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욱의 일본경제 워치] "더 비싸게, 더 고급스럽게"…부유층 대상 사업 확대되는 일본
입력
수정
일본에서 부유층을 대상으로 한 각종 사업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주요 명품업체들은 일본에서 판매하는 주요 상품의 가격을 계속 올리고 있습니다. 금융자산 10억 원 이상의 여유 있는 가구가 최근 4년간 26% 증가하는 등 일본 내 부유층이 두터워진 영향이라는 분석입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프랑스의 명품 브랜드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는 올 4월부터 일본에서 판매하는 170종의 와인 판매가격을 2~10% 인상키로 했습니다. 일·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FTA)격인 일·EU경제연대협정(EPA) 발효로 유럽산 와인의 관세가 철폐됐지만 동페리뇽을 비롯한 주력 제품의 가격을 일제히 올리는 것입니다. 앞서 또 다른 명품업체 에르메스는 이달부터 ‘버킨백’ 등 주요 가방과 가죽제품의 일본 내 판매가격을 평균 4% 인상했습니다. 일본 내에선 작년 말 올 초 진행됐던 엔화 강세를 반영해 판매가격 인하를 기대했지만 가격은 낮아질 줄 모르고 있습니다.부유층을 겨냥한 럭셔리 서비스 상품도 늘고 있습니다. 일본 관광업체인 한큐교통은 올 4월에 98만엔(약 1000만원)짜리 일본 내 버스투어 상품을 선보입니다. 12일간 일본 주요 관광지를 돌며 고급 호텔에 투숙하는 상품입니다. 지난해 10월~올 3월의 부유층 전영 투어상품 예약건수가 전년 동기 대비 30%가량 늘면서 부유층 전용 상품을 강화하고 나섰다는 설명입니다. 일본 최대 여행사인 JTB는 호화여객선을 이용한 세계일주 투어 상품을 내놨습니다. 약 3개월간 20개국을 방문하는 상품으로 1인당 208만엔(약 2122만원)의 가격이 책정됐습니다.고가 제품 판매도 호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지난해 일본에서 1000만엔(약 1억206만원)이상 고급차 판매는 지난해 2만1000여대로 최근 5년간 판매량이 71%나 늘었습니다. 일본 주요 백화점의 지난해 매출은 전년 대비 3.3%증가했고, 미쓰이부동산이 시부야구에 건설하고 있는 1억엔(약 10억2000만원)을 넘는 맨션(한국의 아파트에 해당) 100여 채도 곧바로 팔렸습니다.
이처럼 일본에서 고가 제품과 서비스 판매가 호조를 이루는 배경으론 부유층이 늘어난 점이 우선 지목됩니다. 노무라종합연구소에 따르면 순금융 자산 1억엔 이상을 보유한 세대는 2017년 현재 126만가구로 최근 4년간 26%나 증가했습니다. 순금융자산 규모도 같은 기간 24%늘어나 300조엔(약 3060조원)에 육박한다고 합니다.나카하마 도시히로 다이이치생명경제연구소 연구원은 “부유층이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연봉 1500만엔(약 1억5317만원)이상 가구의 소비가 일본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7년 5.2%로 10년 전에 비해 0.5%포인트 상승했습니다. 연봉 1500만엔 이상 가구의 소비액도 12조7000만엔(약 122조5339억원)으로 같은 기간 15%증가했다고 합니다.
이 같은 움직임에 우려의 목소리도 있습니다. 미국과 중국 간 무역 전쟁이 격화되고, 중국경기 둔화가 뚜렷해지면서 일본 경제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일본 증시가 지난해 하반기 이후 하락추세고, 올 10월에는 일본에서 소비세 증세도 예정돼 있는 만큼 소비가 둔화될 가능성이 적지 않다는 지적입니다.
일본 내 부유층 대상 상품의 활황이 단순 반짝 활황에 그칠지, 아니면 일본의 소비회복을 주도하는 견인차 역할을 할지 분기점에 선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도쿄=김동욱 특파원 kimdw@hankyung.com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프랑스의 명품 브랜드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는 올 4월부터 일본에서 판매하는 170종의 와인 판매가격을 2~10% 인상키로 했습니다. 일·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FTA)격인 일·EU경제연대협정(EPA) 발효로 유럽산 와인의 관세가 철폐됐지만 동페리뇽을 비롯한 주력 제품의 가격을 일제히 올리는 것입니다. 앞서 또 다른 명품업체 에르메스는 이달부터 ‘버킨백’ 등 주요 가방과 가죽제품의 일본 내 판매가격을 평균 4% 인상했습니다. 일본 내에선 작년 말 올 초 진행됐던 엔화 강세를 반영해 판매가격 인하를 기대했지만 가격은 낮아질 줄 모르고 있습니다.부유층을 겨냥한 럭셔리 서비스 상품도 늘고 있습니다. 일본 관광업체인 한큐교통은 올 4월에 98만엔(약 1000만원)짜리 일본 내 버스투어 상품을 선보입니다. 12일간 일본 주요 관광지를 돌며 고급 호텔에 투숙하는 상품입니다. 지난해 10월~올 3월의 부유층 전영 투어상품 예약건수가 전년 동기 대비 30%가량 늘면서 부유층 전용 상품을 강화하고 나섰다는 설명입니다. 일본 최대 여행사인 JTB는 호화여객선을 이용한 세계일주 투어 상품을 내놨습니다. 약 3개월간 20개국을 방문하는 상품으로 1인당 208만엔(약 2122만원)의 가격이 책정됐습니다.고가 제품 판매도 호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지난해 일본에서 1000만엔(약 1억206만원)이상 고급차 판매는 지난해 2만1000여대로 최근 5년간 판매량이 71%나 늘었습니다. 일본 주요 백화점의 지난해 매출은 전년 대비 3.3%증가했고, 미쓰이부동산이 시부야구에 건설하고 있는 1억엔(약 10억2000만원)을 넘는 맨션(한국의 아파트에 해당) 100여 채도 곧바로 팔렸습니다.
이처럼 일본에서 고가 제품과 서비스 판매가 호조를 이루는 배경으론 부유층이 늘어난 점이 우선 지목됩니다. 노무라종합연구소에 따르면 순금융 자산 1억엔 이상을 보유한 세대는 2017년 현재 126만가구로 최근 4년간 26%나 증가했습니다. 순금융자산 규모도 같은 기간 24%늘어나 300조엔(약 3060조원)에 육박한다고 합니다.나카하마 도시히로 다이이치생명경제연구소 연구원은 “부유층이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연봉 1500만엔(약 1억5317만원)이상 가구의 소비가 일본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7년 5.2%로 10년 전에 비해 0.5%포인트 상승했습니다. 연봉 1500만엔 이상 가구의 소비액도 12조7000만엔(약 122조5339억원)으로 같은 기간 15%증가했다고 합니다.
이 같은 움직임에 우려의 목소리도 있습니다. 미국과 중국 간 무역 전쟁이 격화되고, 중국경기 둔화가 뚜렷해지면서 일본 경제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일본 증시가 지난해 하반기 이후 하락추세고, 올 10월에는 일본에서 소비세 증세도 예정돼 있는 만큼 소비가 둔화될 가능성이 적지 않다는 지적입니다.
일본 내 부유층 대상 상품의 활황이 단순 반짝 활황에 그칠지, 아니면 일본의 소비회복을 주도하는 견인차 역할을 할지 분기점에 선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도쿄=김동욱 특파원 kimd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