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친서' 어떻게 전달됐나…김영철-서훈 라인 가동 가능성
입력
수정
靑 고위관계자 "인편으로 전달된 것으로 알아"…구체적 경로는 안 밝혀
文대통령 조만간 답신 보낼 듯…핫라인·특사 활용 가능성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30일 문재인 대통령에게 친서를 보내왔다고 청와대가 전격으로 발표하면서 북측에서 어떤 경로로 친서를 전달했을지 이목이 쏠린다.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김 위원장이 문 대통령에게 내년에도 두 정상이 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위해 함께 나아가자는 내용의 'A4용지 두 장' 분량의 친서를 보내왔다고 밝혔다.
친서 경로와 관련해 "남북 사이 여러 소통 창구가 있다"며 "(북측이) 그중 한 창구, 통로를 통해 전달해왔다"고 설명했다.
전달 방법이나 장소 등 구체적인 경로는 밝히지 않았다.일단 청와대가 공개한 친서 사진을 볼 때 북측은 정식 형태를 갖춘 문서 형식의 친서를 직접 전달한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기자들에게 보낸 메시지에서 "인편으로 전달된 것으로 알지만 구체적 방식은 모른다"고 전했다.
'(북측 인사가) 남측에 왔다 간 것도 아닌가'라는 질문에도 "그렇다"고 답했다.김 대변인이 언급한 남북 간 소통 창구로는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대표적이다.그러나 휴일에는 공동연락사무소가 당직자만 근무하는 만큼, 북측 정상이 보내는 친서를 이 창구를 통해 보냈을 가능성은 현재로선 희박해 보인다.
특히 연락사무소를 관리하는 통일부가 김 대변인의 발표 전까지 발표 내용을 전혀 짐작조차 못 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연락사무소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에 따라 서훈 국가정보원장과 김영철 노동당 통일전선부장 직접 움직였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실제로 김 부위원장은 지난 6월 1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에게 보내는 김 위원장의 첫 번째 친서를 직접 전달했고, 7월에는 판문점에서 성김 필리핀 대사와 만나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를 받아가는 등 '친서 메신저' 역할을 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북한은 체제와 존엄을 가장 중시하는데 친서를 전달하는 시점과 방법이 중요하다"며 "김여정 제1부부장이나 김영철 부장 등이 전달을 했을 것이고 우리도 이에 걸맞게 정의용 안보실장이나 서훈 국정원장 등이 받았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이번 역시 김 부위원장이 통전부-국정원 핫라인을 통해 남측에 친서를 보내겠다는 사전 통보를 한 뒤, 서 원장이 판문점으로 가서 직접 수령했을 가능성이 있다.
서 원장이 직접 움직였다면 단순히 친서만 수령하는 것이 아니라 김 통전부장과 만나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과 비핵화, 남북 간 현안을 광범위하게 논의했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새해를 앞두고 김 위원장이 서울 답방 약속을 지키지 못한 데 대한 아쉬움과 함께 내년에도 두 정상이 자주 만나자는 유화적 메시지를 보내옴에 따라 문 대통령도 조만간 답신을 보낼 것으로 전망된다.
답신 역시 마찬가지로 판문점을 통해 전달하거나, 서 원장이나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을 북측에 대통령 특사로 보내 전달할 수도 있다.청와대 핵심 당국자는 "(김정은 위원장의) 친서를 받았으니 조만간 대통령의 답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文대통령 조만간 답신 보낼 듯…핫라인·특사 활용 가능성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30일 문재인 대통령에게 친서를 보내왔다고 청와대가 전격으로 발표하면서 북측에서 어떤 경로로 친서를 전달했을지 이목이 쏠린다.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김 위원장이 문 대통령에게 내년에도 두 정상이 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위해 함께 나아가자는 내용의 'A4용지 두 장' 분량의 친서를 보내왔다고 밝혔다.
친서 경로와 관련해 "남북 사이 여러 소통 창구가 있다"며 "(북측이) 그중 한 창구, 통로를 통해 전달해왔다"고 설명했다.
전달 방법이나 장소 등 구체적인 경로는 밝히지 않았다.일단 청와대가 공개한 친서 사진을 볼 때 북측은 정식 형태를 갖춘 문서 형식의 친서를 직접 전달한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기자들에게 보낸 메시지에서 "인편으로 전달된 것으로 알지만 구체적 방식은 모른다"고 전했다.
'(북측 인사가) 남측에 왔다 간 것도 아닌가'라는 질문에도 "그렇다"고 답했다.김 대변인이 언급한 남북 간 소통 창구로는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대표적이다.그러나 휴일에는 공동연락사무소가 당직자만 근무하는 만큼, 북측 정상이 보내는 친서를 이 창구를 통해 보냈을 가능성은 현재로선 희박해 보인다.
특히 연락사무소를 관리하는 통일부가 김 대변인의 발표 전까지 발표 내용을 전혀 짐작조차 못 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연락사무소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에 따라 서훈 국가정보원장과 김영철 노동당 통일전선부장 직접 움직였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실제로 김 부위원장은 지난 6월 1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에게 보내는 김 위원장의 첫 번째 친서를 직접 전달했고, 7월에는 판문점에서 성김 필리핀 대사와 만나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를 받아가는 등 '친서 메신저' 역할을 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북한은 체제와 존엄을 가장 중시하는데 친서를 전달하는 시점과 방법이 중요하다"며 "김여정 제1부부장이나 김영철 부장 등이 전달을 했을 것이고 우리도 이에 걸맞게 정의용 안보실장이나 서훈 국정원장 등이 받았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이번 역시 김 부위원장이 통전부-국정원 핫라인을 통해 남측에 친서를 보내겠다는 사전 통보를 한 뒤, 서 원장이 판문점으로 가서 직접 수령했을 가능성이 있다.
서 원장이 직접 움직였다면 단순히 친서만 수령하는 것이 아니라 김 통전부장과 만나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과 비핵화, 남북 간 현안을 광범위하게 논의했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새해를 앞두고 김 위원장이 서울 답방 약속을 지키지 못한 데 대한 아쉬움과 함께 내년에도 두 정상이 자주 만나자는 유화적 메시지를 보내옴에 따라 문 대통령도 조만간 답신을 보낼 것으로 전망된다.
답신 역시 마찬가지로 판문점을 통해 전달하거나, 서 원장이나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을 북측에 대통령 특사로 보내 전달할 수도 있다.청와대 핵심 당국자는 "(김정은 위원장의) 친서를 받았으니 조만간 대통령의 답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