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中·獨 '수소사회'로 앞서 달린다
입력
수정
지면A5
친환경 '궁극의 에너지' 평가일본과 중국 등 주요 국가는 ‘수소사회’에 먼저 진입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다. 수소는 화석연료와 달리 고갈될 우려가 없고, 유해물질을 거의 배출하지 않아 ‘궁극(窮極)의 에너지’로 여겨지고 있어서다. 이런 이유로 수소전기자동차(FCEV) 보급과 충전소 설치뿐만 아니라 선박, 기차 등 다양한 운송수단에 수소를 활용하기 위한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
日·中, 중장기 비전 이미 마련
獨, 국가 차원 수소기구 설치
중국도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중국 정부는 2030년까지 수소차 100만 대, 충전소 1000개 이상을 보급한다는 ‘수소 이니셔티브’ 계획을 2017년 내놨다. 정부의 든든한 지원 아래 상하이자동차 등 현지 완성차업체 10여 곳이 수소차 개발 및 양산에 뛰어들었다.
독일은 국가 차원의 수소기구까지 설치해 대규모 예산을 쏟아붓고 있다. 2030년까지 수소차 180만 대를 보급하고 수소충전소 1000개를 설치할 계획이다. 이미 수소버스와 수소연료전지열차를 상용화했다. 미국은 캘리포니아주가 수소사회 전환을 주도하고 있다. 2030년까지 수소차 100만 대를 보급하고 수소충전소 1000개를 지을 방침이다.
장창민 기자 cm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