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연금 가입자에 실질수익률 보여주니 고수익형 상품 선택"

퇴직연금 상품선택에 행태경제학 적용…"원리금 보장형→고수익 추구 상품으로"
주로 원리금 보장형 상품만 선택하는 퇴직연금 가입자에게 실질 수익률을 보여주자 고수익이 기대되는 상품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금융감독원은 7일 퇴직연금 가입자의 상품 운용 행태 개선을 위해 행태경제학을 적용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국내 퇴직연금 적립금은 지난해 9월 말 현재 172조 1천억원으로 매년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운용 수익률은 2017년 기준 연 1.88% 수준에 불과하다.특히 가입자의 상품 선택에 따라 수익률이 달라지는 확정기여형(DC) 퇴직연금은 대부분 원리금 보장형 상품으로 운용되거나 가입자의 91.4%가 처음 구성한 포트폴리오를 변경하지 않았다.
이런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금감원은 외부 교수진과 공동으로 행태경제학을 퇴직연금 정책에 도입하는 방안을 연구했다.

금감원은 한국 갤럽을 통해 선정한 총 630명의 DC형 퇴직연금 실제 가입자를 대상으로 ▲ 퇴직연금 교육을 했을 경우 ▲ 수익률 표준편차를 보여주는 경우 ▲ 실질 수익률을 보여주는 경우 ▲ 아무것도 선택하지 않으면 중위험·중수익 상품이 자동으로 선택되는 경우를 적용해 실험을 했다.그 결과 퇴직연금 교육을 했을 때와 수익률 표준편차를 보여줄 때는 퇴직연금 상품 선택에 큰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명목 수익률이 아닌 물가상승률과 수수료 비용을 고려한 실질 수익률을 보여줄 경우 이전보다 고수익 상품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했다.

또 자동으로 구성되는 포트폴리오에 중위험·중수익 상품으로 구성된 상품을 넣을 경우 운용에 무관심해 이를 그대로 유지하는 경우가 많았다.금감원은 이 실험결과를 반영해 올해 1분기 중 도입될 '퇴직연금 상품 제안서 표준서식'에 상품별 실질 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도록 물가상승률을 참고 지표로 함께 제시하도록 했다.

또 고금리 상품 순으로 배열하고 총수수료액도 추가로 기재하기로 했다.

다만 처음부터 중위험·중수익 상품이 선택되도록 하는 것은 손실 발생 시 책임 문제가 생길 수 있어 이번 정책에 반영하지 않았다.신원 금감원 금융감독연구센터 선임국장은 "행태경제학적 접근법을 통한 연구결과를 감독정책에 반영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행태경제학적 연구 주제를 발굴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