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나가는 구글·아마존도 자리 없어 전시장 밖에 부스 차려
입력
수정
지면A8
Cover Story - CES로 본 미래 트렌드‘헤이 구글.’ ‘알렉사.’
인기폭발 CES '즐거운 비명'
11일(현지시간) 막을 내린 세계 최대 전자쇼 ‘CES 2019’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었던 문구다. 세계에서 내로라하는 혁신 기업들이 구글과 아마존의 인공지능(AI) 플랫폼을 의미하는 이 명칭을 자사 제품 한쪽에 실었다.이런 구글과 아마존도 CES가 열린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 내부엔 자사 부스를 마련하지 못했다. 대형 전시장을 원하는 기업은 늘고 있지만 필요한 전시공간은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야외에 처음으로 전시공간을 꾸린 구글은 올해도 야외 전시장에 부스를 차렸다. 전시장 내부에서는 적절한 대형 공간을 찾지 못했다. 대신 규모를 지난해보다 세 배로 키웠다. 올해 첫 출전한 네이버도 구글을 마주보는 야외 전시장에 부스를 설치했다. 아마존은 컨벤션센터에서 차로 15분가량 떨어진 베네시안호텔에 대형 전시장을 마련했다. 기업들이 보통 한 구역씩 빌리는 전시장을 4개나 합쳤다. 올해 첫 공동부스를 꾸린 SK그룹 계열사들은 컨벤션센터 내부에 전시장을 확보하긴 했지만 큰 장소를 잡지는 못했다.과거 참가하지 않던 글로벌 기업들이 CES에 몰리면서 전시장 품귀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삼성전자 한 관계자는 “불과 3년 전만 해도 CES에서 구글과 아마존 전시장을 볼 수 없었다. 천지개벽이 따로 없다”고 했다.
올해 CES에 부스를 꾸린 전체 기업은 미·중 무역갈등 후폭풍으로 지난해보다 소폭 줄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10년간 CES를 찾은 국내 모 기업 대표는 “중국계 중소·중견기업의 참가가 눈에 띄게 줄었다”고 했다. 그럼에도 대형 부스의 몸값은 계속 오르고 있다고 이 관계자는 전했다.
CES를 총괄하는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는 기존 업체에 다음 연도 입점 우선권을 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목 좋은 자리를 선점하고 있는 대형 기업들이 방을 빼지 않는 한 전시장 내부에서 대형 전시공간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은 까닭이다. 중앙홀 전시장 입구에 자리잡은 LG전자 부스는 1995년부터 24년간 같은 자리다. CES에서 전시 규모가 가장 큰 삼성전자도 10년 이상 같은 자리에 터를 잡고 있다.
라스베이거스=좌동욱 기자 leftk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