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쩐의 전쟁' 치닫는 조합장 선거…"시골마을에 돈다발·괴문서"
입력
수정
지면A26
탐사 리포트
내달 13일 1343명 뽑는 전국동시조합장선거
최대 2억 연봉에 막강한 권력
득표율 15% 돼도 비용보전 안돼
"일단 되고 보자"…혼탁 불가피
조용한 동네가 '원수되기' 일쑤
전남 곡성엔 괴문서 잇단 살포
비방·현금매수…고발 줄이어
신고포상금 최고 3억으로 증액
현재까지 포상금만 3700만원, 조합원들간 공명선거 활동도
"현직에 유리, 신인에 불리한 現 선거법이 불법조장" 주장도
![농협·수협·산림조합의 지역 조합장을 뽑는 ‘제2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를 앞두고 선거관리위원회가 불법 선거운동을 막기 위한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1902/AA.18937964.1.jpg)
이 같은 B씨의 ‘매표 활동’은 돈을 받은 조합원 5명이 선거관리위원회에 신고하면서 덜미가 잡혔다. A씨는 “마음이 불편해 잠도 오지 않았다”며 “최근 조합장선거에서 돈을 뿌린 후보가 고발됐다는 뉴스를 접하고 신고했다”고 털어놨다. 선관위는 지난 14일 B씨를 불법 선거운동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현금 뭉치·괴편지가 도는 시골마을
![조합 선거에서 뇌물로 건네진 현금 뭉치들.](https://img.hankyung.com/photo/201902/AA.18937966.1.jpg)
조합장 직선제는 1989년 시작됐다. 초기부터 ‘돈선거’라고 불릴 만큼 혼탁했다. 1989년부터 2005년까지 크게 네 차례의 선거를 치르는 동안 59명이 불법 선거운동으로 구속됐다. 갈수록 불법 선거운동이 판치자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2005년부터 위탁관리를 시작했다. 공직선거에만 적용하던 신고포상금 제도와 50배 과태료 부과 제도까지 도입했다. 조합별로 치르던 선거도 통합했다. ‘위탁선거법’을 제정해 선거 절차 및 선거운동 방법을 단일화했다. 이에 근거해 2015년 3월 11일 첫 전국동시조합장선거가 치러졌다. 국민적 관심이 커지면서 평균 80.2%라는 높은 투표율을 기록했다.
그럼에도 물밑에서 은밀하게 이뤄지는 불법 선거운동은 여전하다는 게 선관위 측 설명이다. 다만 이번 선거를 앞두고 신고건수가 늘었다는 점은 다소 고무적이다. 올해부터 신고포상금을 최고 3억원(기존 1억원)으로 높인 것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이번 선거와 관련해 현재까지 지급된 포상금은 총 3700만원이다. 충남에서 입후보 예정자가 조합원들의 집을 방문해 총 200만원의 현금과 홍삼을 제공한 일을 신고한 사람에게 2000만원이 지급됐다. 조합원의 자택과 농장을 방문해 43만원 상당의 물품을 건넨 입후보 예정자를 신고한 경남의 한 조합원도 1100만원의 포상금을 받았다.
조합원 사이에서도 “지역과 조합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뿌리뽑자”는 목소리가 높다. ‘불법 선거운동으로 재선거가 이뤄지면 조합의 추가 부담액을 모두 변상하겠다’는 서약을 후보자들에게 받기로 한 ‘좋은농협만들기 국민운동본부’의 활동이 대표적이다.위탁선거법이 지나치게 엄격해 오히려 불법 선거운동을 조장한다는 의견도 있다. 충남의 한 조합장 후보자는 “법이 허용하는 선거운동 폭이 극히 좁고 예비후보자 등록제도도 없어 신인들은 13일의 짧은 선거운동 기간에 얼굴을 알리기 어렵다”며 “현직이 극히 유리한 선거”라고 주장했다. 1회 선거에서 1326개 조합 중 현직 조합장이 당선된 비율(출마하지 않은 현직은 제외)은 64.6%에 달했다. 공직선거법과 달리 득표율 15%를 넘으면 선거비용을 보전해주는 제도가 없어 유력 후보자들이 당선에만 목을 맬 수밖에 없다는 비판도 나온다.
이현진 기자 apple@hankyung.com