸'(Work and Life Balance·일과 생활 균형) 실현이 가능한 직주근접형 도시로 만든다는 구상이다.
인천시는 계양테크노밸리의 가장 큰 성공 잠재력으로 우수한 입지여건을 꼽고 있다.

서울과 가까운 지리적 이점을 최대한 살리고 서울 서·남부권과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박촌역∼김포공항 노선에 지하철 시스템을 도입한 전용차로 차량인 S-BRT(Superior BRT) 운행을 검토한다.

이와 함께 공항고속도로 전용 IC를 신설하는 등 다양한 교통대책을 마련해 김포공항 6분, 여의도 15분, 신논현역 40분 내 접근을 실현할 계획이다.

인천시는 계양테크노밸리가 원도심 재개발, 검단신도시 조성 등 배후지역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고 있다.시 관계자는 "판교의 경우 종사자의 50%가 판교신도시를 포함한 성남시에 거주하는데 계양테크노밸리도 유사한 양상을 띨 것으로 본다"면서 "계양테크노밸리 기업 입주 시기는 앞당기고 주택공급은 2021년 이후로 늦춰 자족용지와 주거용지를 연동해 공급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