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진 못해도 매년 연봉 올리라는 국민銀 노조…11일간 추가파업 예고
입력
수정
지면A8
국민銀 노조, 18년 만에 파업 강행
노조, 구조 선진화 방침 거부
구조개편 차원서 도입하는 직급별 호봉상한제 등 철폐 요구
임금피크제 진입 연령 차등도 거부
직원 연봉, 근로자 평균의 2.6배
경영진 "이대론 인건비 감당못해, 리딩뱅크 입지 흔들릴 수도"
![국민은행 노조원 9000여 명은 지난 7일 저녁부터 8일 오후까지 서울 잠실학생체육관에 모여 총파업을 벌였다. 국민은행 노조는 오는 3월 말까지 네 차례에 걸쳐 추가 총파업을 예고했다. /김영우 기자 youngwoo@hankyung.com](https://img.hankyung.com/photo/201901/AA.18648461.1.jpg)
네 차례 추가 파업 예고
![국민은행 노조원 9000여 명은 지난 7일 저녁부터 8일 오후까지 서울 잠실학생체육관에 모여 총파업을 벌였다. 국민은행 노조는 오는 3월 말까지 네 차례에 걸쳐 추가 총파업을 예고했다. 김영우 기자 ♣♣youngwoo@hankyung.com♣♣](https://img.hankyung.com/photo/201901/AA.18649106.1.jpg)
국민은행 노사가 갈등을 빚고 있는 쟁점은 크게 세 가지다. 노조는 2014년 신입행원부터 적용받고 있는 페이밴드제를 철폐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페이밴드란 성과가 낮아 승진하지 못한 직원들의 임금 인상을 제한하는 제도다. 이 제도가 도입되지 않으면 과장 10년차가 차장 5년차보다 급여를 더 받게 돼 은행에서 성과주의가 정착되지 못한다고 국민은행은 설명했다.노조 주장은 성과가 낮아 승진하지 못한 직원들의 연봉을 계속 올리자는 것이다. 현재 페이밴드를 적용받지 않는 국민은행 대리급 직원의 연봉은 최고 1억1200만원에 달한다. 허 행장은 “소홀한 업무 태도로 동료 직원의 근로 의욕을 꺾는 일부 극소수 직원을 염두에 둔 조치”라며 “직원의 급여를 줄이기 위한 수단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비정규직 전환자(L0) 직급의 처우 개선도 핵심 쟁점이다. 노조는 2014년 비정규직 전환에 따라 만들어진 L0직급 직원들이 과거에 근무했던 경력을 최대 10년까지 인정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L0직급에는 현재 4111명이 근무하고 있다.
사측은 이는 임단협 사안 자체가 아니라고 보고 있다. 경력 인정 문제는 노사협의회에서 논의돼야 한다는 견해다. 내부 직원들의 반발도 상당하다. 한 국민은행 대리(L1직급)는 “치열한 공채 시험을 뚫고 은행에 취업했는데 시험도 치르지 않고 비정규직이 된 직원과 같은 대우를 받아야 한다면 불공평한 것 같다”고 지적했다.국민은행의 한 부행장은 “노조가 근로조건 개악을 말하지만 결국 쟁점은 돈 문제 아니냐”며 “노조 주장을 전면으로 받아들이면 늘어나는 인건비를 감당하지 못해 어렵게 찾은 리딩뱅크 입지가 흔들릴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실제로 국민은행의 지난해 9월 말 기준 영업이익 대비 인건비 비율(CIR)은 48.0%로 신한은행(43.2%)보다 4.8%포인트 높다. 국민은행의 점포당 직원 수 역시 16.6명으로 신한은행(15.8명)보다 한 명 가까이 많다. 국민은행이 많은 인건비를 들여 상대적으로 적은 수익을 올리고 있는 셈이다.
한 경제단체 관계자는 “국민은행 직원의 평균 연봉 9100만원은 전체 근로자 평균 임금인 3475만원의 2.6배나 된다”며 “상위 1%의 급여를 받는 은행 직원들이 급여와 근로조건을 더 낫게 해달라는 건 공감하기 힘들다”고 비판했다.
김순신 기자 soonsin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