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의 현장 전문가 15명이 알려주는 '창업 내비게이션'
입력
수정
지면B3
공병호의 파워독서
유럽 쇼핑거리 변화 20년 걸릴 때
한국은 2년이면 몰라보게 바뀌어
홍익대 앞·경리단길·가로수길·샤로수길…
상권 이모저모 알아보는 시간
시대의 변화 읽는 또 하나의 방법
리테일 바이블 2020
리테일 소사이어티 지음 / 와이즈맵

8개 장은 서울 5대 상권 트렌드, 특수 상권의 모든 것, 특수 상권의 틈새시장 영화관, 패션 리테일의 미래, 외식시장의 트렌드 변화, 외식 비즈니스의 현재와 미래, 커피 전문점 비즈니스의 미래 트렌드, 편의점업계의 미래, 오프라인 유통의 미래 등으로 구성돼 있다. 책은 “특수상권 입점을 검토하고 있다면 승자의 저주에 걸리지 않도록 신중해야 한다”고 서술한다. 입점에 눈이 현혹돼 너무 높은 임차료를 감당하는 위험을 안지 않아야 한다는 경고다. 로드숍과 달리 특정 목적을 가진 특정한 고객을 대상으로 한 특수 상권은 쇼핑몰이나 상업시설 등을 말한다. 특수 상권에 입점하는 사업자들이 흔히 범하는 실수는 방문 고객들이 자신의 매장을 당연히 찾을 것이라는 믿음이다.

세계적인 유통업체 임원들이 하는 공통된 이야기는 “한국은 정말 역동적”이라는 것이다. 유럽은 상업시설이 있는 거리의 변화를 알아차리는 데 최소 20년 정도가 걸리지만 한국은 2년 정도면 충분하다. 저자들은 2년이 채 되지 않아 몰라보게 바뀐 곳으로 홍익대 인근, 경리단길, 가로수길, 샤로수길, 송리단길을 든다. 에너지가 넘친다는 얘기다. ‘이를 더 건설적인 방향으로 연결시킨다면 훨씬 더 성장할 수 있는 나라인데’라는 아쉬움도 남는다.
최근 패션 트렌드는 제조·직매형 의류(SPA)를 비롯한 몇몇 특정 브랜드의 약진, 온라인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과 오프라인으로의 진출, 각종 편집숍의 발달로 정리할 수 있다.
리테일 시장의 이모저모를 알아보는 시간은 시대의 변화를 읽는 또 하나의 방법이다.
공병호 < 공병호연구소 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