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서해 상공서 인공강우 실험…인공비, 지긋지긋한 미세먼지 해결책 될까?

항공기로 요오드화은 살포
올해 모두 15차례 실험 예정

美·러 등도 비 1㎜ 가량 그쳐
해외 공식적 성공사례 없어
기상청 "기술개발 토대 마련"
정부가 서해상에서 인공적으로 비를 내리게 해 미세먼지를 줄이는 실험을 올해 15차례 실시한다. 하지만 미세먼지를 씻어내릴 정도의 많은 양의 비를 내리게 하는 것은 아직 기술적으로 불가능한 탓에 당장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은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과 함께 미세먼지 농도가 높을 것으로 예측되는 25일 경기 남서부 지역 및 인근 서해상에서 기상항공기를 이용해 발생된 인공강우가 미세먼지를 얼마나 줄일 수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합동 실험을 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합동 실험에는 항공기, 선박, 이동 관측 차량, 도시 대기 측정망 등 기상장비와 환경장비가 활용된다. 실험단은 먼저 기상장비를 활용해 기온, 습도, 바람 등의 기상 여건 및 미세먼지 상황을 분석한 뒤 실험에 적합한 장소를 찾는다.

이륙한 기상항공기가 해당 지역에 인공강우 물질인 요오드화은을 살포하면 국립기상과학원은 구름과 강수 입자 변화 사항을 관측하고, 천리안 기상위성과 기상레이더를 활용해 인공강우 생성 효과를 분석한다. 이후 인공강우 물질 살포 전부터 살포 후까지 대기의 미세먼지 농도 변화를 연속적으로 관측하면서 강우량이 미세먼지 저감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다.

이번 실험은 문재인 대통령이 전날 국무회의에서 심각한 사회문제로 떠오른 미세먼지와 관련해 재난에 준하는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하면서 마련됐다. 하지만 인공강우를 이용한 미세먼지 저감효과에는 아직 기술적으로 극복해야 하는 과제가 많다는 지적이 나온다.기상청에 따르면 국내뿐만 아니라 미국, 러시아 등 일찍부터 인공강우 실험을 하고 있는 나라에서조차 인공강우량은 시간당 최대 1㎜가량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중국과 태국 등 여러 나라에서 인공강우를 활용해 미세먼지를 줄이는 시도를 해 왔지만, 공식적인 성공 사례는 아직 없다.

주상원 국립과학원장은 “지금 당장은 인공강우를 통해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겠지만, 밝혀낸 메커니즘을 바탕으로 향후 인공강우량을 늘릴 수 있는 기술 개발의 토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임락근 기자 rkl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