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2차 核 담판 가시권…김정은 서울 답방도 앞당겨질까
입력
수정
여권서 '빠르면 3·1절 답방' 시나리오…靑 "추진한 적도, 논의된 적도 없어"
100주년 의미 강조해온 文대통령…"북미회담 후에는 남북정상이 협의할 필요"
북미간 비핵화-상응조치 협상 등 변수 많아…"3월 초 너무 촉박" 의견도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이 17일(현지시간) 미국을 방문할 것으로 알려지는 등 2차 북미정상회담 준비가 가시화하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울 답방도 빨라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애초 '2월 말∼3월 초'로 예상된 북미 정상의 두 번째 만남이 이번 북미 고위급 회담 결과에 따라 '2월 중'으로 당겨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와, 김 위원장의 서울 방문 역시 이르면 북미정상회담 직후인 3월 초가 될 것이라는 전망 역시 자연스레 뒤따르는 것이다.
특히 여권에서는 남북 정상이 올해 3·1운동 100주년 기념 공동행사를 추진하자는 데 공감대를 이룬 만큼, 김 위원장이 3·1절에 맞춰 전격 답방을 할 수 있다는 시나리오도 거론되고 있다.
여권 관계자는 16일 "문재인 대통령은 그동안 3·1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의 중요성을 수차례 강조해왔다"며 "남북 정상이 함께 공동행사를 치르는 것도 좋은 아이디어일 수 있다"고 말했다.그러면서 "꼭 공동행사 형식이 아니어도 이 시기에 남북 정상이 만난다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했다.
나아가 2월 중에 2차 북미정상회담이 열린다면 그 결과를 두고서 남북 정상이 빨리 머리를 맞대야 한다는 점도 '3월 초 서울 답방' 시나리오의 근거로 작용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지난 10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2차 북미정상회담이 열리면 남북관계의 선순환을 위해 어떤 형태든 남북 정상이 마주 앉아 북미회담의 결과를 공유하고 협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일부에서는 김 위원장이 남북관계 발전의 상징성을 더하기 위해 4·27 1차 남북정상회담 1주년이 되는 4월 27일 전후로 답방할 수 있다는 전망도 있지만, 이 경우 북미회담과 남북회담의 간격이 너무 벌어지는 것이 단점으로 꼽힌다.
이에 따라 현재로서는 2월 중 북미회담이 성사된다면 김 위원장의 답방 시기는 3월이 될 것이라는 관측에 조금 더 무게가 실리는 모습이다.하지만 청와대에서는 "3월 초 답방 가능성에 대해서는 검토된 바 없다"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청와대 관계자는 "아직 북미회담이 어떻게 될지도 정해지지 않은 상황"이라며 "지금 김 위원장의 답방을 얘기하는 건 너무 앞서가는 것 아닌가"라고 말했다.
김의겸 대변인도 '3·1절에 김 위원장의 답방이 추진되고 있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에 대해 기자들에게 메시지를 보내 "추진한 적도, 논의된 적도 없다"고 밝혔다.
특히 북한의 비핵화 실행조치와 미국의 상응조치를 둘러싼 북미 간 협상 결과에 따라 남북 정상 간 만남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등 답방 시기를 예측하기에는 변수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아울러 2차 북미정상회담이 조기에 성사되더라도 '3·1절 답방'이 성사되기에는 시간이 너무 촉박하다는 의견도 나온다.이 관계자는 "만일 북미 정상이 2월 중순에 만난다고 가정해도 그 이후 보름 남짓한 시간에 의전·경호 문제 등을 모두 준비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100주년 의미 강조해온 文대통령…"북미회담 후에는 남북정상이 협의할 필요"
북미간 비핵화-상응조치 협상 등 변수 많아…"3월 초 너무 촉박" 의견도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이 17일(현지시간) 미국을 방문할 것으로 알려지는 등 2차 북미정상회담 준비가 가시화하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울 답방도 빨라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애초 '2월 말∼3월 초'로 예상된 북미 정상의 두 번째 만남이 이번 북미 고위급 회담 결과에 따라 '2월 중'으로 당겨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와, 김 위원장의 서울 방문 역시 이르면 북미정상회담 직후인 3월 초가 될 것이라는 전망 역시 자연스레 뒤따르는 것이다.
특히 여권에서는 남북 정상이 올해 3·1운동 100주년 기념 공동행사를 추진하자는 데 공감대를 이룬 만큼, 김 위원장이 3·1절에 맞춰 전격 답방을 할 수 있다는 시나리오도 거론되고 있다.
여권 관계자는 16일 "문재인 대통령은 그동안 3·1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의 중요성을 수차례 강조해왔다"며 "남북 정상이 함께 공동행사를 치르는 것도 좋은 아이디어일 수 있다"고 말했다.그러면서 "꼭 공동행사 형식이 아니어도 이 시기에 남북 정상이 만난다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했다.
나아가 2월 중에 2차 북미정상회담이 열린다면 그 결과를 두고서 남북 정상이 빨리 머리를 맞대야 한다는 점도 '3월 초 서울 답방' 시나리오의 근거로 작용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지난 10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2차 북미정상회담이 열리면 남북관계의 선순환을 위해 어떤 형태든 남북 정상이 마주 앉아 북미회담의 결과를 공유하고 협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일부에서는 김 위원장이 남북관계 발전의 상징성을 더하기 위해 4·27 1차 남북정상회담 1주년이 되는 4월 27일 전후로 답방할 수 있다는 전망도 있지만, 이 경우 북미회담과 남북회담의 간격이 너무 벌어지는 것이 단점으로 꼽힌다.
이에 따라 현재로서는 2월 중 북미회담이 성사된다면 김 위원장의 답방 시기는 3월이 될 것이라는 관측에 조금 더 무게가 실리는 모습이다.하지만 청와대에서는 "3월 초 답방 가능성에 대해서는 검토된 바 없다"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청와대 관계자는 "아직 북미회담이 어떻게 될지도 정해지지 않은 상황"이라며 "지금 김 위원장의 답방을 얘기하는 건 너무 앞서가는 것 아닌가"라고 말했다.
김의겸 대변인도 '3·1절에 김 위원장의 답방이 추진되고 있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에 대해 기자들에게 메시지를 보내 "추진한 적도, 논의된 적도 없다"고 밝혔다.
특히 북한의 비핵화 실행조치와 미국의 상응조치를 둘러싼 북미 간 협상 결과에 따라 남북 정상 간 만남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등 답방 시기를 예측하기에는 변수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아울러 2차 북미정상회담이 조기에 성사되더라도 '3·1절 답방'이 성사되기에는 시간이 너무 촉박하다는 의견도 나온다.이 관계자는 "만일 북미 정상이 2월 중순에 만난다고 가정해도 그 이후 보름 남짓한 시간에 의전·경호 문제 등을 모두 준비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