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금융위기 이후 20대만 고용률 회복 못해
입력
수정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20대 연령층만 아직도 고용률을 회복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연구원은 6일 '최근 연령대별 인구의 변동과 산업별 고용 변화' 보고서에서 10년새 50대와 60세 이상 연령대의 고용률이 가장 빠르게 상승하고 그 다음으로 30대와 40대가 꾸준한 상승세를 이어온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보고서는 그러면서 20대 연령층의 고용률만 하락세를 보였다며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청년고용 대책을 촉구했다. 고용률은 취업자 수를 생산가능인구로 나눈 값으로, 20대 청년층의 월평균 고용률은 지난해 1∼10월까지 57.8%로 2009년 고용률 수준보다 0.6%포인트 밑돌았다.
고등교육기관 진학률이 2010년을 정점으로 완만하게 내리막인 점을 감안하면 대학원 등에 진학하느라 청년고용률이 오르지 않은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지난해 20대 생산가능인구는 695만2000명으로 저점을 찍은 2013년보다 26만5000여명 증가했다. 이러한 현상은 베이비붐 세대의 자녀들인 에코 세대의 청년층 진입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주요 산업별 20대 취업자수 변화를 보면 제조업의 경우 2015년에서 2018년 사이 2만6000명 감소하면서 연평균 1.4% 떨어진데 반해 같은 기간 건설업은 3만6000명 증가로 연평균 10.6% 올랐다.
20대의 건설업 취업자 수 증가는 제조업에서 조선업 구조조정과 자동차산업 부진, 서비스업에서 수요침체에 따른 반사이익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그러나 최근 건설업 신규투자 저조로 이런 추세마저 지속되기 쉽지 않다.
20대와 달리 30대는 상대적으로 좋은 고용률을 보이나 취업자 증가에 따른 것이라기보다는 생산인구 감소 영향이 컸다. 또 2015년에서 2018년 사이 30대 취업자 수는 제조업의 경우 연평균 2.8% 감소해 최근 제조업 불황과 구조조정 여파가 30대에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40대는 소폭 상승 추세이나 취업자 수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서비스업의 최근 고용 부진이 두드러졌다. 작년 10월까지 자료 기준으로 서비스업 종사자 수는 전년대비 10만1000명 감소해 40대 고용감소 11만1000명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서비스 세부 업종별로는 도소매업이 전년대비 6만6000명, 교육서비스업이 2만7000명, 운수 및 창고업이 2만4000명 각각 감소했다.
50대는 2015년에서 2018년 사이 제조업, 건설업, 서비스업 등 세 산업 모두에서 같은 기간 인구증가율 1.2%를 웃도는 취업자 수 증가가 나타났으며 특히 건설업의 경우 3.5%의 높은 성장을 이뤘다.
60대 이상은 베이비붐 세대 진입으로 고령층 인구가 증가하고 건강상태가 개선되면서 제조업과 건설업의 경우 인구 증가율을 추월할 정도로 빠른 취업 증가세를 보였다. 60대 전반기 고용률은 60%에 육박, 20대 고용률(57.8%)보다 1.6%포인트 높았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산업연구원은 6일 '최근 연령대별 인구의 변동과 산업별 고용 변화' 보고서에서 10년새 50대와 60세 이상 연령대의 고용률이 가장 빠르게 상승하고 그 다음으로 30대와 40대가 꾸준한 상승세를 이어온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보고서는 그러면서 20대 연령층의 고용률만 하락세를 보였다며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청년고용 대책을 촉구했다. 고용률은 취업자 수를 생산가능인구로 나눈 값으로, 20대 청년층의 월평균 고용률은 지난해 1∼10월까지 57.8%로 2009년 고용률 수준보다 0.6%포인트 밑돌았다.
고등교육기관 진학률이 2010년을 정점으로 완만하게 내리막인 점을 감안하면 대학원 등에 진학하느라 청년고용률이 오르지 않은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지난해 20대 생산가능인구는 695만2000명으로 저점을 찍은 2013년보다 26만5000여명 증가했다. 이러한 현상은 베이비붐 세대의 자녀들인 에코 세대의 청년층 진입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주요 산업별 20대 취업자수 변화를 보면 제조업의 경우 2015년에서 2018년 사이 2만6000명 감소하면서 연평균 1.4% 떨어진데 반해 같은 기간 건설업은 3만6000명 증가로 연평균 10.6% 올랐다.
20대의 건설업 취업자 수 증가는 제조업에서 조선업 구조조정과 자동차산업 부진, 서비스업에서 수요침체에 따른 반사이익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그러나 최근 건설업 신규투자 저조로 이런 추세마저 지속되기 쉽지 않다.
20대와 달리 30대는 상대적으로 좋은 고용률을 보이나 취업자 증가에 따른 것이라기보다는 생산인구 감소 영향이 컸다. 또 2015년에서 2018년 사이 30대 취업자 수는 제조업의 경우 연평균 2.8% 감소해 최근 제조업 불황과 구조조정 여파가 30대에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40대는 소폭 상승 추세이나 취업자 수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서비스업의 최근 고용 부진이 두드러졌다. 작년 10월까지 자료 기준으로 서비스업 종사자 수는 전년대비 10만1000명 감소해 40대 고용감소 11만1000명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서비스 세부 업종별로는 도소매업이 전년대비 6만6000명, 교육서비스업이 2만7000명, 운수 및 창고업이 2만4000명 각각 감소했다.
50대는 2015년에서 2018년 사이 제조업, 건설업, 서비스업 등 세 산업 모두에서 같은 기간 인구증가율 1.2%를 웃도는 취업자 수 증가가 나타났으며 특히 건설업의 경우 3.5%의 높은 성장을 이뤘다.
60대 이상은 베이비붐 세대 진입으로 고령층 인구가 증가하고 건강상태가 개선되면서 제조업과 건설업의 경우 인구 증가율을 추월할 정도로 빠른 취업 증가세를 보였다. 60대 전반기 고용률은 60%에 육박, 20대 고용률(57.8%)보다 1.6%포인트 높았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