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과 현실의 간극이 빚은 혼란…정신적 화해 못하면 비극 초래
입력
수정
지면A30
소포클레스와 민주주의18세기 영국 낭만주의 전성기를 구가한 위대한 시인이 있다. 바로 존 키츠(1795~1821)다. 그는 불우한 가정환경으로 우울증에 시달렸다. 그가 어렸을 때, 아버지는 말을 타다 떨어져 사망했고 어머니도 폐결핵으로 세상을 떠났다. 키츠의 태생적인 감수성은 이런 가정환경과 결합해 그를 심한 우울증으로 내몰았다.
배철현의 그리스 비극 읽기 (37) 우울(憂鬱)
우울증을 극복한 키츠
부모의 사망·불우한 가정환경…자신의 결점을 장점으로 승화시켜
셰익스피어 견줄 만한 문인으로
'통곡하는 자' 아이아스
복수심 가득찬 트로이 전쟁 영웅…미몽·광기에 빠져 가축떼 도살
괴리감 속에서 '극단적 선택' 결심
키츠는 25세 젊은 나이에 폐결핵에 걸려 요절했지만, 셰익스피어와 견줄 만한 시인이 됐다. 그는 불우한 환경을 오히려 자신의 위대함을 발휘하기 위한 발판으로 삼았다. 그는 소위 ‘부정적 수용능력’, 즉 자신의 결점을 장점으로 승화시키는 능력을 발휘한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는 자신의 우울 증상을 다음과 같이 표현했다. “나는 깊은 물에 잠겨 있어. 내가 아무리 발을 차도 위로 올라갈 수 없을 것 같아!”우울
누구나 인생의 여정에서 키츠가 언급한 고뇌를 한번쯤 경험하기 마련이다. 어떤 이는 갑자기 들이닥친 비극적인 사건에 휘말려 우울증에 빠질 수도 있다. 삶을 돌아보며 지금의 현실과 과거에 열망했던 삶의 간극 때문에 자신에게 실망도 한다. 이런 우울한 감정은 대부분 검은 구름처럼 시간이 지나면 자취를 감춘다. 그러나 몇몇 사람에게는 이런 감정이 시간이 지나도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심화된다. 그들은 자신을 세상에 쓸데없는, 미움과 증오 그리고 동정의 대상으로 여긴다. 삶이 이젠 짐이 돼 점점 걸머지기 힘들다고 생각한다.
오스트리아 심리학자 빅터 프랭클(1905~1997)이 말한 것처럼 인간은 자신의 삶을 가치 있게 만들어주는 ‘존재의 의미’를 찾을 때 살맛이 난다. 우리가 세상에 태어난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는 이 가시적인 공간과 비가시적인 시간을 차지하면서 이 조그만 육체를 충족하고 정신을 만족시키다가 결국에는 흙으로 돌아가기 위해 생존하는 것인가? 우리가 스스로를 존경하고 그럼으로써 타인도 그렇게 여기는 마음은, 우리 인생을 작동시키기 위한 에너지다. 우리가 개인으로서 개성을 지닌, 가치 있는 존재임을 확신하지 못한다면 우리는 강물에 떠다니는 부초와 같다.아이아스는 트로이 전쟁의 영웅인 자신과 미몽에 빠져 가축 떼를 도살한 자신과의 괴리에서 어찌할 바를 모른다. 그는 이 둘의 간극을 정신적으로 화해시킬 수 없다. 그는 광기에 빠져 가축 떼를 죽인 행위를 도저히 스스로 용인할 수도, 이해할 수도 없다. 그는 스스로 이 난관에서 건져내 줄 구원의 여지를 찾지 못한다.
가부장적인 아이아스
테크멧사는 남편 아이아스의 광란을 말로 표현할 수 없어 감탄사를 남발한다. “아아, 슬프도다!” 테크멧사는 아이아스가 정신이 돌아오면, 그가 저지른 추행을 보고 더 큰 고통에 빠질 것이라고 예견한다. 그 고통은 남들이 가한 고통이 아니라 스스로 야기한 고통이기 때문에 더욱 비극적이다.아이아스는 현실을 있는 그대로 직시하고 수용할 수 없는 병에 걸려 재앙을 일으켰다. 미몽에서 깨어난 그는 깊은 슬픔에 빠져 있다. 슬픔은 시간이 지나면 줄어들기 마련이다. 그러나 아이아스의 슬픔은 줄어들 줄 모른다.
테크멧사는 합창대장과 관객들에게 아이아스가 행한 재앙을 자세히 설명한다. “여러분도 연관된 사건이니 아이아스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제가 그날 일어난 일을 모두 말하겠습니다. 캄캄한 밤이었습니다. 저녁에 켜둔 등불이 꺼지기 시작하는 시점이었습니다. 그때 아이아스는 쌍날칼을 집어 들고 습격하기 위해 막사를 나가려는 참이었습니다. 그럴 만한 이유가 없었기 때문에 저는 아이아스에게 항의했습니다. ‘왜, 이 야단이십니까? 누가 부르지도 않고, 전투를 알리는 나팔소리도 없는데. 지금은 모든 군인이 잠자고 있습니다.’ 그러자 아이아스는 퉁명스럽게 늘 하던 말을 내게 건넸죠. ‘여인이여! 여자란 잠자코 있을 때 가장 예쁜 법이야.’”(285~292행)
아이아스는 그가 당연히 받아야 하는 명예가 실추됐다고 믿었다. 아킬레우스의 무구가 아가멤논과 메넬라오스의 결정으로 그 야비한 오디세우스에게 돌아간 사실이 견딜 수 없었다. 그는 자신의 가치를 남들의 평가와 존경에서 찾았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치적을 이룬 사람에게 그에 합당한 명예를 수여했다.‘명예’를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 ‘티메(time)’는 기원전 12세기 호메로스 시대의 영웅이 당연히 지닌 덕목이었다. 하지만 기원전 5세기 아테네가 민주주의를 실험하고 있을 때 새로운 영웅의 모습과 가치가 등장했다. 이제 명예는 제한된 도시에 거주하면서 자신과 다른 이념과 이상, 관심을 지닌 타인들에게서 타협과 숙의를 이끌어내는 지도자에게 주어진다. 호메로스 시대의 영웅이 아킬레우스와 아이아스라면 아테네 시대의 영웅은 남들의 의견을 경청하고 공동의 최선을 도출하는 기술, 즉 ‘설득의 기술’을 지닌 자다. 오디세우스는 새로운 시대의 영웅이다. 아이아스는 호메로스 시대의 영웅처럼 가부장적이다. 그는 아내 테크멧사에게 절대 복종을 요구한다.
아이아스는 소 떼와 목동의 개들과 양 떼를 한 줄로 묶어 막사 안으로 들어왔다. 그런 후 이 가축들의 머리를 자르고, 멱을 따고 몸을 두 동강 냈다. 그는 아직도 묶여 있는 가축들을 학대했다. 아이아스는 이 가축들을 자신에게 치욕을 안겨준 아가멤논, 메넬라오스 그리고 오디세우스라고 착각했다. 그는 막사 밖으로 나가 이들에게 복수했다며 껄껄대면서 웃었다. 오만한 인간이 미몽에 빠져 저지르는 행위를 ‘복수’라고 부른다. 복수는 자신이 당한 것을 그대로 남에게 가하는 행위다.
복수
기원전 18세기 바빌로니아의 왕 함무라비는 286개 조항의 법을 제정해 제국의 기반으로 삼았다. ‘눈에는 눈, 이에는 이’라고 알려진 동태복수법(同態復讐法)이 정의였다. 아마도 기원전 12세기 호메로스 시대의 정의는 힘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복수를 사용했을 것이다. 기원전 5세기 복수는 새로운 의미를 지닌다. ‘복수’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네메시스(nemesis)’는 복수의 대상이 상대방이 아니라 자신이 됐다. ‘복수’라는 폭력을 행하는 자가 그 복수의 대상이 된다. 아이아스가 미몽에 빠져 저지른 폭력적인 복수의 칼날은 자신을 해치는 무기가 됐다. 복수는 결국 자신에게 가하는 비극적인 행위다.
복수에 성공했다고 자축한 아이아스는 막사로 돌아와 사체로 가득한 광경을 보고 정신이 돌아왔다. 그는 자신의 머리를 치며 울부짖고, 죽어 쓰러진 양 떼 더미 속에서 자신의 머리털을 쥐어뜯는다. 그는 울부짖는 황소처럼 저음으로 울기 시작한다. 자신의 칼에 죽은 짐승들 가운데서 식음을 전폐하고 말없이 웅크려 앉아 있다. 테크멧사는 아이아스가 깊은 실의와 우울증에 빠져 무언가 끔찍한 것을 꾀하고 있다고 상상한다. 그는 아이아스의 친구들인 합창대원들에게 막사 안으로 들어가 그를 우울에서 건져내라고 부탁한다. 막사 안으로 들어간 친구들은 ‘성체와 같이 당당한 아이아스’가 실성한 모습을 보고 할 말을 잃는다.
‘아이아이’
아이아스는 말한다. “아이고 아이고! 내 이름이 내 불운에 이렇게 들어맞으리라고 누가 상상이나 했겠는가?”(430~431행) 소포클레스는 비극적인 주인공들의 이름에 그 성격을 숨겨놓았다. 오이디푸스는 ‘발이 퉁퉁 부은 자’란 뜻이고 아이아스는 ‘통곡하는 자’란 뜻이다. 아이아스는 그가 처한 운명을 깨닫고 자신의 이름과 연관된 그리스어 감탄사 ‘아이아이’를 반복한다. 아이아스는 불운에서 벗어날 가망이 없어 하루하루를 연명하는 것이 수치라고 생각한다. 그는 “고귀한 사람이라면 명예롭게 살거나, 명예롭게 죽어야 한다”(479~480행)고 말한다.
아들 에우리사케스
테크멧사는 자살을 결심한 아이아스에게 간청한다. 과부가 될 자신과 고아가 될 에우리사케스의 처지를 상상해 보라고. 아이아스는 마지막으로 아들을 보고 싶었다. 하인의 손에 이끌려 아들이 오자 아이를 번쩍 들고 얼굴을 보며 말한다. “내 아들아, 너는 네 아비보다 행복하되 다른 점에서 닮도록 하여라!”(550~551행) 그리고 그에게 명성을 준 방패를 아들에게 선사한다. “에우리사케스야! 네 이름의 출처가 된, 일곱 겹 소가죽으로 된 이 뚫리지 않는 방패는 네가 지니되, 단단히 꿰맨 손잡이를 쥐고 휘둘러라.”(574~576행)아이아스는 테크멧사에게 아들을 데리고 막사 밖으로 나가 문을 닫으라고 요구한다. 삶의 의미를 찾지 못해 우울의 늪에 빠진 아이아스! 그의 선택은 무엇인가?
배철현 < 작가 ·고전문헌학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