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책도 '넷플릭스'처럼…월정액 내면 무제한 구독
입력
수정
지면A20
스타트업 리포트
오디오북으로 돌풍 일으킨 '밀리의 서재'
서영택 대표 인터뷰
월 9900원에 2만5000권 이용…30분 내외로 책 쉽게 해설
이병헌 참여한 리딩북 인기…올해만 100억 넘게 투자 받아
'밀리 TV' 등 새 서비스 시작
![](https://img.hankyung.com/photo/201812/AA.18559542.1.jpg)
![](https://img.hankyung.com/photo/201812/AA.18559435.1.jpg)
웅진씽크빅 대표를 지내고 웅진북클럽(독서 학습 서비스)을 기획하며 독서 트렌드에 누구보다 예민했던 서 대표는 후발 주자로 도전해도 승산이 있다고 생각했다. 그는 “1년에 책을 한 권이라도 사는 사람이 300만 명밖에 없고, 그 300만 명이 도서 구매의 95%를 차지한다”며 “그 시장은 점점 줄어들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서 대표가 목표로 삼은 건 나머지 사람들, 즉 책에는 관심도 없던 사람들이다.
서 대표는 책을 읽는 것뿐만이 아니라 책과 관련된 콘텐츠를 소비하는 것도 독서라고 주장한다. 그는 “조선시대에는 책을 10번 이상 보고 외울 정도는 돼야 책을 ‘읽었다’고 인정해줬다”며 “그렇게 치면 요새 책을 ‘읽었다’고 할 사람은 없다”고 했다. 독서의 개념이 시대에 따라 바뀌고 있다는 의미다. “책을 원작으로 한 영화만 봐도 책을 읽었다고 여기는 시대입니다. 그럼 책 자체에 매달리는 것보다 다양한 독서 콘텐츠를 만드는 게 더 중요하지 않겠어요?”
밀리의 서재 핵심 수익모델은 월 9900원으로 2만5000권 이상의 도서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월정액 구독 서비스다. 2014년 아마존이 선보인 무제한 전자책 구독 서비스 ‘킨들 언리미티드’와 같다. 월정액 모델이 출판업계에 악영향을 준다는 일부의 비판에 서 대표는 오히려 상생하는 길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출판사에 몸을 담은 게 몇 년인데 어떻게 출판사를 죽이는 일을 하겠냐”고 반문했다. 월정액 모델은 오히려 독서 인구를 늘리면서 종이책 판매도 확대할 수 있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그는 정액제를 하는데도 출판사들이 밀리의 서재에 책을 주는 게 바로 그런 이유라고 설명했다.“모두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구조를 지향해요. 책을 2차 콘텐츠로 전환했을 때 출판사나 원저작자도 가져가는 구조로 돼 있어요. 결국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겁니다.”
밀리의 서재가 다음으로 꺼내들 카드는 사용자들과의 수익 공유다. 예를 들어 A라는 사람이 경제와 관련해 포스트를 올렸는데 B가 포스트에 인용된 책을 서재에 다운로드하면 A에게 추천 수수료를 준다. 이 서비스는 다음달 초에 시작한다. 동영상 콘텐츠도 확장한다. 서 대표는 “‘밀리TV(가칭)’를 통해 10분 요약 영상뿐만 아니라 책에 어울리는 자작곡 영상을 올릴 수 있게 할 것”이라며 “노래든, 북클럽이든 무엇이든지 간에 즐거운 독서 경험을 만드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김남영 기자 ny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