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다음은 우리" 지자체 앞다퉈 '광주형 일자리'추진 본격화
입력
수정
전북 군산·경북 구미 유력 도시…모델 정립, 기업 접촉 나선다
부산·울산·충북·인천도 가세, 지역 특화형 구상안 마련 시동노사민정 합의를 기반으로 한 '광주형 일자리' 대타협 이후 정부의 후속 사업에 대한 각 자치단체의 관심이 높아가고 있다.정부가 최근 '광주형 일자리 사업'을 이어받을 차기 모델 도시 2곳을 올 상반기에 선정하겠다고 밝히자 일부 광역 및 기초단체의 유치전이 본격화하고 있다.
◇ 군산·구미, 제2·제3의 '광주형 일자리' 모델 도시 주목받아
제2, 제3의 '광주형 일자리'로 가장 유력하게 떠오르는 곳은 전북 군산과 경북 구미다.
정태호 청와대 일자리수석이 최근 "상반기에 잘하면 최소한 한 두 곳은 급물살을 탈 수 있겠다는 기대를 갖고 있다"면서 군산과 구미 등을 구체적으로 거명하면서다.군산을 거점으로 추진되는 '전북 군산형 일자리'는 송하진 전북지사가 지난해 말부터 정부에 요구해온 사업이다.
피폐한 군산경제 회생을 위해서는 '광주형 일자리'에 버금가는 특단의 방안과 대책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전북도는 일단 폐쇄된 한국GM 군산공장과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를 활용한 '전북 군산형 일자리' 모델을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먼저 한국GM 군산공장을 활용한 '전북 군산형 일자리' 모델은 대기업이 참여한 승용차 생산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있다.
현대차나 기아차와 같은 대기업이 참여한다면 투자 규모가 커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고 투자의 연속성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구상 단계일 뿐 기업들과 구체적인 접촉이 이뤄지지는 않은 상태며 자치단체의 지원 내용과 규모도 현재로선 구체화 한게 없다.군산 투자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전기자동차 생산업체 에디슨모터스, 대창모터스 등과 한국GM 협력업체를 컨소시엄 형태로 묶어 참여시키는 방안도 고려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가동 중단상태인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를 '전북 군산형 일자리' 모델 형태로 재가동하도록 하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다.
정부와 자치단체의 지원 규모를 늘리고 노동계가 임금 삭감 등을 수용한다면 군산조선소 재가동을 위한 여건이 현재보다 크게 나아질 것이라는 기대에서다.
전북도 관계자는 "일자리 모델을 만들기 위한 준비작업에 들어간 상태며, 정부의 지원 방안이 나와야 좀 더 속도를 낼 수 있게 될 것"이라면서 "지역경제를 살릴 투자기업을 어떻게 찾고 유치하느냐가 성공의 핵심 열쇠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구미시, 전기차 배터리사업과 전자업 놓고 모델 검토
최근 10여년 간 지역경제가 크게 위축된 경북 구미시도 어떤 일자리 모델로 전자 수출도시의 명성을 되찾을 수 있을지 고심하고 있다.12일 구미시에 따르면 반값 임금과 임·단협 유예 등을 골자로 한 지역 상생형 일자리 모델이 지역 실정에 맞는지 노동시장과 자본금의 용역 분석을 구상하는 등 준비작업에 들어갔다.
구미시가 구상한 일자리 모델은 전기차 배터리 사업(전장부품업 포함)과 반도체를 포함한 전자업 2개 유형이다.
여기에 5G 기반의 모바일 사업도 추가로 검토하고 있다.
전기차 배터리사업의 경우 신기술을 개발한 중견기업들과 함께 일자리를 만들어 갈 수 있다고 판단한다.
구미국가산단에는 전자 중심의 삼성·LG 계열사들을 비롯해 자동차부품 관련 중소기업이 300여 곳 있다.
반도체 등 전자부품업은 SK하이닉스 반도체 특화클러스터 유치로 지역경제를 살릴 수 있다고 구미시는 내다보고 있다.
5G 기반 모바일 사업도 삼성전자 구미사업장, LG전자 등과 연계한 일자리 모델로 검토하고 있다.
시는 구미형 일자리 모델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타깃 기업과의 합작 또는 신규·증액 투자 가능성을 살펴볼 계획이다.
김상철 구미시 부시장은 "임금을 동결할 경우 구미시가 복지시책을 내놓고, 기업은 경영기반을 조성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했다.
반값 임금과 임·단협 유예 등에 협조를 구하지 못하면 상생 일자리 사업이 어려운 만큼 노동계와도 사전협의를 해나갈 계획이다.
구미시는 일자리 모델의 근로자 임금은 구미국가산단 연평균 임금인 3천800만∼4천만원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장세용 구미시장은 "구미형 일자리 선정 과제는 자본금과 임금 등 여러 사안이 있지만, 함께 할 파트너가 어느 기업이 되느냐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했다.◇ 부산·인천·울산·충북도 내부 검토 착수…"지역 특색 맞는 모델 물색 중"
부산시도 정부 방침에 따라 '부산형 일자리 사업'을 도입하기로 하고 내부 검토에 들어갔다.
아직 구체적인 업종이나 품목 등은 정하지 않았지만 지역 특색을 살린 특화형 일자리 사업을 모색하고 있다.
다만 대도시라는 지역 특성상 근로자 평균 임금이 다른 지역보다 높아 광주형 일자리와 같은 방식의 특화 일자리 사업은 어려울 것으로 보고 지역 중소기업 자회사 등과 연계한 지역형 일자리 사업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인천시도 정부의 재정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광주형 일자리' 모델에 관심을 갖고 있다.
인천시는 지역특화산업으로 육성하는 '바이오' 분야를 모델화하는 것을 선호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업종 특성상 광주형 일자리와 같은 방식의 대규모 일자리 창출은 어렵다는 점에서 지역 특색에 맞는 다른 일자리사업을 대안으로 검토하고 있다.
충북도도 이시종 지사가 11일 열린 확대간부회의에서 광주형 일자리 모델과 관련해 테스크포스 구성을 지시하면서 사업발굴에 들어갔다.
이 지사는 "광주형 일자리가 타결돼서 좋은 모델이 생겼다.
충북TP, 충북연구원, 상공회의소, 기업단체장 등 주요 기관과 도·시군 관계자가 참여해 우리의 아이템을 찾아야 한다"고 주문했다.
울산은 현재 확정된 모델은 없지만, 지역산업 구조 등을 종합해볼 때 수소차 분야가 적합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다만, 상생형이나 사회 통합형 사업 모델을 위해서는 관련 업체인 현대차 노사가 나서서 논의해야 하는 데 아직 그런 움직임은 없다.
경남 거제시도 광주형 일자리를 모델로 한 정책을 구상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광주형 일자리를 그대로 답습하는 것은 지역 특색에 어울리지 않는다고 보고 지역 사정과 잘 조화하는 일자리 모델을 발굴하겠다는 방침이다.(박순기 박정헌 장영은 신민재 김상현 백도인 기자)
/연합뉴스
부산·울산·충북·인천도 가세, 지역 특화형 구상안 마련 시동노사민정 합의를 기반으로 한 '광주형 일자리' 대타협 이후 정부의 후속 사업에 대한 각 자치단체의 관심이 높아가고 있다.정부가 최근 '광주형 일자리 사업'을 이어받을 차기 모델 도시 2곳을 올 상반기에 선정하겠다고 밝히자 일부 광역 및 기초단체의 유치전이 본격화하고 있다.
◇ 군산·구미, 제2·제3의 '광주형 일자리' 모델 도시 주목받아
제2, 제3의 '광주형 일자리'로 가장 유력하게 떠오르는 곳은 전북 군산과 경북 구미다.
정태호 청와대 일자리수석이 최근 "상반기에 잘하면 최소한 한 두 곳은 급물살을 탈 수 있겠다는 기대를 갖고 있다"면서 군산과 구미 등을 구체적으로 거명하면서다.군산을 거점으로 추진되는 '전북 군산형 일자리'는 송하진 전북지사가 지난해 말부터 정부에 요구해온 사업이다.
피폐한 군산경제 회생을 위해서는 '광주형 일자리'에 버금가는 특단의 방안과 대책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전북도는 일단 폐쇄된 한국GM 군산공장과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를 활용한 '전북 군산형 일자리' 모델을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먼저 한국GM 군산공장을 활용한 '전북 군산형 일자리' 모델은 대기업이 참여한 승용차 생산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있다.
현대차나 기아차와 같은 대기업이 참여한다면 투자 규모가 커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고 투자의 연속성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구상 단계일 뿐 기업들과 구체적인 접촉이 이뤄지지는 않은 상태며 자치단체의 지원 내용과 규모도 현재로선 구체화 한게 없다.군산 투자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전기자동차 생산업체 에디슨모터스, 대창모터스 등과 한국GM 협력업체를 컨소시엄 형태로 묶어 참여시키는 방안도 고려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가동 중단상태인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를 '전북 군산형 일자리' 모델 형태로 재가동하도록 하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다.
정부와 자치단체의 지원 규모를 늘리고 노동계가 임금 삭감 등을 수용한다면 군산조선소 재가동을 위한 여건이 현재보다 크게 나아질 것이라는 기대에서다.
전북도 관계자는 "일자리 모델을 만들기 위한 준비작업에 들어간 상태며, 정부의 지원 방안이 나와야 좀 더 속도를 낼 수 있게 될 것"이라면서 "지역경제를 살릴 투자기업을 어떻게 찾고 유치하느냐가 성공의 핵심 열쇠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구미시, 전기차 배터리사업과 전자업 놓고 모델 검토
최근 10여년 간 지역경제가 크게 위축된 경북 구미시도 어떤 일자리 모델로 전자 수출도시의 명성을 되찾을 수 있을지 고심하고 있다.12일 구미시에 따르면 반값 임금과 임·단협 유예 등을 골자로 한 지역 상생형 일자리 모델이 지역 실정에 맞는지 노동시장과 자본금의 용역 분석을 구상하는 등 준비작업에 들어갔다.
구미시가 구상한 일자리 모델은 전기차 배터리 사업(전장부품업 포함)과 반도체를 포함한 전자업 2개 유형이다.
여기에 5G 기반의 모바일 사업도 추가로 검토하고 있다.
전기차 배터리사업의 경우 신기술을 개발한 중견기업들과 함께 일자리를 만들어 갈 수 있다고 판단한다.
구미국가산단에는 전자 중심의 삼성·LG 계열사들을 비롯해 자동차부품 관련 중소기업이 300여 곳 있다.
반도체 등 전자부품업은 SK하이닉스 반도체 특화클러스터 유치로 지역경제를 살릴 수 있다고 구미시는 내다보고 있다.
5G 기반 모바일 사업도 삼성전자 구미사업장, LG전자 등과 연계한 일자리 모델로 검토하고 있다.
시는 구미형 일자리 모델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타깃 기업과의 합작 또는 신규·증액 투자 가능성을 살펴볼 계획이다.
김상철 구미시 부시장은 "임금을 동결할 경우 구미시가 복지시책을 내놓고, 기업은 경영기반을 조성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했다.
반값 임금과 임·단협 유예 등에 협조를 구하지 못하면 상생 일자리 사업이 어려운 만큼 노동계와도 사전협의를 해나갈 계획이다.
구미시는 일자리 모델의 근로자 임금은 구미국가산단 연평균 임금인 3천800만∼4천만원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장세용 구미시장은 "구미형 일자리 선정 과제는 자본금과 임금 등 여러 사안이 있지만, 함께 할 파트너가 어느 기업이 되느냐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했다.◇ 부산·인천·울산·충북도 내부 검토 착수…"지역 특색 맞는 모델 물색 중"
부산시도 정부 방침에 따라 '부산형 일자리 사업'을 도입하기로 하고 내부 검토에 들어갔다.
아직 구체적인 업종이나 품목 등은 정하지 않았지만 지역 특색을 살린 특화형 일자리 사업을 모색하고 있다.
다만 대도시라는 지역 특성상 근로자 평균 임금이 다른 지역보다 높아 광주형 일자리와 같은 방식의 특화 일자리 사업은 어려울 것으로 보고 지역 중소기업 자회사 등과 연계한 지역형 일자리 사업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인천시도 정부의 재정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광주형 일자리' 모델에 관심을 갖고 있다.
인천시는 지역특화산업으로 육성하는 '바이오' 분야를 모델화하는 것을 선호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업종 특성상 광주형 일자리와 같은 방식의 대규모 일자리 창출은 어렵다는 점에서 지역 특색에 맞는 다른 일자리사업을 대안으로 검토하고 있다.
충북도도 이시종 지사가 11일 열린 확대간부회의에서 광주형 일자리 모델과 관련해 테스크포스 구성을 지시하면서 사업발굴에 들어갔다.
이 지사는 "광주형 일자리가 타결돼서 좋은 모델이 생겼다.
충북TP, 충북연구원, 상공회의소, 기업단체장 등 주요 기관과 도·시군 관계자가 참여해 우리의 아이템을 찾아야 한다"고 주문했다.
울산은 현재 확정된 모델은 없지만, 지역산업 구조 등을 종합해볼 때 수소차 분야가 적합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다만, 상생형이나 사회 통합형 사업 모델을 위해서는 관련 업체인 현대차 노사가 나서서 논의해야 하는 데 아직 그런 움직임은 없다.
경남 거제시도 광주형 일자리를 모델로 한 정책을 구상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광주형 일자리를 그대로 답습하는 것은 지역 특색에 어울리지 않는다고 보고 지역 사정과 잘 조화하는 일자리 모델을 발굴하겠다는 방침이다.(박순기 박정헌 장영은 신민재 김상현 백도인 기자)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