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대형주 이익 줄어도 중소형주는 대폭 증가…미디어·게임株 주목"
입력
수정
지면A22
여의도 라이징 스타
(2) 황준혁 KTB자산운용 매니저
"3년째 펀드 수익률 최상위권
종목 넘어 거시경제 분석이 비결
반도체 턴어라운드 논하기 일러
코스피 2300전후에서 횡보할 것
이후 중소형주로 순환매장세 예상
무역전쟁 해소 땐 화장품부터 반등"
한국경제신문이 선정한 ‘2018 베스트 펀드매니저’ 공모부문 수상자인 황준혁 KTB자산운용 매니저(32·사진)는 ‘신인답지 않게’ 꾸준한 성과를 내고 있다. 그가 운용하는 ‘KTB리틀빅스타펀드’는 국내 중소형주 펀드 중 작년 말 기준 1년 수익률 2위(-4.25%)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를 13%포인트 앞섰다. 2년 수익률(20.01%)도 1위, 3년(15.03%) 수익률 1위로 3년째 최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2016년은 박스권, 2017년은 대세상승장, 2018년은 급락장으로 ‘시장 색깔’이 모두 달랐지만 황 매니저는 이 시기 내내 두각을 나타냈다.
그는 “대학(KAIST 산업공학과) 시절 삼성전자 싱가포르법인에서 인턴 생활을 하며 수요예측을 담당했다”며 “당시 환율, 유가 등 거시경제 지표에 따라 기업 경영 상황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배웠다”고 말했다. 그는 “거시경제 분석이 항상 맞는 건 아니지만 리스크 관리 측면에서 게을리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작년 하락장에선 그의 거시경제 분석이 빛을 발했다. 9월 반등장에서 운용 펀드의 주식 편입비중을 최저비율(80%)로 낮추고 현금을 최대한 확보했다. 그 덕분에 10~11월 급락장에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12월부터는 코스피지수의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수준)이 지나치게 낮아졌다고 판단해 주가가 급락한 삼성전자 비중을 약 10%(펀드 내 비중 1위)까지 늘렸다. KTB리틀빅스타는 중소형주 펀드지만 대형주 비중을 최대로 늘려 연초 반등장을 준비했다. 황 매니저는 “과거 사례를 볼 때 급락장 이후 반등장에서 외국인은 대형주와 상장지수펀드(ETF)를 중심으로 시장 전체를 사는 ‘바스켓 매매’를 많이 했다”며 “이를 예상해 대형주 비중을 선제적으로 늘렸다”고 설명했다.
여의도의 애널리스트들도 황 매니저의 이런 유연함을 강점으로 꼽았다. 한 애널리스트는 “젊은 매니저들은 낙관적, 공격적 성향이 높기 때문에 작년 같은 급락장에서 약점을 보인다”며 “황 매니저는 짧은 경력에도 포트폴리오를 노련하게 운용할 줄 안다”고 평가했다.
황 매니저는 올 들어 나타난 상승장이 오래가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반도체 업종의 턴어라운드를 논하기엔 아직 이른 시점”이라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대형 정보기술(IT)주 상승폭이 차츰 둔화하면서 지수도 2300 전후에서 횡보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후엔 중소형주로 순환매 장세가 나타나면서 종목별로 주가 차별화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했다.근거는 실적이다. KTB자산운용은 올해 코스피 대형주의 영업이익이 1.6% 감소하겠지만 중형주는 9.14%, 소형주는 25.32%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코스닥 종목의 영업이익은 28.56% 늘 것으로 봤다. 엔터테인먼트주와 게임, 바이오주 실적이 크게 좋아질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이다. 황 매니저는 “다시 박스권 장세가 나타나면서 2015~2016년과 비슷한 환경이 조성될 것”이라며 “당시 화장품, 바이오주처럼 저성장 국면에서도 성장스토리를 만들어낼 수 있는 업종과 종목에 투자자는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황 매니저가 눈여겨보는 업종은 미디어·엔터테인먼트, 게임, 화장품 업종이다. 그는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유튜브·넷플릭스 등을 중심으로 한 플랫폼 환경 변화로 파괴적 혁신이 나타나고 있으며 한국이 상대적 강점을 갖추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이 해소되면 위안화 강세가 나타나면서 화장품 관련주가 가장 먼저 반등할 수 있다”며 “기업 가치 및 경쟁력이 훼손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지금부터 충분히 사모을 만하다”고 덧붙였다.
최만수 기자 bebo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