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집권 3년차' 징크스 극복할까…'민생' 돌파구 모색
입력
수정
문대통령·민주당 나란히 지지율 하락세…과거 정권도 3년차엔 내림세
경제 악화에 남북·북미관계 답보 영향…"민생경제 살리는 데 주력하겠다"문재인 정부 집권 초반 고공행진 한 대통령 국정 지지도와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이 동반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정책 밑그림을 그린 집권 1·2년차와 달리 성과를 내야 할 3년차를 맞아 여당은 어깨가 무겁다.
지지율 내림세를 끊고 반전 계기를 만들기 위해 돌파구 마련을 고심 중이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의 새해 첫 조사(지난해 12월 31일과 올해 1월 2일에 전국 성인 1천3명 상대로 조사,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 자세한 조사 개요 및 결과는 리얼미터 홈페이지 참조)에서 문 대통령 국정 지지도와 민주당 지지율은 모두 전주보다 소폭 반등해 각각 47.9%와 38.0%를 기록했다.그러나 한 주 전에 한 2018년 마지막 조사에서는 문 대통령은 국정 지지도 45.9%, 민주당은 지지율 36.8%로 나란히 집권 후 최저치를 찍었다.
리얼미터 주간조사 기준으로 보면, 문 대통령 국정 지지도는 취임 직후인 2017년 5월 4주차 84.1%로 최고치를 기록한 뒤 2018년 8월 2주차(58.1%) 전까지 1년이 넘도록 60∼70%대의 높은 수준을 유지했으나, 그해 하반기 내림세를 탄 끝에 40%대 중반에 자리 잡았다.
민주당 지지율도 문 대통령 국정 지지도와 대체로 연동해 움직였다.집권 직후 2017년 5월 4주차 56.7%로 시작해 1년간 50% 안팎의 지지율을 이어갔고, 지난해 6·13 지방선거 압승 후인 6월 2주차에는 집권 후 최고치인 57.0%를 기록했다.
그러나 지난해 하반기부터 내리막길을 탄 끝에 30%대에 내려앉았다.
집권 후 최고치와 최저치를 비교하면 문 대통령 국정 지지도는 84.1%(2017년 5월 4주차)에서 45.9%(2018년 12월 4주차)로 38.2%포인트 내려갔고, 민주당 지지율은 57.0%(2018년 6월 2주차)에서 36.8%(2018년 12월 4주차)로 20.2%포인트 빠졌다.민주당 이해식 대변인은 "여러 경제 지표들이 둔화되고 청와대 전 특별감찰반원 김태우 수사관이나 신재민 전 기획재정부 사무관 관련 논란 등이 있었던 데다, 성과를 내던 남북관계나 북미관계도 최근 들어 답보하는 상황이 맞물려 지지율 하락이 나타난 것 같다"고 말했다.
여기에 이재명 경기지사 관련 각종 논란, 민주당 이해찬 대표의 '장애인 비하 발언' 등 구설수, 민주당 김정호 의원의 '공항 갑질' 사건 등 각종 악재가 겹친 것도 하락세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자유한국당과의 지지율 격차가 점점 좁혀지고 있는 것도 민주당으로서는 뼈아픈 대목이다.
문재인 정부 출범 후인 2017년 5월 3주차(민주 53.3%·한국 12.4%)에 40%포인트 넘게 벌어졌던 격차는 지난해 상반기까지 30%포인트 안팎 수준을 유지했으나, 지난해 마지막 조사에서는 11.1%포인트(민주 36.8%·한국 25.7%)까지 좁혀졌다.민주당 강훈식 전략기획위원장은 최근의 지지율 추이에 대해 "대통령과 여당 지지율이 오랫동안 고공행진을 해왔기에 내려가는 모습이 부각되는 것 같다"며 "과거 정부의 같은 시기와 비교하면 낮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말했다.
과거 정권 역시 야당을 비롯한 비판세력의 공세가 거세지고 성과를 보여야 하는 중압감이 큰 집권 3년차에는 지지율이 초반보다 상당폭 떨어진 모습을 보였다.
박근혜 정부 집권 3년차였던 2015년 1월 당시 대통령 국정 지지도는 30% 후반대로 현재 문 대통령보다 낮고, 여당인 새누리당 지지율은 40%가량으로 현재 민주당과 차이가 크지 않았다.
이명박 정부 집권 3년차였던 2010년 1월의 경우 대통령 국정 지지도는 50% 초반대로 현재 문 대통령보다 높지만, 여당인 한나라당 지지율은 30% 후반대로 현재의 민주당과 비슷했다.
노무현 정부 집권 3년차인 2005년 1월 대통령 국정지지도는 35%가량, 여당인 열린우리당 지지율은 20% 후반대로 현재 문 대통령과 민주당보다 낮았다.
물론 정권마다 달랐던 상황에 따른 차이를 고려해야 하지만, 현재 문 대통령과 여당의 지지율 하락세가 과거 정권에 비해 두드러진다고 보기는 어렵다.
다만 지지율 하락의 가장 큰 원인인 경제·민생 문제의 개선이 가시적으로 이뤄지지 않으면 '집권 3년차 위기'가 본격화될 수 있다.
지지율 상승의 견인차 역할을 해온 남북관계·북미관계의 진전은 더딘 상황이다.
문 대통령 당선 후 큰 잡음 없이 '단일대오'를 유지한 민주당이지만 지지율이 지속해서 빠지면 당내 비주류의 목소리가 커져 구심력이 약화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민주당은 올해 초반부터 경제·민생문제 해결에 총력을 기울일 생각이다.
새해 들어 이 대표가 환경미화원 격려 방문, 명동 관광산업 간담회 등 현장을 부지런히 돌고 민생 관련 당내 특별위원회 연석회의를 연 것이 이를 보여준다.강훈식 전략기획위원장은 "민생경제를 살리는 것이 가장 엄중하다"고 전제한 뒤 "대통령을 뒷받침하기 위해 당이 보다 활력 있고 역동성 있게 움직이게 하는 것이 올해의 큰 방향"이라며 "당이 더 적극적으로 민생을 책임지고 국민과 소통하는 모습을 보이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연합뉴스
경제 악화에 남북·북미관계 답보 영향…"민생경제 살리는 데 주력하겠다"문재인 정부 집권 초반 고공행진 한 대통령 국정 지지도와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이 동반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정책 밑그림을 그린 집권 1·2년차와 달리 성과를 내야 할 3년차를 맞아 여당은 어깨가 무겁다.
지지율 내림세를 끊고 반전 계기를 만들기 위해 돌파구 마련을 고심 중이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의 새해 첫 조사(지난해 12월 31일과 올해 1월 2일에 전국 성인 1천3명 상대로 조사,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 자세한 조사 개요 및 결과는 리얼미터 홈페이지 참조)에서 문 대통령 국정 지지도와 민주당 지지율은 모두 전주보다 소폭 반등해 각각 47.9%와 38.0%를 기록했다.그러나 한 주 전에 한 2018년 마지막 조사에서는 문 대통령은 국정 지지도 45.9%, 민주당은 지지율 36.8%로 나란히 집권 후 최저치를 찍었다.
리얼미터 주간조사 기준으로 보면, 문 대통령 국정 지지도는 취임 직후인 2017년 5월 4주차 84.1%로 최고치를 기록한 뒤 2018년 8월 2주차(58.1%) 전까지 1년이 넘도록 60∼70%대의 높은 수준을 유지했으나, 그해 하반기 내림세를 탄 끝에 40%대 중반에 자리 잡았다.
민주당 지지율도 문 대통령 국정 지지도와 대체로 연동해 움직였다.집권 직후 2017년 5월 4주차 56.7%로 시작해 1년간 50% 안팎의 지지율을 이어갔고, 지난해 6·13 지방선거 압승 후인 6월 2주차에는 집권 후 최고치인 57.0%를 기록했다.
그러나 지난해 하반기부터 내리막길을 탄 끝에 30%대에 내려앉았다.
집권 후 최고치와 최저치를 비교하면 문 대통령 국정 지지도는 84.1%(2017년 5월 4주차)에서 45.9%(2018년 12월 4주차)로 38.2%포인트 내려갔고, 민주당 지지율은 57.0%(2018년 6월 2주차)에서 36.8%(2018년 12월 4주차)로 20.2%포인트 빠졌다.민주당 이해식 대변인은 "여러 경제 지표들이 둔화되고 청와대 전 특별감찰반원 김태우 수사관이나 신재민 전 기획재정부 사무관 관련 논란 등이 있었던 데다, 성과를 내던 남북관계나 북미관계도 최근 들어 답보하는 상황이 맞물려 지지율 하락이 나타난 것 같다"고 말했다.
여기에 이재명 경기지사 관련 각종 논란, 민주당 이해찬 대표의 '장애인 비하 발언' 등 구설수, 민주당 김정호 의원의 '공항 갑질' 사건 등 각종 악재가 겹친 것도 하락세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자유한국당과의 지지율 격차가 점점 좁혀지고 있는 것도 민주당으로서는 뼈아픈 대목이다.
문재인 정부 출범 후인 2017년 5월 3주차(민주 53.3%·한국 12.4%)에 40%포인트 넘게 벌어졌던 격차는 지난해 상반기까지 30%포인트 안팎 수준을 유지했으나, 지난해 마지막 조사에서는 11.1%포인트(민주 36.8%·한국 25.7%)까지 좁혀졌다.민주당 강훈식 전략기획위원장은 최근의 지지율 추이에 대해 "대통령과 여당 지지율이 오랫동안 고공행진을 해왔기에 내려가는 모습이 부각되는 것 같다"며 "과거 정부의 같은 시기와 비교하면 낮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말했다.
과거 정권 역시 야당을 비롯한 비판세력의 공세가 거세지고 성과를 보여야 하는 중압감이 큰 집권 3년차에는 지지율이 초반보다 상당폭 떨어진 모습을 보였다.
박근혜 정부 집권 3년차였던 2015년 1월 당시 대통령 국정 지지도는 30% 후반대로 현재 문 대통령보다 낮고, 여당인 새누리당 지지율은 40%가량으로 현재 민주당과 차이가 크지 않았다.
이명박 정부 집권 3년차였던 2010년 1월의 경우 대통령 국정 지지도는 50% 초반대로 현재 문 대통령보다 높지만, 여당인 한나라당 지지율은 30% 후반대로 현재의 민주당과 비슷했다.
노무현 정부 집권 3년차인 2005년 1월 대통령 국정지지도는 35%가량, 여당인 열린우리당 지지율은 20% 후반대로 현재 문 대통령과 민주당보다 낮았다.
물론 정권마다 달랐던 상황에 따른 차이를 고려해야 하지만, 현재 문 대통령과 여당의 지지율 하락세가 과거 정권에 비해 두드러진다고 보기는 어렵다.
다만 지지율 하락의 가장 큰 원인인 경제·민생 문제의 개선이 가시적으로 이뤄지지 않으면 '집권 3년차 위기'가 본격화될 수 있다.
지지율 상승의 견인차 역할을 해온 남북관계·북미관계의 진전은 더딘 상황이다.
문 대통령 당선 후 큰 잡음 없이 '단일대오'를 유지한 민주당이지만 지지율이 지속해서 빠지면 당내 비주류의 목소리가 커져 구심력이 약화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민주당은 올해 초반부터 경제·민생문제 해결에 총력을 기울일 생각이다.
새해 들어 이 대표가 환경미화원 격려 방문, 명동 관광산업 간담회 등 현장을 부지런히 돌고 민생 관련 당내 특별위원회 연석회의를 연 것이 이를 보여준다.강훈식 전략기획위원장은 "민생경제를 살리는 것이 가장 엄중하다"고 전제한 뒤 "대통령을 뒷받침하기 위해 당이 보다 활력 있고 역동성 있게 움직이게 하는 것이 올해의 큰 방향"이라며 "당이 더 적극적으로 민생을 책임지고 국민과 소통하는 모습을 보이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