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개 테크노파크, 4000개 지역기업 집중 육성
입력
수정
지면A19
20년 된 산업기술단지 컨트롤타워의 미션1990년대 중반 이후 공단으로 불리는 기존 산업단지와는 다른 산업용지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기 시작했다. 1995년 지방자치제 시행으로 지역산업 발전 필요성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외환위기 이후에는 중소기업 기술 혁신 및 창업 활성화 필요성까지 더해졌다. 이 과제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주체를 구성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졌다. 그 결과 1998년 ‘산업기술단지 지원에 관한 특례법’이 제정되고, 이 법에 근거해 산업기술단지를 조성·운영하는 사업시행자인 테크노파크가 18개 설립됐다. 산업기술단지는 기업 대학 연구소 등의 토지 건물 시설 등 인적·물적 자원을 일정한 장소에 집적해 지역 혁신역량을 높이는 집합체다.
지역 스타기업 1000개도
스마트공장 구축 사업 앞장
'규제자유특구' 주도적 역할
올해로 20년이 된 테크노파크는 앞으로 5년간 지역에 ‘창업보육 후 성장기업(Post BI)’ 3000개를 육성하고, 지역 우수기업 1000개를 키운다는 목표를 세웠다.창업 후 성장기업·지역 우수기업 육성
테크노파크는 총 3단계에 걸쳐 추진됐다. 2007년까지인 1단계는 혁신활동 인프라 구축에 집중했다. 기업이 입주할 공간을 조성하고, 창업보육시설을 설립하는 게 주요 업무였다. 시험 생산 장비 등 기술혁신 인프라 구축도 테크노파크의 몫이었다. 이 기간 대구 충남 전남 등 16개 지역에 테크노파크가 들어섰다. 2012년까지는 산업육성 전문가 조직이 구성되고 대전과 제주에도 테크노파크가 조성됐다.
현재 전국에는 18개 테크노파크가 있다. 2013년 이후에는 지역 밀착형 지원사업에 적극 나섰다. 지역 중소기업·특화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 수립 및 기술혁신 거점으로 탈바꿈한 것이다. 지난달 말에는 세종테크노파크가 지정 승인돼 총 17개 시·도에 19개 테크노파크 체계가 완성됐다.지난해 중소벤처기업부가 출범한 뒤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창업기업을, 테크노파크는 성장 단계 중소기업 지원을 맡아 지원하고 있다. 기업 성장의 전 과정을 지원하는 통합 플랫폼도 운영하고 있다. 테크노파크진흥회 관계자는 “테크노파크는 중소기업의 기술 개발 어려움 해소, 시제품 제작, 시험 인증 등 지역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거점 기능을 강화했다”며 “지방중기청 중소기업진흥공단 등 기술지원기관 간 연계·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중소기업기술혁신협의회도 구축을 구성, 운영했다”고 말했다.
스마트공장 지원·규제자유특구 주도
정부는 최근 경남 창원시에서 연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 보고회’에서 2022년까지 10인 이상 제조 중소기업의 절반인 3만 개에 스마트공장을 구축한다고 발표했다. 스마트공장은 제품 기획 설계 생산 유통 판매의 모든 과정을 정보통신기술(ICT)로 통합해 최소 비용과 시간으로 고객 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정부는 중소기업 제조혁신을 전담하는 제조혁신센터를 테크노파크에 설치할 계획이다. 내년 1개소를 시범 설치하기로 했다.정부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지역 신사업을 창출해 수도권·비수도권의 국가균형발전을 이끄는 규제자유특구도 내년 4월부터 운영할 계획이다. 테크노파크는 지역 혁신성장사업 및 전략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규제자유특구 지정 신청과 계획 수립 단계부터 적극적인 역할을 맡을 전망이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