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북구의회 수상한 유럽 해외연수 … 셀프 심사에 보고서는 표절
입력
수정
지방 구의회 의원들의 외유성 해외연수 실효성이 도마 위에 오른 상황에서 정보공개센터는 서울 지역 기초의회들의 해외연수 계획서에 대한 사전 심사제도가 제대로 이뤄지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정보공개센터가 지난해 11월 3일부터 11월 13일까지 이탈리아, 스위스, 프랑스를 거치는 유럽 해외연수를 다녀온 성북구의회 연수를 분석한 결과 '노골적인 관광성 연수'로 의심된다고 고발했다.
성북구의회 의원들이 유럽에 도착한 다음날인 11월 4일. 본래 연수 계획서에 따르면 폼페이와 나폴리 지역을 탐방하면서 "문화유산 관광자원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날이지만 계획서에는 '관광문화 자원의 활용 방안'에 대한 언급은 찾아볼 수 없다.
11월 5일도 마찬가지다. 계획서에 따르면 이 날은 바티칸 박물관 탐방을 통해 "박물관을 활용한 지역 개발 사례 분석"을 하는 날이지만 연수 보고서를 살펴보면 바티칸 역시 일정표에만 표시 되어 있을 뿐 다른 언급은 없다.11월 6일은 드디어 첫 공식 기관 방문 일정이 있다. 하지만 로마 시청을 방문하기로 되어 있던 이날 수해로 인해 시청 방문이 무산되고 의원들은 '선진 경찰행정 서비스 기관'을 방문해 우리 경찰행정 서비스의 문제점과 개선방법을 찾는다며 로마 경찰서를 방문해 로마 경찰서장과 면담도 진행한다.
보고서에서는 7페이지에 걸쳐 이탈리아 경찰제도와 한국의 경찰행정서비스에 대해 서술하고, 로마경찰서장과 질의응답한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그런데 이탈리아 경찰제도에 대한 설명이나 한국의 경찰행정서비스에 대한 서술 모두 대학교 레포트나 백과사전, 관련 논문의 내용을 그대로 짜깁기해 가져온 것에 불과하다고 정보공개센터는 폭로했다.
아울러 성북구의 문제에 대해서도 제대로 글을 쓰지 못하는 구의원들이, 해외의 선진 사례를 배우러 가는게 무슨 의미가 있겠느냐고 지적했다.그러면서 연수를 통해 무엇을 배워올지도 명확하지 않고, 여행지에 대해 사전조사한 부족한 상황에서 영양가 있는 이야기가 나올리가 없다는 점을 꼬집고 악순환을 피하기 위해서는 공무국외여행 삼시위원회를 제대로 운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번 6·13 지방선거에서 뽑힌 지방의원은 총 3751명이다. 광역의원(서울시·경기도 등 광역단체 의원)이 824명, 기초의원(일반 시·군·자치구 등 기초단체 의원)은 2927명이다.
이들이 다루는 예산은 막대해 행정안전부가 발간한 '2017 행정자치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지방정부 예산은 총 193조1532억원이나 됐다.국민 세금으로 운영되는 지방의회 의원들의 예산 집행을 투명하고 합리적으로 하는지 국민들이 지켜봐야 하는 이유다.
출처: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
이미나 한경닷컴 기자 help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