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세계경제 '살얼음판'…긴축·무역전쟁 등 악재 산더미
입력
수정
저금리시대 끝나는데 성장 둔화 가속·부채부담 가중
무역전쟁으로 교역질서 흔들…중국 성장둔화 공포내년 세계 경제는 설상가상 격으로 갖은 악재가 겹치며 성장둔화 등의 어려움이 닥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주요 선진국의 금리 인상, 미국과 중국의 무역 전쟁,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혼란, 중국 부채와 성장둔화 우려 등 산적해 있는 불안 요인이 투자심리 위축과 수요 부진을 불러온다면 글로벌 금융시장의 충격과 함께 급격한 경기후퇴나 침체가 찾아올 수 있기 때문이다.
내년 글로벌 경기의 최대 변수는 주요국 통화정책의 거대한 흐름이 '긴축'으로 돌아서고 있는 점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초저금리 정책에 따라 대량으로 풀렸던 '공짜 돈'의 시대가 저물면서 중앙은행이 돈줄을 조이는 시대로 접어든 것이다.미국과 유럽 선진국들은 벌써 돈줄 죄기에 들어간 상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올해 4차례 기준금리를 올린 데 이어 내년 추가인상을 준비하고 있다.
연준이 금리인상 속도를 조절하겠다는 신호는 보냈으나 내년 2차례 추가인상을 시사한 만큼 긴축기조는 계속될 전망이다.최근엔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조절 신호에 더해 제롬 파월 연준 의장 해임 전망까지 나오는 등 통화정책을 둘러싼 혼선까지 불안 요인으로 등장했다.
유럽중앙은행(ECB)도 매달 자산을 매입해 현금을 공급하는 양적 완화를 이달 말에 종료한다.
ECB는 내년 하반기 중 기준금리를 인상해 추가 긴축에 나설 것으로 관측된다.일본은 마이너스 기준금리를 유지하지만 소리 없이 국채매입 규모를 줄이는 '스텔스 테이퍼링'에 들어간 것으로 관측된다.
선진국들의 금리 인상으로 달러, 유로화와 같은 중량급 통화의 가치가 오르면 신흥국들이 타격을 받는다.
고수익을 노리고 신흥국에 들어간 자금이 수익률이 더 높아지는 선진국으로 이탈하기 때문이다.
그 과정에서 신흥국 주식이나 채권이 급락하고 환율까지 출렁거릴 위험이 있다.
신흥국이 자금유출을 막으려면 덩달아 금리를 올려야 하지만 금리 인상은 부진한 자국 내 경기 흐름을 더욱 어렵게 만들 수 있어 딜레마에 빠진 상태다.
연준의 금리 인상에 따른 달러화 강세는 신흥국의 외화표시 부채의 상환 부담을 더욱 키워 어려움을 가중한다.올해 달러 가치 상승 때문에 터키, 아르헨티나 등 신흥국들이 겪은 고충이 내년에 또다시 찾아올 우려가 있다는 얘기다.
각국의 긴축과 금리 인상이 이어지면 과거 초저금리 시대에 눈덩이처럼 불어난 부채가 위기의 뇌관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최근 보고서에서 글로벌 부채가 184조 달러(약 20경7천809조)로 사상 최대라고 밝혔다.
이렇게 급증한 부채는 금리 인상기의 고금리를 감당하지 못하고 디폴트(채무 불이행)나 부도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올 한해 지구촌 교역질서를 뒤흔든 미국과 중국의 무역 전쟁, 나아가 글로벌 경제 패권을 향한 '건곤일척'의 승부도 여전히 내년 글로벌 경기를 짓누를 전망이다.
무역 전쟁의 명목적 사유는 중국의 통상 관행이 불공정하다는 미국의 불만이지만 유탄이 사방으로 튀고 있다.
미국과 중국은 올해 각각 2천500억 달러, 1천100억 달러 규모의 상대국 제품에 고율 관세를 물렸다.
미국과 중국은 내년 3월 1일까지 통상갈등의 돌파구를 찾을 무역협상을 진행하고 있지만, 양국의 싸움은 이미 관세를 넘어 기술패권 경쟁으로 치닫고 있다.
미국은 차세대 이동통신기술인 5G, 인공지능, 양자컴퓨팅 등 첨단기술 분야에서 중국의 우위를 막기 위해 전방위 견제 작전을 펼치고 있다.
특히 기술 안보를 이유로 미국 정부가 가하는 수출입 규제는 중국에 관세보다 큰 타격을 줄 것으로 보인다.
세계의 시장 역할을 하는 중국의 경제성장 둔화도 내년 세계 경제에 충격을 줄 대형 악재로 거론된다.
그동안 저렴한 노동력과 정부 지원, 부채 등을 기반으로 '세계의 공장' 역할을 하며 고도성장을 구가해온 중국은 내수 위주로 경제 구조를 전환하는 '신창타이'(新常態·뉴 노멀) 정책 추진 초반에 무역 전쟁의 타격을 받아 휘청거리고 있다.
부채 줄이기에 나섰던 중국당국은 심상찮은 경기를 떠받치고자 부랴부랴 돈 풀기에 나섰지만 글로벌 경기 구조상 과거와 같은 중국의 고성장이 더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세계 각국의 지정학적 구도도 내년 경제의 불안 리스트에 자주 등장한다.
포퓰리스트 정권의 부상과 정치적 불안 확산, 내년 3월 말 영국이 EU와의 탈퇴 합의를 마무리하지 못한 채 무질서하게 브렉시트를 단행할 가능성 등이 거론된다.
이런 잠재적 불씨가 위기로 비화한다면 금융시장 타격은 물론 세계 경제 전체의 흐름을 무너뜨려 글로벌 경기 둔화나 침체의 단초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최근 한 인터뷰에서 세계경기에 대해 "앞으로 긴장이 더 고조되고 통상이 위협을 받으며 사람들이 어디에 투자할지, 공급사슬을 완전히 바꿔야 할지 고민한다면 악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무역전쟁으로 교역질서 흔들…중국 성장둔화 공포내년 세계 경제는 설상가상 격으로 갖은 악재가 겹치며 성장둔화 등의 어려움이 닥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주요 선진국의 금리 인상, 미국과 중국의 무역 전쟁,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혼란, 중국 부채와 성장둔화 우려 등 산적해 있는 불안 요인이 투자심리 위축과 수요 부진을 불러온다면 글로벌 금융시장의 충격과 함께 급격한 경기후퇴나 침체가 찾아올 수 있기 때문이다.
내년 글로벌 경기의 최대 변수는 주요국 통화정책의 거대한 흐름이 '긴축'으로 돌아서고 있는 점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초저금리 정책에 따라 대량으로 풀렸던 '공짜 돈'의 시대가 저물면서 중앙은행이 돈줄을 조이는 시대로 접어든 것이다.미국과 유럽 선진국들은 벌써 돈줄 죄기에 들어간 상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올해 4차례 기준금리를 올린 데 이어 내년 추가인상을 준비하고 있다.
연준이 금리인상 속도를 조절하겠다는 신호는 보냈으나 내년 2차례 추가인상을 시사한 만큼 긴축기조는 계속될 전망이다.최근엔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조절 신호에 더해 제롬 파월 연준 의장 해임 전망까지 나오는 등 통화정책을 둘러싼 혼선까지 불안 요인으로 등장했다.
유럽중앙은행(ECB)도 매달 자산을 매입해 현금을 공급하는 양적 완화를 이달 말에 종료한다.
ECB는 내년 하반기 중 기준금리를 인상해 추가 긴축에 나설 것으로 관측된다.일본은 마이너스 기준금리를 유지하지만 소리 없이 국채매입 규모를 줄이는 '스텔스 테이퍼링'에 들어간 것으로 관측된다.
선진국들의 금리 인상으로 달러, 유로화와 같은 중량급 통화의 가치가 오르면 신흥국들이 타격을 받는다.
고수익을 노리고 신흥국에 들어간 자금이 수익률이 더 높아지는 선진국으로 이탈하기 때문이다.
그 과정에서 신흥국 주식이나 채권이 급락하고 환율까지 출렁거릴 위험이 있다.
신흥국이 자금유출을 막으려면 덩달아 금리를 올려야 하지만 금리 인상은 부진한 자국 내 경기 흐름을 더욱 어렵게 만들 수 있어 딜레마에 빠진 상태다.
연준의 금리 인상에 따른 달러화 강세는 신흥국의 외화표시 부채의 상환 부담을 더욱 키워 어려움을 가중한다.올해 달러 가치 상승 때문에 터키, 아르헨티나 등 신흥국들이 겪은 고충이 내년에 또다시 찾아올 우려가 있다는 얘기다.
각국의 긴축과 금리 인상이 이어지면 과거 초저금리 시대에 눈덩이처럼 불어난 부채가 위기의 뇌관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최근 보고서에서 글로벌 부채가 184조 달러(약 20경7천809조)로 사상 최대라고 밝혔다.
이렇게 급증한 부채는 금리 인상기의 고금리를 감당하지 못하고 디폴트(채무 불이행)나 부도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올 한해 지구촌 교역질서를 뒤흔든 미국과 중국의 무역 전쟁, 나아가 글로벌 경제 패권을 향한 '건곤일척'의 승부도 여전히 내년 글로벌 경기를 짓누를 전망이다.
무역 전쟁의 명목적 사유는 중국의 통상 관행이 불공정하다는 미국의 불만이지만 유탄이 사방으로 튀고 있다.
미국과 중국은 올해 각각 2천500억 달러, 1천100억 달러 규모의 상대국 제품에 고율 관세를 물렸다.
미국과 중국은 내년 3월 1일까지 통상갈등의 돌파구를 찾을 무역협상을 진행하고 있지만, 양국의 싸움은 이미 관세를 넘어 기술패권 경쟁으로 치닫고 있다.
미국은 차세대 이동통신기술인 5G, 인공지능, 양자컴퓨팅 등 첨단기술 분야에서 중국의 우위를 막기 위해 전방위 견제 작전을 펼치고 있다.
특히 기술 안보를 이유로 미국 정부가 가하는 수출입 규제는 중국에 관세보다 큰 타격을 줄 것으로 보인다.
세계의 시장 역할을 하는 중국의 경제성장 둔화도 내년 세계 경제에 충격을 줄 대형 악재로 거론된다.
그동안 저렴한 노동력과 정부 지원, 부채 등을 기반으로 '세계의 공장' 역할을 하며 고도성장을 구가해온 중국은 내수 위주로 경제 구조를 전환하는 '신창타이'(新常態·뉴 노멀) 정책 추진 초반에 무역 전쟁의 타격을 받아 휘청거리고 있다.
부채 줄이기에 나섰던 중국당국은 심상찮은 경기를 떠받치고자 부랴부랴 돈 풀기에 나섰지만 글로벌 경기 구조상 과거와 같은 중국의 고성장이 더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세계 각국의 지정학적 구도도 내년 경제의 불안 리스트에 자주 등장한다.
포퓰리스트 정권의 부상과 정치적 불안 확산, 내년 3월 말 영국이 EU와의 탈퇴 합의를 마무리하지 못한 채 무질서하게 브렉시트를 단행할 가능성 등이 거론된다.
이런 잠재적 불씨가 위기로 비화한다면 금융시장 타격은 물론 세계 경제 전체의 흐름을 무너뜨려 글로벌 경기 둔화나 침체의 단초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최근 한 인터뷰에서 세계경기에 대해 "앞으로 긴장이 더 고조되고 통상이 위협을 받으며 사람들이 어디에 투자할지, 공급사슬을 완전히 바꿔야 할지 고민한다면 악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