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하려면 좀 일찍…일단 시작하면 오뚝이 정신으로 가야"
입력
수정
제주산 빵·커피생산 공장 세운 청년 창업가 2인 조언
'창업을 하면서 많은 것을 포기하고 내려놨지만, 스스로 무엇인가를 만들어간다는 성취감은 비교하기 어렵습니다."
"창업을 꿈꾼다면 하루라도 먼저, 발로 뛰어 준비하고서 일단 시작했다면 오뚝이 정신으로 가야 합니다."
서울에서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제주도로 내려가 창업한 김지훈(44) 마이빈스 대표와 정석환(46) 에코제이푸드 대표의 말이다.김 대표는 창업 8년째에 접어들었고, 정 대표는 이제 5년 차 최고경영자(CEO)다.
김 마이빈스 대표는 2012년 제주 한림에 커피나무 원부자재들을 활용해 다양한 커피 제품을 제조, 판매하는 공장을 세웠다.
이 회사는 국내에서 유일한 '커피 분야 농축 융복합 사업체'이다.현재 콜드브루 커피가 현금창출 효자 노릇을 하고 있으나 제주산 커피로 만든 화장품, 와인 등 상품군도 판매한다.
이 회사는 연간 매출 3억원에 13%의 영업이익률을 올리고 있다.
김 대표는 30대 중반에 10년가량 다닌 회사를 그만뒀다.전자상거래 관련 창업을 꿈꾸고 회사를 나왔다.
중소기업진흥공단에서 운영하는 청년창업사관학교에서 교육을 받으면서 사업 아이템을 아예 커피업으로 바꿨다.
은퇴 후 제주에서 커피 농장을 하는 부친과 시너지를 위해서다.제주 서쪽 한림 부근에 하루에 1천ℓ의 커피를 생산하는 공장을 세웠다.
김 대표는 14일 "자체 브랜드는 아직 없고 주문을 받아 커피를 생산하는 주문자 상표부착생산(OEM) 방식으로 판매한다.
매출 70% 이상은 온라인몰 30여개에서 발생하고 나머지는 제주도 내에서 올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커피집 운영자 입장에서 높은 인건비와 임대료를 고려해 커피를 납품받는 게 효율적이라고 판단한 것이다.
김 대표는 "창업하면서 많은 것을 포기하고 내려놨다.
주말, 밤샘 근무도 해야 하고, 제주의 외진 곳에 터전을 마련해 아이 교육에 대해서도 내려놔야 했다.
직장생활 때보다 책임감과 스트레스가 커졌다"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나 "열심히 하면 내 것이 되고 무언가가 만들어진다는 뿌듯함과 성취감은 비교가 안 된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의 목표는 그동안 빌려 쓴 부채를 빨리 갚고 하나의 브랜드를 창출해 국내산 커피 프랜차이즈 사업을 하는 것이다.
김 대표는 예비 창업 청년들에게 "한 번 해보고 아니면 말자는 생각으로 고민과 준비 없이 시작한 창업은 하지 않은 것보다 못한 결과로 돌아온다"고 지적했다.
그는 "주위에서 해주는 응원이 아닌 다양한 의견과 고민, 냉정한 시장조사를 거쳐 시작해야 한다.
인터넷 검색이 아닌 직접 발로 뛰어 고급 정보들을 얻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정석환(46) 에코제이푸드 대표도 제주도에서 유일한 빵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이하 해썹)을 받아 한라산 케이크 등 제주특화 베이커리 제품을 만들고 있다.
기업 간 거래(B2B)를 주력으로 골프장 등 150개 업체에서 주문받아 납품하는 연구·개발·생산(ODM) 방식으로 운영하며 지난해 베트남 등 수출도 시작했다.
베이커리 창업은 미국의 한 베이커리카페의 한국법인에서 브랜드 매니저로 10년 넘게 다니면서 꿈꾸게 됐다.
앞으로 로컬푸드가 뜨겠다는 생각과 10년간 여름휴가를 다녀온 제주도에는 일본 '도쿄 바나나'와 같은 고유의 관광상품이 없을까 하는 의문에서 출발했다.
정 대표는 "건강이 좋지 않은 딸이 제주에만 가면 멀쩡했다.
아시아에서 품질 좋고 환경적으로 안정적인 제품을 만들 수 있는 곳은 청정한 제주도 뿐이라고 생각했다"고 강조했다.
전 직장 동료들을 설득해 5명이 3억원을 갖고 제주로 내려왔으나 초기 자금문제로 애를 먹었다고 한다.
정 대표는 "투자하겠다던 사람이 20명이나 됐지만, 막상 사업을 한다고 하니 연락이 안 됐다.
임대 건물에 매출도 없는 상황에서 중소기업진흥공단에 세 번이나 찾아가 사무실을 직접 보여주고서 벤처로 인정받아 자금을 받아 문을 열게 됐다"고 말했다.
2015년 4월 가까스로 제주시에 100평 정도의 건물 2층에 공장 문을 연 다음 날에는 중동 호흡기증후군(메르스)가 터졌고, 섬인 제주도 특유의 괸당문화(혈연과 지연을 소중히 생각하는 문화)로 고객 잡기에 애를 먹었다고 한다.정 대표는 "작년에 월 1억원씩 매출 12억원을 올렸다.
올해 목표 매출은 내수 18억원과 해외 7억원 등 25억원이다.
작년에 베트남에 진출했고 대만 업체와 미국 한 마트와도 계약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콘셉트가 있는 빵을 만들어 브랜드를 수출하는 제조자브랜드 생산(OBM)과 제주 카페, 유통업을 하고 싶다.
생산, 유통, 영업 등 계열사를 세워 창업 동기 5명이 나눠 운영할 꿈을 꾸고 있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예비 창업자들에게 "돈을 버는 것도 중요하지만 어떻게 돈을 받고 쓸지를 먼저 고민하고 시장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40대만 돼도 가정의 경제 규모가 커져 무리하거나 조급해진다.
사업 기질이 있다면 트랜드를 읽을 수 있는 젊은 나이에 시작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다만, 처음에는 큰 투자와 원대한 목표를 잡기보다 많은 어려움을 어떻게 즐기면서 극복할 것인가가 더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연합뉴스
'창업을 하면서 많은 것을 포기하고 내려놨지만, 스스로 무엇인가를 만들어간다는 성취감은 비교하기 어렵습니다."
"창업을 꿈꾼다면 하루라도 먼저, 발로 뛰어 준비하고서 일단 시작했다면 오뚝이 정신으로 가야 합니다."
서울에서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제주도로 내려가 창업한 김지훈(44) 마이빈스 대표와 정석환(46) 에코제이푸드 대표의 말이다.김 대표는 창업 8년째에 접어들었고, 정 대표는 이제 5년 차 최고경영자(CEO)다.
김 마이빈스 대표는 2012년 제주 한림에 커피나무 원부자재들을 활용해 다양한 커피 제품을 제조, 판매하는 공장을 세웠다.
이 회사는 국내에서 유일한 '커피 분야 농축 융복합 사업체'이다.현재 콜드브루 커피가 현금창출 효자 노릇을 하고 있으나 제주산 커피로 만든 화장품, 와인 등 상품군도 판매한다.
이 회사는 연간 매출 3억원에 13%의 영업이익률을 올리고 있다.
김 대표는 30대 중반에 10년가량 다닌 회사를 그만뒀다.전자상거래 관련 창업을 꿈꾸고 회사를 나왔다.
중소기업진흥공단에서 운영하는 청년창업사관학교에서 교육을 받으면서 사업 아이템을 아예 커피업으로 바꿨다.
은퇴 후 제주에서 커피 농장을 하는 부친과 시너지를 위해서다.제주 서쪽 한림 부근에 하루에 1천ℓ의 커피를 생산하는 공장을 세웠다.
김 대표는 14일 "자체 브랜드는 아직 없고 주문을 받아 커피를 생산하는 주문자 상표부착생산(OEM) 방식으로 판매한다.
매출 70% 이상은 온라인몰 30여개에서 발생하고 나머지는 제주도 내에서 올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커피집 운영자 입장에서 높은 인건비와 임대료를 고려해 커피를 납품받는 게 효율적이라고 판단한 것이다.
김 대표는 "창업하면서 많은 것을 포기하고 내려놨다.
주말, 밤샘 근무도 해야 하고, 제주의 외진 곳에 터전을 마련해 아이 교육에 대해서도 내려놔야 했다.
직장생활 때보다 책임감과 스트레스가 커졌다"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나 "열심히 하면 내 것이 되고 무언가가 만들어진다는 뿌듯함과 성취감은 비교가 안 된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의 목표는 그동안 빌려 쓴 부채를 빨리 갚고 하나의 브랜드를 창출해 국내산 커피 프랜차이즈 사업을 하는 것이다.
김 대표는 예비 창업 청년들에게 "한 번 해보고 아니면 말자는 생각으로 고민과 준비 없이 시작한 창업은 하지 않은 것보다 못한 결과로 돌아온다"고 지적했다.
그는 "주위에서 해주는 응원이 아닌 다양한 의견과 고민, 냉정한 시장조사를 거쳐 시작해야 한다.
인터넷 검색이 아닌 직접 발로 뛰어 고급 정보들을 얻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정석환(46) 에코제이푸드 대표도 제주도에서 유일한 빵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이하 해썹)을 받아 한라산 케이크 등 제주특화 베이커리 제품을 만들고 있다.
기업 간 거래(B2B)를 주력으로 골프장 등 150개 업체에서 주문받아 납품하는 연구·개발·생산(ODM) 방식으로 운영하며 지난해 베트남 등 수출도 시작했다.
베이커리 창업은 미국의 한 베이커리카페의 한국법인에서 브랜드 매니저로 10년 넘게 다니면서 꿈꾸게 됐다.
앞으로 로컬푸드가 뜨겠다는 생각과 10년간 여름휴가를 다녀온 제주도에는 일본 '도쿄 바나나'와 같은 고유의 관광상품이 없을까 하는 의문에서 출발했다.
정 대표는 "건강이 좋지 않은 딸이 제주에만 가면 멀쩡했다.
아시아에서 품질 좋고 환경적으로 안정적인 제품을 만들 수 있는 곳은 청정한 제주도 뿐이라고 생각했다"고 강조했다.
전 직장 동료들을 설득해 5명이 3억원을 갖고 제주로 내려왔으나 초기 자금문제로 애를 먹었다고 한다.
정 대표는 "투자하겠다던 사람이 20명이나 됐지만, 막상 사업을 한다고 하니 연락이 안 됐다.
임대 건물에 매출도 없는 상황에서 중소기업진흥공단에 세 번이나 찾아가 사무실을 직접 보여주고서 벤처로 인정받아 자금을 받아 문을 열게 됐다"고 말했다.
2015년 4월 가까스로 제주시에 100평 정도의 건물 2층에 공장 문을 연 다음 날에는 중동 호흡기증후군(메르스)가 터졌고, 섬인 제주도 특유의 괸당문화(혈연과 지연을 소중히 생각하는 문화)로 고객 잡기에 애를 먹었다고 한다.정 대표는 "작년에 월 1억원씩 매출 12억원을 올렸다.
올해 목표 매출은 내수 18억원과 해외 7억원 등 25억원이다.
작년에 베트남에 진출했고 대만 업체와 미국 한 마트와도 계약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콘셉트가 있는 빵을 만들어 브랜드를 수출하는 제조자브랜드 생산(OBM)과 제주 카페, 유통업을 하고 싶다.
생산, 유통, 영업 등 계열사를 세워 창업 동기 5명이 나눠 운영할 꿈을 꾸고 있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예비 창업자들에게 "돈을 버는 것도 중요하지만 어떻게 돈을 받고 쓸지를 먼저 고민하고 시장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40대만 돼도 가정의 경제 규모가 커져 무리하거나 조급해진다.
사업 기질이 있다면 트랜드를 읽을 수 있는 젊은 나이에 시작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다만, 처음에는 큰 투자와 원대한 목표를 잡기보다 많은 어려움을 어떻게 즐기면서 극복할 것인가가 더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