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 살해범의 '망상' 증상…"이미 병이 심각해졌다는 의미"

"조울증 환자 망상엔 초기 약물치료 효과…지속적인 관리체계 필요"
정신질환을 앓는 환자가 망상에 빠져 강력범죄를 저지르는 사건이 잇따르면서 망상 증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9일 경찰 조사결과를 보면, 서울 강북삼성병원 임세원 교수를 살해한 범인은 자신의 머리에 폭탄이 있다는 망상에 빠져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 남성이 조울증을 앓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지면서 의료계 내에서는 적절한 치료가 있었다면 사고를 방지할 수 있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환자가 망상 증상을 겪고 있다면 병이 심각한 상태이기 때문에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서울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주수현 교수는 "망상은 조현병, 조울증 등 정신질환은 물론 치매나 뇌졸중, 뇌출혈 등으로 뇌를 다쳤을 때도 나타난다"며 "기본적으로 망상 증상이 나타났다는 것은 병이 심각해졌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이어 "망상 증상이 나타났다고 모두 공격적인 것은 아니다"라며 "감정조절이 되지 않거나 다른 정신질환 증상이 함께 있을 때 극단적인 행동을 보일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조울증에서는 증상이 심각해졌을 때 망상이 나타나는데 환자마다 개별 차이는 있지만, '나에게 특별한 능력이 있어 사람들이 나를 감시한다'는 식의 과대망상과 피해망상이 함께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졌다.주 교수는 "조울증 환자에게 망상 증상이 나타났다면 초기에 약물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향정신성 약물은 환자가 빠져있는 망상의 논리적 구조를 느슨하게 만드는 역할을 하는데 초기에 복용할수록 경과가 좋다"고 설명했다.

이어 "망상 환자의 경우 외부 자극에 따라 잘못된 행동으로 나아갈 수 있다"며 "입원을 통해 자극을 줄이고 증상에 따라 약제를 조절하는 집중치료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초기 치료뿐 아니라 환자의 상태를 지속해서 점검하는 의료 시스템도 갖춰져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공통으로 지적한다.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조현상 교수는 "정신질환 환자들이 공격성을 보이면 가족이나 주변에서도 치료를 포기하는 경우가 생긴다"며 "방치된 환자는 증상이 심각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조 교수는 "혼자 생활해온 것으로 알려진 이번 사건 범인 역시 증상이 심각해졌는데도 치료를 받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며 "국가적으로 환자들이 지속해서 치료를 받거나 이들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해 관리해 줄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