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린 올려야 되는데…" 보험업계, 삼성화재 실손보험료 인하에 '난감'
입력
수정

24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최근 삼성화재는 2009년 10월1일 이후 판매한 표준화 실손보험의 보험료를 내년 초에 평균 1.6% 인하하기로 했다. 삼성화재가 표준화 실손보험료를 내리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보험 손해율이 업계 평균보다 낮았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지난해 말 기준 삼성화재의 실손보험 손해율은 103%로 업계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삼성화재의 보험료 인하 소식에 다른 보험사들은 난처한 기색이다. 보험료 인상 주장이 제대로 힘을 받지 못할 수 있다는 염려에서다.
금융감독원의 자료를 살펴보면 올 상반기 개인실손보험 손해율은 122.9%를 기록했다. 손해율이 100%를 넘는다는 것은 보험료로 받은 수입보다 손해가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험사가 계약자에게 받은 돈보다 내준 돈이 더 많다는 얘기다.
손해보험사의 사정은 생명보험사보다 좋지 못하다. 지난 상반기 손보사는 계약갱신 등에 따라 보험료 수익이 늘었지만 손해율은 127.3%를 기록했다. 생보사의 손해율은 110.2%다.
이에 따라 보험사들은 내년에 실손보험에 신규 가입하거나 갱신하는 계약자의 보험료를 올리기로 가닥을 잡았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아직 구체적인 인상률과 시기는 정하지 않았지만 100%가 넘는 실손보험의 손해율을 바로잡기 위해서는 보험료를 인상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보험개발원의 실손보험료 참조요율을 보면 내년 실손보험료는 손해보험의 경우 평균 5.9%, 생명보험의 경우 8.7% 인상된다. 보험사들은 참조요율을 바탕으로 보험료를 책정한다.
참조요율에는 '문재인 케어'로 불리는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정책에 따른 반사이익 6.15%가 반영됐다. 문재인 케어를 제외하면 실손보험료 인상률이 두 자릿수에 이를 수 있다고 업계는 분석했다.
보험사들은 실손보험료 인상 폭이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삼성화재의 실손보험료 인하 영향이다. 다만 소비자 저항은 자동차보험료 인상 때보다 약할 것으로 기대했다.
보험업계의 또 다른 관계자는 "삼성화재가 실손보험료 인하를 발표하면서 다른 보험사들이 큰 폭으로 보험료 인상을 하기에는 부담스러운 상황"이라면서도 "의무보험인 자동차보험에 비해 실손보험이 상대적으로 보험료가 저렴해 보험료 인상에 대한 고객들의 반발은 덜 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자동차보험료에 이어 실손보험료가 오르면 서민들의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고 말했다.
차은지 한경닷컴 기자 chachac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