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호의 생활 속 경제이야기] 美 기업공시에 부정적 내용 많은 이유
입력
수정
지면A33
박정호 < KDI 전문연구원 >

이들 공시 자료를 보면 한 가지 특이한 점이 있다. 한국 기업은 공시를 통해 주로 자사의 긍정적인 소식을 전달하는 데 비해 미국 기업은 부정적인 소식을 전달하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이다. 미국 기업은 지난 30년간 자발적으로 공시를 통해 자사의 부정적인 소식 비중을 꾸준히 늘려왔다.
미국 기업도 1970~1980년대에는 자사에 우호적인 소식을 공시를 통해 알렸다. 그런데 1980년대 중반부터 부정적인 소식 비중이 늘더니 1990년대에는 긍정적인 내용보다 부정적인 내용 비중이 커졌다.

투자자뿐 아니라 미국의 변호사들도 사건을 수임하기 위해 특정 회사의 공시 자료를 관찰한다. 특정 회사의 공시 내용이 모호하거나 과장됐다고 판단하면 TV나 신문 광고를 통해 투자자들에게 집단소송을 독려하는 추세다.
이처럼 미국에선 투자자 집단소송이 활발하다 보니 경영진이 소송에 휘말리지 않기 위해 자구 노력을 하기 시작했고 그 과정에서 공시 내용에 부정적인 뉴스가 더 빈번히 발표되는 형태로 이어진 것이다. 아울러 투자자가 공시 내용과 관련해 더 문의할 수 있는 경로를 병기하는 경우도 많다.
이에 비해 국내 기업의 공시 자료는 상대적으로 투자 관련 긍정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기회로 삼는 분위기다. 어쩌다 부정적인 사항을 공시할 때면 해당 내용을 가능한 한 모호하게 표현하고, 관련 피해를 보상받을 수 있는 세부 경로를 함께 제시하는 경우도 드물다. 우리나라 기업 공시 자료의 신뢰성은 언제나 높아질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