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포럼] 사물인터넷 넘어 '사물 경제' 열린다
입력
수정
지면A33
200억 개 전자기기·센서 인터넷에 연결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 중 사물인터넷(IoT) 얘기를 많이 한다. 사물인터넷은 우리 주변의 기기나 센서들을 인터넷에 연결해 다양한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스마트한 일을 하게 하는 기술이다. 자동차를 몰고 집으로 향하고 있다고 가정해보자. 도착 20분 전에 자동차가 이를 주방에 있는 전기밥솥에 알려 밥을 짓도록 하고 도착 5분 전에는 거실의 전등을 켜고 히터를 작동시키는 게 가능해진다. 우리가 늘 사용하는 전자기기나 센서들이 인터넷으로 연결돼 소통함으로써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블록체인 접목, 기기끼리 경제활동 가능
사물 경제 시대란 대변혁에 대비해야
박수용 < 서강대 교수·컴퓨터공학 >
어느 보고서에 의하면 2020년까지 인터넷상에 약 200억 개의 전자기기나 센서가 연결될 것이라고 하는데 이들은 약 7000조원의 가치가 있는 데이터를 양산할 것이라고 한다. 이에 우리나라도 정부 차원에서 사물인터넷 연구개발(R&D) 및 산업 육성에 적극 나서고 있다.한편으로 연구개발은 많이 하지만 아직 산업으로서 발전하지 못하고 있고, 수많은 데이터를 만들 수는 있으나 이들을 어디에 어떻게 써야 할지 활성화 방안을 잘 모른다는 얘기도 한다. 기술이 기술 단계에 머물러 산업화 등 경제활동 영역으로 전환되지 못하는 게 아니냐는 얘기다.
그러나 사물인터넷 기술은 인공지능(AI) 기술 및 블록체인 기술과 융합하면서 경제 활동으로 연결되는 새로운 현상을 만들어 내고 있다. 첫 번째, 우리가 사는 물리적 세상의 정보가 자동으로 빠르게 디지털 정보로 변환(digital transformation)되고 있다. 주차장의 차량인식센서가 어느 주차공간이 비어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자마자 근처에서 배회하는 차량에 주차공간 정보를 전달하고, 여러 도로의 교통 정보를 차량들에 제공함으로써 막히지 않는 길로 운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은 현실 세계의 현상이 센서를 통해 신속하게 디지털로 전환되고 있어 가능한 일이다.
디지털로 전환된 정보는 빛의 속도로 전달될 뿐 아니라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다양하게 분석돼 사람들의 합리적 결정을 돕거나 사람을 대신해 일을 처리해 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어 있는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고 이를 현재 차량의 위치와 주차비용 등을 종합해 최적의 주차장을 선택해 줄 수 있는 것이다.그런데 우리가 사는 세상의 현상이 디지털화되고 분석돼 좋은 정보가 만들어진다고 하더라도 이것에 대한 가치가 매겨져 거래되지 않는다면 그냥 흥미로운 기술 수준의 현상으로 끝날 것이다. 이런 문제를 풀어 줄 수 있는 게 블록체인 기술이다. 블록체인 기술은 각종 기기가 서로를 신뢰하고 거래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 기기 간에 만들어진 정보를 사고파는 경제활동을 가능케 함으로써 새로운 경제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그래서 필자가 보는 두 번째 현상은 ‘사물 경제(Economy of Things)’ 시대의 도래다.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는 이제 단순한 정보 교환의 수단이 아니라 스스로 정보를 사고파는 데서 나아가 각각의 기기가 제공하는 서비스까지 거래하는 새로운 경제 생태계가 만들어지고 있다. 자동차가 고속도로 톨게이트에 진입할 때 비용을 스스로 내는 것을 넘어, 각각의 차량은 소유하고 있는 데이터를 판매함으로써 스스로 지갑에 수입을 채워 넣기도 하는 경제 활동 주체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인터넷상에 약 200억 개의 센서나 기기가 연결될 것이라고 하는데 이들이 모두 경제활동에 참여한다면 인간이 조성한 시장에 버금가는 큰 경제 생태계가 만들어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아직은 일부에 국한된 현상이라 치부할 수 있는 수준의 작은 변화이기는 하지만 이런 작은 변화가 모여 형성할 미래 세상은 우리가 상상하는 그 이상이 될 것이다. 수동적인 사물인터넷 기술을 뛰어넘어 사물 경제 시대에 나의 미래는, 나의 사업은 그리고 우리 국가 경제는 어떤 모습이 될지, 우리는 어떻게 준비를 해야 하는지가 2019년 새해의 화두가 돼야 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