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남 마이크로디지탈 사장, 美·日서 인정받은 진단장비 해외 판매망 두배로 확대

BIZ Success Story

김낙훈의 기업인 탐구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쳤을 때 독일의 ‘히든 챔피언(글로벌 강소기업)’ 중에는 생산시설 및 연구개발에 투자를 늘린 기업이 많았다. 경기는 불황과 호황이 반복되는 속성이 있는 만큼 불황기에 호황을 대비해야 한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경기 시화산업단지의 대모엔지니어링과 판교의 마이크로디지탈도 마찬가지다. 올 들어 글로벌 시장공략을 강화하는 이들 기업의 대표를 만나봤다.
김경남 마이크로디지탈 사장이 경기 판교 본사에서 바이오 물질의 정량 성분 분석장비인 ‘나비’의 해외시장 확대 방안을 설명하고 있다. 김낙훈 기자
경기 성남시 판교에 있는 마이크로디지탈(사장 김경남·51)은 종업원 45명에 작년 매출 약 50억원을 기록한 중소기업이다. 하지만 이 회사의 해외판매망은 30개국 50개에 이른다. 여기엔 미국 일본 유럽 등 선진국 딜러들도 포함돼 있다. 김경남 사장은 “올해 말까지 해외 대리점을 50개국 100개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딜러 중에는 미국 굴지의 의료용 진단키트 제조업체인 CTK도 들어 있다. 김 사장은 “CTK는 2년 가까이 우리 제품을 테스트한 뒤 미국 내 판매를 맡기로 지난해 결정했다”고 말했다.

일본의 LMS도 작년부터 마이크로디지탈 제품의 일본 내 독점판매를 담당하고 있다. 일본 선두권의 바이오 장비 및 시약 유통업체다. 김 사장은 “일본 업체는 미국보다 더 까다로워 3년 정도 우리 회사 제품을 테스트했다”며 “심지어 완전분해해 성능을 검사했을 정도”라고 설명했다.

왜 굴지의 미국·일본 업체가 한국 중소기업 제품의 판매에 나섰을까. 마이크로디지탈은 바이오 및 메디컬 분야의 측정·분석장비를 제조하는 업체다. 주력 제품은 바이오 분석장비인 ‘나비(Nabi)’와 메디컬 분석장비인 ‘다이아몬드’다. 이 중 나비는 극소량의 시료를 사용해 바이오 물질의 정량 성분을 분석하는 장비다. 유전자 분석, 단백질 정량, 세포 농도 측정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다. 예컨대 사스나 메르스 등의 질병 감염 여부를 알아볼 때 DNA(유전자) 검사가 필수다. 김 사장은 “이때 1마이크로리터(1L의 100만분의 1) 수준의 시료만으로도 DNA 검사를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 사장은 “우리가 생산하는 제품은 모두 국내에서 처음 개발된 것”이라며 “이때 글로벌 장비업체보다 다섯 가지 강점이 있는지를 생각해 국산화한다”고 말했다. 성능이 선진제품과 적어도 동등한지, 새로운 기능을 두 가지 이상 갖추고 있는지, 사용방법이 간편한지, 모듈화를 통해 손쉽게 애프터서비스할 수 있는지, 가격이 30% 이상 싼지 등이다. 그는 “이런 강점 덕분에 해외 유명 업체들이 우리의 딜러로 나서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주력제품인 다이아몬드는 면역질환을 일으키는 ‘바이오 표지자(biomarker)’의 정량 검사장비다. 혈청 등 시료의 발광과 흡광을 측정해 면역검사를 하는 장비다.

김 사장은 서울대 공대를 중퇴하고 미국 버클리대(학사)와 노스웨스턴대(석·박사)에서 기계공학을 전공한 뒤 미국 로렌스리버모어국립연구소 연구원과 세계적인 반도체장비업체 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의 개발부장을 거쳐 창업했다. 그가 2002년 회사 설립 후 세운 목표는 ‘글로벌 기업이 장악한 바이오·메디칼 측정장비의 국산화’였다. 그동안 20여 종의 제품을 개발했다. 그는 “이는 모두 국내에선 처음 선보인 것들”이라며 “국내 기업들이 안 하는 분야에서 승부를 거는 게 우리 회사의 특징”이라고 말했다. 발명특허를 포함한 지식재산권은 약 40건에 이른다.그는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열리는 국제의료기기전시회(메디카)를 비롯해 두바이의 메드랩 등 굴지의 국제의료기기전시회에 매년 4~5회 출품한다. 이를 통해 바이어들에게 자사 제품을 알리고 네트워크를 맺는다. 신제품은 독자 개발하는 것도 있고 서울대·KIST(한국과학기술연구원) 등과 산학협력을 통해 제품화하는 것도 있다.

이 회사는 올해 말까지 ‘소형으로 자동화된 현장 정밀진단장비’도 개발할 계획이다. 김 사장은 “면역진단 소요시간과 시약 사용을 줄인 제품”이라며 “병원 응급실, 보건소 등에서 신속하면서도 간편하게 원하는 검사를 할 수 있는 장비로 내년부터 시판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김낙훈 중소기업전문기자 n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