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 "정치인·교수 등 마구잡이 사찰"…靑 "金 수사관 단독 행동"
입력
수정
지면A6
감찰반 첩보보고 목록 공개 파장
한국당, 국정조사까지 요구
최경환 비위 관련 동향
홍준표 대선자금 모금 시도 등 100여 건 첩보보고 목록 공개
김현미 장관까지 전방위 사찰 의혹…나경원 "靑, 궁색한 해명만 반복"
靑 "개인의 일탈일 뿐"
문제 문건 11건 중 5건 즉시 폐기…4건 적법활동, 2건은 보고도 안해
"비위 혐의자의 일방적 주장…정치적으로 이용되지 않아야"
한국당, 민간인 사찰 리스트 공개나경원 한국당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전 청와대 민정수석실 산하 특별감찰반원인 김태우 수사관이 작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문서를 공개했다. 보고서에는 △최 전 부총리 비위 관련 첩보성 동향 △고건 전 총리의 장남 고진 씨의 비트코인 사업 활동 △송모 한국자산관리공사 비상임이사 동향 △홍준표 전 한국당 대표의 대선 자금 모금 시도 △고삼석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과 김현미 국토부 장관 간 갈등 △박근혜 전 대통령 친분 사업자의 공공기관 예산 수령 △이명박(MB) 정부의 방통위 ‘황금 주파수’ 경매 관련 특혜 제공 △진보 성향인 전성인 홍익대 교수의 VIP(대통령) 비판 동향 등이 포함돼 있다.
나 원내대표는 100여 건의 입수 문서 가운데 11건이 민간인 불법 사찰과 연관돼 있다고 주장했다. 이 중에는 △코리아나호텔 사장 배우자 이미란 씨 자살 관련 동향 △조선일보, BH(청와대)의 홍석현 전 중앙일보 회장 외환관리법 위반 혐의 검토 여부 취재 △조선일보,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 재판 거래 혐의 취재 등 언론 관련 동향도 들어 있었다.
한국당은 우선 국회 운영위원회 소집과 함께 철저한 수사를 촉구했다. 검찰을 향해서는 “제대로 된 수사를 하지 않고 김 수사관에게 칼을 휘두르려 한다면 특검으로 갈 수밖에 없다”고 압박했다. 나 원내대표는 국정조사 추진 가능성도 시사했다. 그는 “이 모든 것이 미진하면 국정조사를 검토하겠다”며 “자성 없는 오만은 부패와 추락의 시작”이라고 말했다.
박 비서관은 한국당이 ‘민간인 사찰’이라고 밝힌 11건의 문서 가운데 홍 전 대표의 대선 자금 모금 시도와 송 비상임이사 동향 등 5건은 특감반장에게 보고됐으나, 특감반의 직무를 넘어선 것으로 판단해 폐기했다고 밝혔다. MB 정부 때 방통위 특혜 제공 의혹과 전 교수 동향은 보고 자체가 된 적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나머지 4건은 감찰반의 적법한 업무 수행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고 상임위원과 김 장관 간 갈등 △박 전 대통령과 친분있는 사업자의 부정행위 등 3건은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에게까지 보고됐다고 시인했다. 고 전 총리 장남 관련 첩보는 박 비서관까지만 보고받은 뒤 폐기됐다고 했다. 박 비서관은 청와대 특감반의 첩보 보고는 ‘특감반원→특감반 데스크→특감반장→반부패비서관→민정수석’의 절차를 거치며, 각 단계에서 직무를 넘어서는 사안은 즉각 폐기 조치된다고 설명했다.박 비서관은 관련 첩보 수집을 김 수사관에게 지시하지 않았다며 관련성을 강하게 부인한 뒤 “문재인 정부 초대 반부패비서관으로서 제 명예를 걸고 법과 원칙에 따라 업무를 수행해왔다”고 강조했다. 또 “비위 혐의자의 일방적 주장이 정치적으로 이용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이 과정에서 그는 잠시 울먹이기도 했다. 이날 논란이 된 이강래 한국도로공사의 커피머신 납품 ‘몰아주기 의혹’ 의혹과 관련해선 “김 수사관이 직무에서 배제되는 시점에 제출한 첩보여서 조사가 이뤄질 수 없었다”고 해명했다.
하헌형/박재원 기자 hh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