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변 압구정 3구역, 최고 49층 재건축 추진
입력
수정
지면A27
추진위, 주민 설명회 개최
한강변에서 멀어질수록 높아져
"한강 조망권 최대한 확보"
단지별 제자리서 1대1 재건축
가구당 부담금 1억2500만원
서울시 허가 여부가 관건
지상 15~49층 재건축 추진
압구정3구역 추진위는 한강변 대형공원과 구역 내 도로 등에 대한 대안 설계도 마련했다. 기존 서울시 지구단위계획안에 따르면 서울시는 한강변 구역 중앙부인 현대아파트 12·13동 부지 일대에 삼각형 모양으로 대규모(2만6440㎡) 역사문화공원을 조성할 계획이다. 추진위는 구역 테두리를 따라 압구정교회에서 현대아파트 10동까지, 10동부터 25동까지 띠형 공원을 제시했다. 추진위 관계자는 “띠형 공원을 조성할 경우 한강 조망권이 보장되고, 지하철에서 공원으로 접근하기도 좋아진다”며 “서울시 관계자들도 추진위 제안 실사를 위해 최근 다녀갔다”고 말했다.“제자리 1 대 1 재건축”
가구 수를 늘리지 않으면 기존 중대형 주택형 위주 고급 주거지로 새 단지를 조성할 수 있다. 재건축 사업을 통해 증가한 주거전용면적이 기존의 30% 이내이면 임대주택 등 소형주택을 의무적으로 추가하지 않아도 된다. 추진위는 임대주택을 조성하는 대신 정비구역의 약 15%를 공공기부할 계획이다.
‘35층 규제’ 관건전문가들은 서울시 ‘35층 규제’가 관건인 것으로 보고 있다. 서울시는 도시기본계획인 '2030 서울플랜'에 따라 일반주거지역 내 최고층을 35층으로 제한하고 있다. 이 계획은 올해 재정비 연한을 맞았다. 서울시가 기존 방침을 일부 재검토하는 식으로 입장을 선회할지가 관심사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최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35층 높이 기준 등 지역·특성별 실효성 있는 관리 방안을 추가적으로 논의할 수 있다”고 밝혔다. 강남구청도 작년 말 35층 규제 재검토를 골자로 하는 ‘공동주택 재건축 관련 합리적인 개발 방안’에 대해 용역을 발주했다.
서울시는 일단 49층 재건축을 허용하긴 어렵다는 입장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구역 내 ‘평균 35층’과 ‘최고 35층’은 서로 전혀 다른 얘기”라며 “기존 방침에 따르면 최고 35층 재건축만 허용된다”고 말했다.
서울시가 입안 중인 압구정아파트지구 지구단위계획도 변수가 될 전망이다. 압구정아파트지구 지구단위계획에 따라 용적률 등 정비계획 기본 사항이 확정돼서다. 압구정 지구단위계획은 강남구 압구정동과 청담동 일대 115만㎡를 통합관리하는 도시단위계획이다. 2017년 5·7·11월 총 세 차례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심의에 올랐으나 연속 ‘보류’ 판정을 받았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