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레니얼 세대들은 직장 선택시 무엇을 가장 중시할까?
입력
수정
밀레니얼 세대들은 직장을 선택할 때 △직무 △연봉 △정규직 △교통 △업종 △인지도 등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밀레니얼 세대 구직자 1002명을 대상으로 ‘구직활동 트렌드’에 대해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들이 직장 선택 시 가장 고려하는 사항은 ‘직무(28.0%)’였다. 다음은 △연봉(27.9%) △정규직 여부(13.4%) △도시 접근성(회사 주변 편의시설, 교통 등·12.6%) △업종(산업 분야·8.1%) △회사의 규모 및 인지도(6.5%) 등의 순이었다. 밀레니얼 세대란 1982년에서 2000년 사이에 태어난 신세대로 최근 스마트폰, 디지털에 능하고 대부분이 대학에 진학하는 등 고등교육을 받고 있는 세대다.이들 밀레니얼 세대는 ‘굳이 정규직 아니라도 괜찮다(36.7%)’거나 ‘프리랜서도 좋다(3.9%)’ 등 고용형태에서 부모세대보다 비교적 자유로웠다. 하지만 ‘반드시 정규직’이란 응답도 59.4%로 나타나 고용형태에 있어 양면성을 드러냈다.
기업 규모에서는 10명 중 1명만 ‘대기업(10.2%)’을 꼽았다. 오히려 직원수 100~300명 기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28.9%로 가장 높았다. 이어 △직원수 300명~500명 미만(24.6%) △직원수 50명~100명 미만 기업(20.1%) 등의 순이었다.
선호 업종은 성별에 따라 달랐다. 여성 구직자들의 경우 △식음료·외식·호텔·항공 등 서비스업종이 20.6%로 가장 높았다. 다음은 △미디어·문화·예술 관련 산업(13.9%) △의료·제약·사회복지 분야(11.4%) △교육업(10.3%) 등의 순이었다. 남성 구직자들이 선호하는 업종으로는 △정보기술(IT)업이 16.5%로 1위를 차지했으며, △전기전자·반도체·자동차 등 제조·생산·화학 분야(15.1%) △서비스업(14.8%) 순으로 높았다.반면 취업을 기피하는 직종으로 여성 구직자들은 △영업·판매직(23.5%) △생산·현장직(15.5%) △고객상담직(15.3%) 등을 꼽았다. 남성 구직자들은 △생산·현장직(19.4%) △영업·판매직(19.0%) △서비스직(10.2%) 등을 기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태윤 기자 trues@hankyung.com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밀레니얼 세대 구직자 1002명을 대상으로 ‘구직활동 트렌드’에 대해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들이 직장 선택 시 가장 고려하는 사항은 ‘직무(28.0%)’였다. 다음은 △연봉(27.9%) △정규직 여부(13.4%) △도시 접근성(회사 주변 편의시설, 교통 등·12.6%) △업종(산업 분야·8.1%) △회사의 규모 및 인지도(6.5%) 등의 순이었다. 밀레니얼 세대란 1982년에서 2000년 사이에 태어난 신세대로 최근 스마트폰, 디지털에 능하고 대부분이 대학에 진학하는 등 고등교육을 받고 있는 세대다.이들 밀레니얼 세대는 ‘굳이 정규직 아니라도 괜찮다(36.7%)’거나 ‘프리랜서도 좋다(3.9%)’ 등 고용형태에서 부모세대보다 비교적 자유로웠다. 하지만 ‘반드시 정규직’이란 응답도 59.4%로 나타나 고용형태에 있어 양면성을 드러냈다.
기업 규모에서는 10명 중 1명만 ‘대기업(10.2%)’을 꼽았다. 오히려 직원수 100~300명 기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28.9%로 가장 높았다. 이어 △직원수 300명~500명 미만(24.6%) △직원수 50명~100명 미만 기업(20.1%) 등의 순이었다.
선호 업종은 성별에 따라 달랐다. 여성 구직자들의 경우 △식음료·외식·호텔·항공 등 서비스업종이 20.6%로 가장 높았다. 다음은 △미디어·문화·예술 관련 산업(13.9%) △의료·제약·사회복지 분야(11.4%) △교육업(10.3%) 등의 순이었다. 남성 구직자들이 선호하는 업종으로는 △정보기술(IT)업이 16.5%로 1위를 차지했으며, △전기전자·반도체·자동차 등 제조·생산·화학 분야(15.1%) △서비스업(14.8%) 순으로 높았다.반면 취업을 기피하는 직종으로 여성 구직자들은 △영업·판매직(23.5%) △생산·현장직(15.5%) △고객상담직(15.3%) 등을 꼽았다. 남성 구직자들은 △생산·현장직(19.4%) △영업·판매직(19.0%) △서비스직(10.2%) 등을 기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태윤 기자 true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