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려했던 김정은의 4번째 방중…만찬에 오찬까지 시진핑과 함께
입력
수정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0일 김 위원장의 올해 첫 방중 소식을 48장의 사진과 함께 대대적으로 보도했다.
김 위원장이 집권 후 중국에 4번째로 발은 내디딘 지난 8일은 공교롭게도 그의 35번째 생일이었다.
김 위원장은 1984년 1월 8일생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축하하기라도 하듯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준비한 인민대회당에서의 환영 만찬은 휘황찬란했다.
김 위원장 부부가 인민대회당에 입장할 때는 중국 육·해·공군 의장대와 군악대가 도열한 채 이들을 맞이했다.
김 위원장 부부와 시 주석 부부, 김 위원장의 여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 제1부부장을 포함한 수행원 등 17명은 거대한 원형 식탁에 둘러앉아 식사를 즐겼다.
어떤 메뉴가 제공됐는지 알 수 없지만, 식탁 위에는 화려한 장식의 그릇 덮개와 함께 와인잔, 과일바구니 등이 놓여있다.
저녁 식사 후에는 연회장 한편에 마련된 무대에서 중국 예술인 수십명이 펼치는 공연이 잇달아 열렸다.
공연이 끝나고 김 위원장 부부와 시 주석 부부는 중국 소수민족 전통의상을 차려입은 어린아이들과 기념사진을 촬영하기도 했다.


중국 정부는 2015년 1월 8일 31번째 생일을 맞은 김정은 당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에게 축하 메시지를 보냈다고 밝힌 바 있다.
김 위원장 부부와 시 주석 부부는 이튿날인 9일 베이징의 호텔 북경반점에서 다시 만나 수행원들 없이 넷이서만 오찬을 같이했다.
한 사람당 3개의 술잔이 비치된 식탁 위에는 색색의 꽃과 자금성을 본뜬 장식품이 놓여 화려함을 더했다.
오찬에 앞서 김 위원장 부부가 생약 제조업체인 동인당(同仁堂·퉁런탕) 공장을 둘러보는 모습도 신문에 실렸다.
김 위원장이 평양에서 베이징으로 들어올 때, 베이징에서 평양으로 나갈 때는 중국 권력서열 5위로 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인 왕후닝(王호<삼수변+扈>寧) 당 중앙서기처 서기 등 수십명의 중국 측 인사들이 나와 손을 흔들었다.
특히 쑹타오(宋濤) 중국 공산당 대외연락부장은 북·중 접경지역인 랴오닝성(遼寧省) 단둥(丹東)역까지 와서 김 위원장을 환영·환송했다.
기차에 타고 내리는 동안 김 위원장을 향한 스틸 카메라의 플래시가 쉼 없이 터졌고, 영상 카메라는 김 위원장의 동선을 따라 분주히 움직였다.
이날 노동신문이 총 6개 면 중 5개 면에 걸쳐 소개한 김 위원장의 방중 기사의 글자 수는 1만자가 넘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