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포가 공유자전거 '펑크' 낼 때…국내 업체는 '가속페달'
입력
수정
지면A18
외국계, 실적 악화로 철수 잇따라공유자전거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지바이크는 이르면 이달부터 서울에서 전동스쿠터 공유사업을 시작한다. 미국에서 선풍적 인기를 누린 세그웨이 스쿠터를 국내에서도 누구나 간편하게 빌려 탈 수 있게 된다.
"올해 소형 이동수단 성장 본격화"
국내 업체는 투자·마케팅 활발
지바이크, 이달 전동스쿠터 사업
카카오, 1분기 전기자전거 서비스
정보기술(IT)업계의 ‘공룡’ 카카오는 올 1분기 전기자전거 공유사업에 뛰어든다. 대중교통이 닿지 않는 곳으로 단거리 이동 수요를 겨냥했다. 최근 삼천리자전거, 알톤스포츠와 협약을 맺었고 조만간 시범운영 지역을 확정할 예정이다.가속페달 밟는 토종 공유자전거
국내 공유자전거 시장이 본격적인 확장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 세계 공유자전거 시장을 주도하던 중국에서 오포를 비롯한 유명 업체들이 경영난에 빠져들면서 산업 전반에 ‘회의론’이 퍼지는 것과 정반대 분위기다. 업계 관계자들은 “올해는 자전거와 킥보드를 중심으로 한 마이크로 모빌리티(micro mobility·소형 이동수단) 시장이 본격 성장하는 해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공유자전거 ‘에스바이크’를 운영하는 매스아시아는 지난 3일 벤처캐피털(VC) 본엔젤스와 네이버 스타트업 펀드에서 초기 투자를 유치했다. 이 회사는 2017년 말부터 서울 여의도 등에서 일반 자전거 400여 대로 사업을 시작했다. 오는 3~4월께 전기자전거도 들여와 운영할 계획이다.비슷한 시기에 전기자전거 공유에 진출하는 카카오는 택시를 부를 때 쓰는 ‘카카오T’ 앱(응용프로그램)과 연계해 빠른 가입자 확대를 노리고 있다. 정주환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전기자전거는 대중교통이 닿지 않는 곳으로 단거리 이동이나 공원, 하천변 등의 레포츠 용도로 다양하게 쓰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진민수 매스아시아 이사는 카카오의 시장 진입에 대해 “우리는 ‘대환영’한다”며 “공유자전거가 보다 많은 시민에게 알려지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1년 넘게 운영 경험을 쌓은 만큼 대기업과 경쟁해도 강점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란 설명이다.
1000만원짜리 MTB도 빌려 탄다국내에는 서울시의 ‘따릉이’처럼 지방자치단체들이 운영하는 공공자전거가 잘 갖춰져 있다. 민간 공유자전거는 IT를 접목해 이용의 편의성을 높이는 한편 자전거 모델을 다양화해 틈새 수요를 공략하고 있다.
또 다른 공유자전거 스타트업 라이클은 깜찍한 미니벨로(바퀴가 작은 자전거)부터 1000만원대 산악자전거(MTB)까지 다양한 모델을 갖춰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김백범 라이클 대표는 “자전거 판매점들과 협력해 대여·회수의 편의성을 높였고 개인 간(P2P)에 자전거를 빌려 타는 방식도 운영하고 있다”며 “최근 회원 수 4만 명을 넘겼다”고 소개했다.
택시업계의 반발에 막혀 있는 카풀 같은 승차공유 사업과 달리 공유자전거는 법적 규제가 상대적으로 적어 사업 확장이 용이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다만 탑승자 안전을 담보할 장치를 철저히 갖추고, 자전거가 고장나거나 방치되지 않도록 사후 유지·보수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이강주 지바이크 대표는 “전기스쿠터 사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규제보다 안전”이라며 “법정 제한 속도인 시속 25㎞보다 낮은 수준으로 제한하는 등 사고 예방에 꼼꼼히 신경쓸 것”이라고 했다.
오포 자전거는 흉물로 방치돼
IT 기반의 공유자전거는 2~3년 전 중국에서 급성장한 산업이다. 대규모 VC 투자를 쓸어담은 오포와 모바이크는 각각 세계 200여 개 도시에 진출하면서 시장을 독점하다시피 했다. 하지만 단기간에 너무 빨리 몸집을 불린 탓에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1월 부산에 진출한 오포는 본사가 경영난에 빠지자 열 달 만에 철수했다. 이 과정에서 수백 대의 자전거가 시내 곳곳에 방치되면서 부산의 각 구·군청에 민원이 쏟아지고 있다.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한 이용자가 중국 본토에만 1000만 명 넘게 줄을 서 있다. 부산시 관계자는 “오포 측과 연락이 닿지 않아 구·군청을 통해 전수 조사를 진행 중”이라며 “사유재산이라 마음대로 폐기할 수도 없다”고 난감해했다.모바이크도 지난달 본사 최고경영자(CEO)가 전격 사퇴하면서 혼란에 빠졌다. 다만 경기 수원 일대에서 사업을 벌이고 있는 모바이크 한국지사 측은 “업계 전체가 휘청인다는 오해를 받지만 국내 사업은 원활하게 운영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비슷한 시기 수원에 진출했던 싱가포르계 오바이크도 본사 주인이 바뀌면서 일부 시민들이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고 있다.
임현우/배태웅 기자 tard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