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조·강성 親文'의 귀환…청와대 '입김' 더 세지나
입력
수정
지면A2
청와대 비서진 개편‘대통령이 힘들고 어려울 때 찾는 문(文)의 남자’, ‘문의 호위무사’.
노영민 비서실장
대선때 문재인 캠프 조직본부장…홍영표 원내대표와도 돈독
기업 경영 독특한 이력…"경제 활력 불어넣을 적임자"
강기정 정무수석
운동권 출신·3선 국회의원…'親·反文 갈등' 때 '文 호위무사'
법안 날치기 시도때 몸싸움…대인관계·對野 협상력은 탁월
돌고 돌아 ‘국정 2인자’인 대통령 비서실장과 선임수석비서관 격인 정무수석에 임명된 노영민 주중 대사와 강기정 전 의원을 일컫는 말이다. 두 사람은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대선에 승리한 직후부터 초대 대통령 비서실장과 정무수석 후보 각각 1순위에 올랐지만 ‘친문(친문재인) 성향’이 발목을 잡아 후일을 기약해야 했다. 강 전 의원은 지난해 11월 전병헌 전 정무수석이 한국e스포츠협회의 자금 유용 의혹으로 낙마했을 때도 ‘호출’을 받았지만 광주시장 출마를 이유로 고사하기도 했다.코드인사로 친정체제 강화
노 신임 비서실장은 정치권에서 대표적인 ‘원조 친문’ 인사로 꼽힌다. 대선 국면에 영입된 임종석 전 비서실장이 ‘신(新)문’으로 불린 것과 달리 노 실장은 문 대통령의 두 차례 대권 도전 때 후보 비서실장과 조직운영본부장으로 보좌했다. 정권 창출의 지분만 놓고 볼 때 여권에서 노 실장보다 앞선 이를 꼽기 힘들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문 대통령은 2015년 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 전신) 2·8 전당대회에 출마했을 때 한 토론회에서 ‘주요 정치 현안을 누구와 상의하냐’는 질문을 받고 망설임 없이 “노영민 의원과 상의한다”고 답했다. 문 대통령이 노 실장을 얼마나 믿고 의지하는지 보여주는 일화도 있다. 노 실장은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장직을 맡은 2015년 국회의원회관 사무실에 카드 결제 단말기를 두고 상임위 산하기관에 시집을 강매했다는 의혹에 휩싸였다. 결국 20대 총선 불출마를 선언하고 고향인 청주로 낙향했다.비슷한 시기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이던 문 대통령도 당내 친문과 반문(반문재인) 간 갈등으로 당이 쪼개질 위기에 처하자 당권을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에게 넘기는 등 정치적 위기를 맞았다. 차를 몰고 자택이 있는 경남 양산으로 향하던 문 대통령은 노 실장에게 전화를 걸어 “식사나 합시다”고 청했다고 한다. 정치 얘기는 일절 하지 않았지만 낙향한 두 사람의 만남 자체가 끈끈한 인연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대목이다.
강 신임 정무수석은 국회 입성 후 ‘정세균계’로 분류됐다. 2008년에는 정세균 당시 민주당 대표의 비서실장을 맡기도 했다. 강 수석은 문 대통령이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를 지낼 때 ‘당3역’ 중 하나인 정책위원회 의장으로 발탁되면서 인연을 맺었다. 정책위 의장에서 물러난 뒤 당이 친문과 반문 간 갈등으로 내분의 최정점에 달했을 때 ‘문의 호위무사’를 자처하며 ‘친문’ 이미지를 굳혔다. 특히 비문(비문재인)과 반문이 연합전선을 펴며 문 대통령의 당대표 사퇴를 요구하는 데 맞서면서 친문그룹의 눈도장을 받는 동시에 반문그룹에 찍혀 공천에서 탈락하는 빌미가 됐다.
친문 정권엔 ‘양날의 칼’ 분석도노 실장은 과거 민주당이 계파 갈등을 겪을 때마다 강경한 입장을 고수했지만 대인관계에서는 온화하다는 평을 받는다. 전기 기술자에서 시인, 국회의원까지 다양한 삶의 이력이 보여주듯 앞으로 당청관계에서 윤활유 역할을 할 것이란 기대도 크다.
노 실장은 노동운동가 출신이면서 기업을 경영한 독특한 이력을 갖고 있다. 1980년대 ‘현장’에서 전기 노동자로 활동하면서 전기기능기사 등 자격증까지 취득했다. 이후 금강전기라는 회사를 설립해 약 10년간 경영했으며 국회의원에 당선된 뒤 고위공직자 주식백지신탁 시행에 따라 매각했다. 정치권에서 그를 ‘시장을 아는 운동권’으로 부르는 이유다.
임종석 전 비서실장은 노 실장을 소개하며 “국회에서 다년간 신성장 산업포럼을 이끌어 산업·경제계를 비롯한 각계 현장과의 네트워크 및 소통 능력이 강점”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업과 민생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어 혁신적 포용국가의 기반을 튼튼히 다질 최고의 적임자”라고 강조했다.민주당 한 중진의원은 “노 실장이 청와대 기율을 새롭게 다잡으면서 여당뿐 아니라 야당과도 적극 소통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여당 의원들은 노 실장이 홍영표 민주당 원내대표와 막역한 데다 당내 의원들과도 두루 가까운 점을 들어 청와대와의 소통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했다. 노 실장과 홍 원내대표는 1957년생 동갑내기다. 2012년 대통령선거에서 후보 비서실장과 선거캠프 상황실장으로 호흡을 맞췄다. 두 사람 모두 친문계 핵심인사로 꼽힌다.
강 수석에겐 ‘폭력의원’이 꼬리표처럼 따라 다닌다. 과거 국회선진화법이 도입되기 전 법안 날치기 통과를 시도할 때마다 물불을 가리지 않고 앞에 나서면서 상대 당뿐만 아니라 민주당 내에서 ‘몸싸움’ 하면 ‘강기정’을 떠올리는 이가 많다.
강 수석은 강성 이미지에 가려 있지만 대표적인 의회주의자로 만만찮은 협상력을 보여줬다. 정책위 의장 시절엔 유승민 당시 새누리당 원내대표와 호흡을 맞춰 공무원연금법 개정안을 통과시키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강 수석이 당내 반발을 무릅쓰고 “공무원연금법 협상엔 어떤 연계 법안도 테이블에 올리지 않겠다”는 소신을 지키지 않았다면 법안 통과는 불가능했다는 게 당시 원내지도부의 공통된 평가다. 초선이었던 전임 한병도 수석과 달리 3선 중진의원 출신으로 무게감도 있어 단순히 청와대의 ‘메신저’가 아니라 당·정·청 간 중재자 역할을 할 것이란 기대도 나온다.
■노영민 비서실장 약력
△1957년 충북 청주 출생
△청주고 졸업
△연세대 경영학과 졸업
△제17~19대 국회의원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위원장
△주중 대사
■강기정 정무수석 약력△1964년 전남 고흥 출생
△광주 대동고 졸업
△전남대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
△제17~19대 국회의원
△새정치민주연합 정책위원회 의장
손성태/김형호 기자 mrhan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