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년째 제자리 한국, 매년 혁신기업 '새얼굴' 내미는 중국
입력
수정
삼성전자·LG전자·LS산전 꾸준하지만…신규진입 '전무'
한국시간 23일 자정 공개된 글로벌 100대 혁신기업(Derwent Top 100 Global Innovators 2018-19) 명단에 한·중 기업이 3곳씩 이름을 올렸다. 외견상 양국이 어깨를 나란히 한 것이지만 속사정은 좀 다르다. 톱100에 든 한국 기업 3곳은 이 평가가 시작된 2011년부터 8년 연속 개근했다. 뒤집어보면 새롭게 혁신기업으로 발돋움한 국내 업체가 그간 전무했다는 뜻이다.◆ 中, 화웨이 이어 샤오미·비야디 '톱100' 신규진입
글로벌 혁신기업 순위권에 처음 등장한 샤오미가 대표적이다. 샤오미는 ‘대륙의 실수’로 통한다. 짝퉁이 판치는 중국산 제품을 빗대 높은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를 구현한 샤오미 전자제품을 거꾸로 칭찬하는 표현이다. 호평이 이어지며 ‘대륙의 기적’으로 거듭났다. ‘중국의 애플’로도 불렸는데 이젠 애플과 함께 100대 혁신기업에 들 만큼 성장했다.
자동차 배터리업체로 출발한 BYD도 전기차 세계 1위로 올라섰다. 원천기술을 다수 확보하며 ‘중국판 테슬라’로 주가를 높였다. 두 업체 모두 특허·IP 성과를 냈단 점에서 모방 위주 대체제, 추격형 후발업체를 벗어나 독자적 기술기업으로 발전했다는 평가를 내릴 수 있다.이에 대해 김진우 클래리베이트 한국지사장은 “국내 기업들이 8년 연속 높은 성과를 보였다. 다만 새로운 기업이 계속 순위에 오르는 중국과 달리 한국은 새로 추가되는 기업이 없다는 점이 아쉽다”고 짚었다.
◆ '핫'한 AI·5G…고민·투자 없인 '혁신후진국' 전락
혁신의 무게중심은 아시아로 옮겨왔다. 올해 혁신기업 100곳 중 48곳이 아시아 기업이었다. 혁신기업 최다 보유국 일본(39개)에 한국·중국·대만(각 3개)이 힘을 보탰다. 대만의 경우 애플 협력사인 아이폰 제조업체 폭스콘(혼하이정밀), 애플워치 위탁생산업체 콴타컴퓨터가 나란히 이름을 올린 게 눈에 띈다.
산업 부문별 특성상 하드웨어·전자가 35개로 최다였다. 제조·의료(15개) 화학·화장품(10개) 자동차(7개) SW, 항공우주·방위, 가전제품·가사용품(이상 6개)이 뒤를 이었다. 유통 기반인 알리바바,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기업 페이스북 등이 순위권 밖인 것은 특허 및 IP 확보가 쉽지 않은 분야인 탓으로 풀이된다.
인공지능(AI)과 5세대(5G) 이동통신 기술이 급성장세를 보인 것도 특징이다. 혁신기업들이 집중한 분야였다. 올해 글로벌 100대 혁신기업 중 31곳이 AI 발명을 주요 특허 포트폴리오 항목으로 보유했고, 5G 기술 분야의 2018년 패밀리 특허 수는 900개를 넘어섰다고 클래리베이트는 설명했다.앞으로 이들 분야의 기술혁신에 대한 고민과 투자 없이는 ‘혁신 후진국’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경고 의미도 담겼다. 김진우 지사장은 “올해 분석에서 보듯 신기술은 산업 분야의 장벽을 넘어 엄청난 속도로 글로벌 기업들의 혁신에 영향을 주고 있다”면서 “다음 미래를 이끌어갈 기술이 무엇일지 예측하고 선점하는 것이 혁신의 승패를 가를 열쇠”라고 덧붙였다.
김봉구 한경닷컴 기자 kbk9@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